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주관적 트라우마 경험으로서의 학업실패 경험

이용수 971

영문명
The Subjective Experience of Academic Failure Trauma
발행기관
경인교육대학교 교육연구원
저자명
황매향(Hwang Maehyang) 조아라(Cho Ahra) 선혜연(Seon Hyeyon) 김영빈(Kim Youngbin)
간행물 정보
『교육논총』제39권 제3호, 145~174쪽, 전체 30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교육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19.09.30
6,40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이 연구는 우리나라 학생들이 학업을 해 나가는 과정에서 경험하는 학업실패의 양상과 극복에 대해 알아보는 것을 목적으로 수행되었다. 이를 위해 수도권 및 중·남부권 소재 4년제 대학에 재학 중인 학부생 514명을 대상으로 자신의 마음에 깊은 상처를 남겼다고 지각하고 있는 주관적 트라우마로서의 학업실패 경험을 개방적 질문지를 통해 수집했다. 이 가운데 고등학교 시기에 경험한 학업실패를 보고한 330사례의 내용을 합의적 질적 분석-수정본(CQR-M) 절차에 따라 분석하였다. 4명으로 구성된 합의팀이 5회에 걸친 합의과정을 거쳐 최종 결과를 도출하였다. 그 결과, 고등학교 시기에 해당하는 학업실패 내용은 5개 범주(불합격, 성적 하락, 공부 도중 느낀 좌절, 주관적 기준 미달, 예기치 못한 사건으로 인한 시험 실패), 학업실패가 마음에 남긴 상처는 5개 범주(정서적 상처, 자아상의 손상, 과제에 대한 부정적 태도와 정서, 관계 악화, 세상에 대한 회의감), , 실패 이후 적응은 3개 범주(실패 극복을 위한 노력, 실패라는 경험을 해보는 것의 효과, 실패 극복 후 얻은 것), 타인의 도움은 2개 범주(도움이 된 사람, 도움의 내용)가 각각 도출되었다. 이러한 연구결과가 우리나라 학생들의 주관적 트라우마 경험으로서의 학업실패를 이해하는데 갖는 의의와 학업상담 실제에 주는 시사점을 중심으로 논의하였다.

영문 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academic failures experienced by Korean students and to investigate how they overcome those failures. For this purpose, 514 undergraduates attending 4-year universities in the metropolitan area and the southern provinces reported their experience of academic failure as a subjective trauma through an open questionnaire. Among these, 330 cases reporting the academic failures experienced during the high school period were analyzed according to the Consensus Qualitative Analysis-Amendment (CQR-M) procedure. The consensus team, consisting of four members, reached a final outcome through 3 consensus sessions. As a result, categories of the academic failure trauma events, wound left in mind, adaption after failure, and other peoples’ help were derived. Each consisted of 5 categories (failure to pass, low grades, frustration felt during study, high expectation, unexpected events), 5 categories (emotional wounds, impairment of self-image, negative attitudes and emotions for the academic tasks, deterioration of relationship, skepticism about the world), 3 categories(coping efforts, profits of failure experience, changes after failure coping) and 2 two categories (helping person, helping content). These findings were discussed in terms of implications for the understanding of students academic failure as a subjective trauma experience and implications for academic counseling practice.

목차

Ⅰ. 서론
Ⅱ. 본론
Ⅲ. 결론
Ⅳ. 논의 및 제언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황매향(Hwang Maehyang),조아라(Cho Ahra),선혜연(Seon Hyeyon),김영빈(Kim Youngbin). (2019).주관적 트라우마 경험으로서의 학업실패 경험. 교육논총, 39 (3), 145-174

MLA

황매향(Hwang Maehyang),조아라(Cho Ahra),선혜연(Seon Hyeyon),김영빈(Kim Youngbin). "주관적 트라우마 경험으로서의 학업실패 경험." 교육논총, 39.3(2019): 145-174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