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장애인근로자와 일반근로자의 직업성공 요인 비교연구

이용수 54

영문명
A study on the career success: Focusing on factors comparison of workers with disabilities and without disabilities
발행기관
한국직업재활학회
저자명
노임대(Im-Dae Noh) 이달엽(Dal-Yob Lee)
간행물 정보
『직업재활연구』제13권 제2호, 51~80쪽, 전체 30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사회과학일반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03.12.31
6,40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우리나라에서는 지금까지 장애인 고용을 위한 노력을 무수히 해왔지만 그리 좋은 결과를 얻지 못한 것은 사실이다. 이러한 주요 원인은 장애인의 잦은 이직과 전직으로 인한 실업에서 기인할 수 있다. 사회인에게 있어 직업성공은 곧 인생에서의 성공을 의미하기 때문에 장애인은 인생에서도 낙오자나 패배자로 전락할 수밖에 없다. 바꾸어 말한다면, 장애를 가진 사람들이 직업성공을 느낀다면 그들의 인생 역시도 성공했다고 느낄 것이다. 이러한 주관적 성공감은 직업의 객관적 성공 요소와도 많은 관계를 가진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장애인의 직업성공의 요인을 조사하고 밝혀내어서 일반 근로자들과 비교한 후 집단 간의 차이를 분석하여 그들의 성공적인 삶에 미약하나마 도움을 주고자 했다. 본 연구 결과는 장애근로자와 일반근로자 두 집단 모두 직종이 직업성공에 영향을 가장 많이 받는 것으로 조사되었으며 일반집단에서는 연령에 있어서 또한 직업성공에 영향을 미치는 주요한 변수로 나타났다. 이것은 지금까지 인식되던 장애집단의 단일한 특성, 즉, 장애인의 직업성공 여부는 임금이 좌우할 것이라는 판단이 잘못되었다는 것을 나타내 주고 있는 결과이다. 다시 말해서 장애근로자 역시도 직업에서의 성공여부를 단순히 임금에만 국한하고 있지 않고 있으며, 일반근로자와 동일하게 어떤 직무를 담당하고 있는가에 따라서 직업성공률 느끼고 있다. 장애인 직업성공을 높이기 위해서는 일차노동시장의 성격을 띠는 많은 직업과 올바른 직종을 찾아야만 할 것이다. 따라서 직업을 선택할 때에 적성과 흥미 등 다방면에 걸친 조사물이 선행되고 난 후에 충분한 상담을 거쳐 직업배치가 필요할 것이다. 또한 이를 위해서는 장애인들의 직업교육과 훈련에서 보다 구체적이고 전문적인 교육이 필요할 것이라고 사료되며 장애인의 교육권이 차별받지 않도록 정책적인 노력을 기울여야 할 것이다.

영문 초록

It is true that there has been not successful for rehabilitation professionals to place their clients competitive in employment settings, in spite of their endless effort for workers with disabilities. The high turnover rate and transfer caused to unemployment among workers with disabilities. As a career success is life-long process, workers with disabilities should not have chance to make a failure or dropout in employment. In other words, if workers with disabilities feel career success, they will also have a sense of life success. Therefore, this study was aimed to help workers with disabilities views their situations as belong successful and compare workers without disabilities in similar conditions. As a results, the type of occupations influenced both groups, but age influenced most significantly to workers without disabilities. These revealed that our thinking of workers with disabilities may be influenced by income is not appropriate. Therefore, workers with disabilities are also influenced by other variables such as work itself. It is suggested that rehabilitation professionals should consider the type of occupation when placing their clients. Most of all, they must consider and assess their clients attitudes and interests. Vocational rehabilitation counselor should also prepare workers with disabilities to have better emotion toward their income and prestiges of work. Professionals and government should make all efforts to offer workers with disabilities much higher educational opportunities.

목차

Ⅰ. 서론
Ⅱ. 본론
Ⅲ. 연구방법
Ⅳ. 결론 및 제언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노임대(Im-Dae Noh),이달엽(Dal-Yob Lee). (2003).장애인근로자와 일반근로자의 직업성공 요인 비교연구. 직업재활연구, 13 (2), 51-80

MLA

노임대(Im-Dae Noh),이달엽(Dal-Yob Lee). "장애인근로자와 일반근로자의 직업성공 요인 비교연구." 직업재활연구, 13.2(2003): 51-80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