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박물관교육에서 유물 리터러시 학습 방안 모색

이용수 498

영문명
Learning Method of Artifact Literacy in Museum Education
발행기관
한국박물관학회
저자명
류재만(Jaeman Ryu)
간행물 정보
『박물관학보』제36호, 1~19쪽, 전체 19쪽
주제분류
인문학 > 역사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19.06.30
5,08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유물은 과거에 살았던 사람들에 의해 제작되어 남겨진 물건이며, 그 당시에 살았던 사람들의 삶과 문화가 담겨있는 타임캡슐이기 때문에, 그 시대 사람들의 생활모습과 문화를 추론하는 근거가 된다. 박물관에 탈맥락적으로 전시된 유물을 보고 유물의 용도나 가치를 유추하기란 쉽지 않다. 유물학습은 단편적인 정보를 전달받아 암기하는 위주의 학습이 아니라 유물과 관련된 문화를 이해하는 학습이 되어야 한다. 이를 위해서 유물 리터러시를 통한 유물학습이 요구된다. 유물 리터러시는 유물도 하나의 텍스트로 보고 읽고, 유물에 대해 추론하고, 이야기하고 쓰는(표현하는) 능력이다. 유물읽기는 해석 전략, 학습자 질문생성전략으로 접근할 수 있다. 해석전략은 기호학적 관점, 미학적 관점, 역사적 관점에서 접근 가능하다. 학습자 질문생생전략은 학습자가 모르는 것을 묻는 질문을 생성하고 스스로 답을 찾는 것으로, 메타인지 학습 전략의 하나이다. 유물쓰기(표현)는 유물 해석과 질문생성전략으로 학습자가 알게 된 지식을 활용하여 내러티브를 만들거나 만든 내러티브를 시각적으로 표현하는 것을 말한다. 유물 리터러시를 통해 유물학습이 유물과 관련된 정보를 기억하는 것이 아니라 맥락화시키는 과정이 필요하다. 유물과 관련된 내러티브를 탐구하고 만드는 과정에서 역사적 사고력이나 상상력을 기를 수 있다.

영문 초록

Artifacts are tangible cultural heritage which refers to objects produced by the people of the past throughout their lives. They enable us to understand past cultures because they contain traces of lives in the era. Understanding the culture of the time is difficult if the artifacts are exhibited in a decontextualized manner. In order to understand a culture, an educational approach based on the concept of “artifact literacy” is better than rote learning. Artifact literacy refers to the ability to regard an artifact as a text, which can be read, inferred, talked, and written about. Strategies for reading artifacts include interpretation and learner-generated questioning. Interpretation strategy includes semiotic, aesthetic, historical perspectives. A learner-generated questioning strategy is designed for learners to question and answer themselves. Understanding the materials, inference, and synthesizing allow learners to elaborate on the materials. Writing artifacts is creating narratives by utilizing knowledge that learners acquired through interpretation and questioning strategy. It is necessary for learners to contextualize the artifacts through artifact literacy. Contextualizing artifacts means introducing narratives during the processes of reading, writing, and expressing artifacts. Cultural education is realized during the process of exploring and creating narratives related to artifacts that are the product of culture. Reproducing artifacts is required as well as reading and writing artifacts. In order for artifacts to be not merely products produced in the past but living artifacts, interpretation, reconstruction, and utilization of artifacts from various perspectives and reproducing new creative products are required. This is creating a new culture.

목차

Ⅰ. 여는 글
Ⅱ. 유물 리터러시의 교육적 의의
Ⅲ. 유물 리터러시 교육의 방안
Ⅳ. 유물 리터러시 교육의 사례
Ⅴ. 닫는 글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류재만(Jaeman Ryu). (2019).박물관교육에서 유물 리터러시 학습 방안 모색. 박물관학보, (36), 1-19

MLA

류재만(Jaeman Ryu). "박물관교육에서 유물 리터러시 학습 방안 모색." 박물관학보, .36(2019): 1-19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