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자기주도적 여가활동 프로그램에 참여한 발달장애성인의 자기결정기술 사용 변화
이용수 803
- 영문명
- Changes in the use of self-determination skills of adults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participating in self-directed leisure program
- 발행기관
- 한국장애인평생교육복지학회
- 저자명
- 하민진(Ha Min Jin) 김정기(Kim Jung G) 전병운(Jeon Byoung Un)
- 간행물 정보
- 『장애인평생교육복지연구』제5권 제2호, 55~82쪽, 전체 28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사회복지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9.09.30
6,16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이 연구의 목적은 자기주도적 여가활동 프로그램에 참여한 발달장애성인의 자기결정기술 사용 변화를 살펴보았다. 연구 참여자는 H-대학 평생 교육원에서 강의를 수강하고 있는 발달장애성인 6명이다. 연구 설계는 질적 분석 방법을 사용하였다. 질적 자료을 위해 프로그램의 진행 과정을 관찰 기록하고, 연구 참가자의 면담, 활동수행지, 활동 사진 등을 통해 얻은 자
료를 분석하였다.연구 결과 자기주도적 여가활동 프로그램은 발달장애성인의 선택하기 기술, 자기옹호 기술, 자기관리 기술 사용에 긍정적인 변화를 가져왔다. 자기주도적 여가활동 프로그램 참여자는 선택하기 기술, 자기옹호 기술, 자기관리 기술에서 개인 간의 차이를 나타내었고, 여가 활동 프로그램 내용에 따라 연구 참여자의 자기결정능력의 활용 정도가 다양하게 나타난다는 사실이 확인되었다.결론적으로 자기주도적 여가활동 프로그램을 구상할 때 개인의 지적 수준과 장애 정도에 따라 접근 방식을 차별화할 필요가 있다. 또한 관심 주제에 따라 여가 활동 프로그램 적용하는 것이 더 효과적이다.
영문 초록
The purpose of the study was to examine the changes in the use of self-determination skills of adults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who participated in self-directed leisure program. Participants were 6 adults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attending lectures at H-university Lifelong Education Center.
The research design used qualitative analysis method. For the qualitative data, the progress of the program was observed and recorded, and the data obtained interviews, activities performed, and pictures.
Research shows that the self-directed leisure program has a positive change in the use of the selection skills, self-advocacy skills, and self-management skills of adults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Self-directed leisure program participants showed differences among individuals in choice-making skills, self-advocacy skills, self-management skills.
And it was confirmed that the degree of utilization of self-determination ability of participants according to the content of leisure activity program.
In conclusion, when designing a self-directed leisure activity program, it is necessary to differentiate the approach according to individual s intellectual ability and disability level.
It is also more effective to apply the leisure activity program according to the topic of interest.
목차
Ⅰ. 서론
Ⅱ. 연구 방법
Ⅲ. 연구 결과
Ⅳ. 논의 및 결론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사회복지학분야 BEST
더보기사회과학 > 사회복지학분야 NEW
- 장애인 1인 가구의 자살생각에 미치는 영향요인 : 성별에 따른 차이를 중심으로
- 정신장애인의 클럽하우스 이용 경험에 관한 개념도 연구
- 성인 중증장애인의 재난안전교육 경험 변화와 재난대응수행 변화와의 관계 : 사회관계망의 조절효과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