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중학교 기술교과에서 공학설계 중심 STEAM 수업자료 개발
이용수 53
- 영문명
- The Development of engineering design based STEAM instructional material in middle school technology subject
- 발행기관
- 한국기술교육학회
- 저자명
- 김진연(Jin-Youn Kim) 김기수(Ki-Soo Kim)
- 간행물 정보
- 『한국기술교육학회지』제14권 제2호, 154~173쪽, 전체 20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4.08.31
5,20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이 연구의 목적은 중학교 기술교과에서 공학설계 중심 STEAM 수업자료를 개발하는 것이다.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초·중등 공학설계 과정모형, 공학설계 주요 요소와 학생의 활동, 기술교과 공학설계 중심 STEAM 개념모형, 수업설계 절차를 개발하였다.
또한 개발한 수업 설계 절차에 따라 중학교 기술교과 ‘건설기술과 환경’단원의 공학설계 중심 STEAM 수업자료 4차시를 개발하여 10명의 전문가에 의한 자문 및 타당도 검증을 실시하여 1차 수정을 하였고, 277명을 대상으로 수업에 적용하여 학습자의 수업 만족도 검사를 실시한 결과로 2차 수정하여 완성하였다.
이 연구의 결과에 기초하여 다음과 같은 결론을 도출하였다.
첫째, 문헌연구를 통하여 초·중등 공학설계 과정모형, 공학설계 주요 요소와 학생의 활동, 수업설계 절차 모형을 개발하였으며, 전문가 자문을 통하여 수정·보완하여 완성하였다. 이는 평가 항목에 대하여 타당하다고 할 수 있다.
둘째, 개발된 초·중등 공학설계 과정모형과 공학설계 주요 요소와 학생의 활동, 수업설계 절차 모형에 따라 중학교 기술교과 ‘건설기술과 환경’단원의 공학설계 중심 STEAM 수업자료를 개발하고 전문가 자문을 통하여 1차 수정·보완하였고 이는 평가 항목에 대하여 타당하다고 할 수 있다. 이를 수업에의 적용을 통하여 2차 수정·보완하였으며, 학습자의 수업 만족도 검사도구의 수업환경, 수업내용, 수업방법, 수업평가에 대하여 대부분의 학생이 프로그램에 대하여 만족한다고 할 수 있다.
영문 초록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is to develop engineering design based STEAM instructional material in middle school technology subject. To achieve the research purpose, process model of engineering design in elementary and intermediate school, the main elements of engineering design and student activities, conceptual model of engineering design based STEAM in technology subject, instructional design procedure are developing.
Also, by developing engineering design based STEAM instructional material based on developed instructional design procedure, consultation with 10 experts and validity verification has been through for the first modification. Then, the second modification is occurred based on the result of class satisfaction test of 277 learner by adopting it in actual class.
With the result of this research, the following conclusion is drawn.
First, the main elements of engineering design, student activities, based on process model of engineering design in elementary and intermediate school and process of engineering designing, and procedure model of STEAM teaching materials, based on engineering design, which are developed in this research, are developed with reference research and developed by modification and supplementation. Thus, it was reasonable for evaluation category.
Secondly, the developed main elements of engineering design and student activities, based on process model of engineering design in elementary and intermediate school and process of engineering designing, and procedure model of STEAM teaching materials, based on engineering design, are adopted for development of teaching material. The first modification and supplementation was based on consultation of experts. Therefore, it was appropriate for evaluation category. Since then, these are adopted for actual classes for second modification and supplementation. Most of the students answered the program was satisfied, according to learner’s class satisfaction testing tools, including class environment, course contents, lecturing method, and class evaluation, for the program.
목차
<국문요약>
Ⅰ. 서론
Ⅱ. 이론적 배경
Ⅲ. 연구의 절차와 방법
Ⅳ. 연구의 결과 및 논의
Ⅴ. 결론 및 제언
참고문헌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융합인재교육에서의 학습성과 측정을 위한 핵심역량 구성요인 개발
- 미래 발명교육 아젠다의 도출과 실천 단계의 전략화 연구
- 중등 직업교육 공업계열 전문교과 교과서에서의 발명·지식재산 교육내용 반영 실태 분석 연구
- Keller의 ARCS 모형에 따른 기술·가정 2 교과서의 ‘자동화와 로봇’ 단원 내용분석
- 학술지 논문에 기초한 발명교육 연구 동향 분석
- 중학교 기술·가정과 ‘기술과 발명’ 단원을 위한 수업과정안 및 수행평가 도구 개발
- 스마트교육기반 STEAM프로그램 적용에 관한 연구
- 마이스터고등학교 학생들이 인식하는 진로교육 실태
- 중학교 기술교과에서 공학설계 중심 STEAM 수업자료 개발
- NCS 학습모듈을 활용한 특성화 고등학교 컴퓨터 네트워크과 교육과정 개발
- 중학교 발명영재의 창의적 성향 검사도구 개발
- 초·중·고에서의 발명-지식재산교육 핵심 학습 요소 편성 실태 분석
- 직업기초능력의 함양과 능력중심 교육과정의 교과서 방향을 위한 공업 일반 교과서 탐색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