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한국의 국가직무능력표준(NCS) 개발 동향 분석

이용수 103

영문명
Analysis of Korea s National Competency Standards(NCS) Development Trends
발행기관
한국기술교육학회
저자명
김동연(Dong-Yeon Kim) 김진수(Jin-Soo Kim)
간행물 정보
『한국기술교육학회지』제13권 제3호, 22~46쪽, 전체 25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교육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13.12.31
5,80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이 연구는 2001년부터 2013년도 10월까지 국내에서 국가직무능력표준과 관련하여 개발 발표된 석?박사학위 논문과 학술지를 포함하여 정부연구기관 및 정보서비스기관에서 검색 수집한 총 265편의 연구물들을 중심으로 연구실태와 연구 동향을 분석한 것이다. 연구 방법은 분석 대상과 분석 절차에 의하여 국가직무능력표준 개발 연구진들과 함께 1, 2차 검토?수정 및 개선?보완 단계를 거쳐 개발한 분석 준거(틀)에 따라 연구 기관, 연구 형태, 직무 분야, 연구자 구성, 연구 방법, 연구 대상으로 설정하고 분석 항목별 기술통계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분석하였다. 이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연구 기관별 국가직무능력표준 개발연구 동향을 분석한 결과 한국직업능력개발원과 한국산업인력공단이 가장 많은 비율을 차지하였고, 그 다음으로 한국노동연구원, 교육부, 대한상공회의소등의 순으로 낮게 나타났다. 둘째, 연구 형태별 국가직무능력표준 개발 연구동향을 분석한 결과 석사학위 논문 수에 비해 박사학위 논문의 수가 상대적으로 적었고, 그 다음으로 한국공학교육학회, 농업교육학회, 대한건축학회, 한국산학기술학회 순으로 낮게 나타났다. 이외 나머지 학회는 모두 동일한 수준으로 가장 낮은 비율을 나타내었다. 셋째, 직무 분야별 국가직무능력표준개발 연구 동향을 분석한 결과 이러닝콘텐츠개발 직무가 가장 많은 비율을 차지하였고, 그 다음으로 고등교육, 기업교육, 경력지도, 유통관리, 출판기획순으로 낮게 나타났다. 이외 나머지 학회는 모두 동일한 수준으로 가장 낮은 비율로 나타났다. 넷째, 연구자 구성별 국가직무능력표준 개발 연구 동향을 분석한 결과 단독 연구가 가장 많은 비율을 차지하였고, 공동 연구의 경우 연구원 수가 2인이 가장 많은 비율을 차지하였다. 그 다음으로 3인과 4인 이상의 연구원 수는 모두 동일한 수준으로 가장 낮은 비율로 나타났다. 다섯째, 연구 방법별 국가직무능력표준 개발 연구 동향을 분석한 결과 개발 연구가 가장 많은 비율을 차지하였고, 그 다음으로 문헌 연구, 내용 연구, 양적 연구, 실험 연구 순으로 낮게 나타났다. 여섯째, 연구 대상별 국가직무능력표준 개발 연구 동향을 분석한 결과 기업체(대중소기업)가 가장 많은 비율을 차지하였고, 그 다음으로 2년제 대학, 4년제 대학, 고등학교(직업교육기관), 기타(혼합) 순으로 낮게 나타남을 알 수 있었다.

영문 초록

This study has analyzed the status and trends of studies on National Competency Standards(NCS) development, which were released in Korea from 2001 to October 2013; they are a total of 265 pieces of research data including master’s thesis, doctoral dissertation, academic journals, and data researched and collected from institutions of government research and information services. The research method of this study is as follows. First, the institutions, types, occupational fields, composition of researchers, methods, and target of studies were established, according to the analysis criteria(framework) developed through first and second review, improvement, and complement with NCS researchers, in line with analysis target and procedure. Second, collected data was analyzed using a descriptive statistics program by the analysis item. The research findings are as follows. First, when the trends of studies on National Competency Standards(NCS) development were analyzed by research institution, The Korea Research Institute for Vocational Education and Training, and Human Resources Development Service of Korea represented the highest proportion, followed by Korea Labor Institute, Ministry of Education, and Korea Chamber of Commerce and Industry. Second, when the trends of studies on National Competency Standards (NCS) development were analyzed by research type, the number of doctoral dissertation was relatively small compared to master’s thesis, followed by The Korea Society for Engineering Education, Agricultural Education Association, Architectural Institute of Korea, and Korea Academia-Industrial cooperation Society. All other societies were at a similar level, representing the lowest proportion. Third, when the trends of studies on National Competency Standards(NCS) development were analyzed by occupational field, e-learning content development represented the highest proportion, followed by higher education, corporate training, career guidance, distribution management, and publishing planning. All other academic societies were at a similar level, representing the lowest proportion. Fourth, when the trends of studies on National Competency Standards(NCS) development were analyzed by composition of researchers, independent studies represented the highest proportion. As for joint studies, those with 2 researchers represented the highest proportion. It was followed by studies with 3 researchers, and those with 4 or more researchers, which were at a similar level representing the lowest proportion. Fifth, when the trends of studies on National Competency Standards(NCS) development were analyzed by research method, development research represented the highest proportion, followed by literature research, content research, quantitative research, and experimental research. Sixth, when the trends of studies on National Competency Standards(NCS) development were analyzed by research target, corporations (large ones, small and medium-sized ones) represented the highest proportion, followed by 2-year colleges, 4-year-universities, high schools(vocational schools), and others(mixed).

목차

국문요약
Ⅰ. 서론
Ⅱ. 이론적 배경
Ⅲ. 연구방법
Ⅳ. 연구결과
Ⅴ. 결론 및 제언
참고문헌
Abstract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김동연(Dong-Yeon Kim),김진수(Jin-Soo Kim). (2013).한국의 국가직무능력표준(NCS) 개발 동향 분석. 한국기술교육학회지, 13 (3), 22-46

MLA

김동연(Dong-Yeon Kim),김진수(Jin-Soo Kim). "한국의 국가직무능력표준(NCS) 개발 동향 분석." 한국기술교육학회지, 13.3(2013): 22-46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