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자발적 학교이탈 청소년의 학부모에 대한 인식 : 학교이탈 이전, 과정, 이후 인식을 중심으로

이용수 297

영문명
Perception of Youths Who Voluntarily Leave School about Their Parents: Focusing on pre-leave school, current leave school, post-leave school
발행기관
한국학부모학회
저자명
윤혜순(YUN, HYE-SUN)
간행물 정보
『학부모연구』제6권 제3호, 21~45쪽, 전체 25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교육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19.11.30
5,80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본 연구의 목적은 자발적 학교이탈 청소년이 자신의 부모에 대해 학교이탈 이전, 학교이탈 과정, 학교이탈 후에 어떠한 인식을 갖고 있으며, 그 의미는 무엇인지를 탐색하는 것이다. 연구결과 첫째, 학교이탈 전에 학부모들이 학교 성적을 중시하거나, 자율성을 강조하면서도 영어와 수학을 중시하는 경우에는 심리적 압박을 준다고 인식하였다. 자율성을 중시하며 기다려준다고 인식할 때 신뢰감을 갖고 있었다. 둘째, 학교이탈 과정에서 부모가 자퇴 의사에 동의해줄 때 자율성을 중시하며 자신에 대한 믿음이 있다고 생각하였다. 자퇴 의사에 우려를 하거나 외국의 어학과정 등 대안을 생각하고 동의해준 경우는 자율성을 중시하면서도 이중적이라고 인식하고 있다. 셋째, 학교이탈 후에도 자신의 의사를 존중해주고 기다려주는 경우는 자녀교육에 일관성이 있으며 고맙다고 생각하였다. 부모가 자신의 진로계획이 불투명하고 빈둥거린다고 생각하며 불안해하는 경우에 일관성이 없으며 심리적 압박을 준다고 생각하였다. 상급학교 진학, 검정고시 성적 등을 중시할 때 위선적, 이중적이라고 인식하였다. 학교이탈 후에 결국 자신을 창피하다고 생각하는 경우에는 자신을 가장 흔들리게 하는 존 재라고 인식하고 있다. 이러한 결과를 토대로 학교이탈 청소년의 학부모에 대한 지원방안을 논의하였다.

영문 초록

This study investigates how youths who voluntarily left school perceive their parents and explores its meaning by distinguishing the time period during the leaving process as well as before and after their absence from school. The research results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before going absent from school, the youths perceived that their parents gave them psychological pressure when they put stress on the school grade or emphasized English and mathematics study while stressing autonomy. The youths trust their parents when they believed that their parents respected autonomy and gave them enough time. Second, during the process of leaving school, the youths believed that their parents took autonomy seriously and trust their children when the parents agreed to the idea of voluntarily dropping out. When the parents worried about the children’s intention to leave school or prepared alternatives after dropping out, such as registering in language school abroad, the youths believed that their parents are somewhat two-faced despite their value on autonomy. Third, the youths believed that their parents have consistency in child education when they respect the child’s intention after they left school and they felt grateful to their parents. When the parents expressed anxiety over their children believing that they are lazy and do not have a clear career, the youths believed that their parents lack consistency and felt psychological pressure from them. The youths believed that their parents are hypocritical or two-faced when they emphasized advancing to the school of higher grade or qualification examination grade. After leaving school, the fact that the parents are ashamed of their children became the strongest factor imperiling the adolescent’s existence. Based on these results, this study discussed support plans for parents of youths who left school.

목차

Ⅰ. 서 론
Ⅱ. 이론적 배경
Ⅲ. 연구방법
Ⅳ. 연구 결과
Ⅴ. 결론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윤혜순(YUN, HYE-SUN). (2019).자발적 학교이탈 청소년의 학부모에 대한 인식 : 학교이탈 이전, 과정, 이후 인식을 중심으로. 학부모연구, 6 (3), 21-45

MLA

윤혜순(YUN, HYE-SUN). "자발적 학교이탈 청소년의 학부모에 대한 인식 : 학교이탈 이전, 과정, 이후 인식을 중심으로." 학부모연구, 6.3(2019): 21-45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