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적석목곽묘 피장자의 성별 재고 — 성별이형성을 기초로 한 천(釧)의 계측적 분석을 중심으로

이용수 486

영문명
Biological Sex of the Deceased of Silla Tombs: An Alternative Approach Through the Anthropometric Method
발행기관
한국고고학회
저자명
하대룡(Ha Daeryong)
간행물 정보
『한국고고학보』제111집, 298~343쪽, 전체 46쪽
주제분류
인문학 > 역사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19.06.30
8,32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본고는 잠정적인 추정에 머물러 왔던 적석목곽묘 피장자의 성별 추정에 대해 구체적인 대안을 제시하는것을 목적으로 한다. 먼저 기존 방법론을 검토하여 대부분이 특정 유물에 성별을 부여하는 방식이었음을 밝히고, 특히 칼의 남성성에 대한 과도한 의미부여가 있었음을 지적하였다. 대안적인 방법론으로 인간 신체의 성별 이형성(sexual dimorphism)에 기초한, 착장 유물의 계측적 해석법을 제안하였으며, 그분석 대상으로 금속제 천을 선택하였다. 우선 천의 출토 양상에서 대부분 착장상태임을 확인하고, 제작기법, 착장 방법 등을 검토하여 천의 크기가 착장자의 손 너비와 깊은 관련이 있음을 보였다. 그리고 신라 고분에서 출토된 천 86점의 계측치를 종합한 결과 그 분포 양상이 남녀 손 너비의 성별이형성에 의한이봉분포(二峰分布; bimodal distribution)가 아닌 단봉분포(單峰分布; modal distribution)임을 확인하였다. 이러한 신라 고분 출토 천의 계측치를 야요이 시대 아동 및 성인 남녀 145인이 착장한 패천, 무령왕릉 왕비의 多利作銘銀釧, 현대의 금속제 천 자료를 종합, 비교하여 그것이 여성에 한정된 수치임을 증명하였다. 이상을 통해서 볼 때 신라 고분에서 금속제 천은 여성만 착장하였음을 알 수 있었다. 아울러 적석목곽묘에서 성별특이적인 다른 고고학적 특징을 찾기 위해 천의 착장/미착장 여부와 강한상관을 보이는 물질자료를 확인한바, 그것은 부곽의 설치 여부를 중심으로 한 묘곽 형식인 것으로 드러났다. 착장 위세품이 3점 이상 출토된 경주지역 적석목곽묘를 전수 확인한 결과, 천이 출토된 22기는 예외 없이 모두 두부부장단독곽식묘였고, 반대로 부곽 혹은 족하부의 부곽부를 갖는 주부곽식묘 26기 중에서 피장자가 금속제 천을 착장한 경우는 확인되지 않았다. 이러한 양상은 검토 결과 시간적 변화나 계층적 차이로는 설명이 불가능하였다. 장기간 축적된 자료에서 이처럼 예외 없이 강한 상관관계가 확인되는 양상은, 피장자의 성별에 따라 천의 착장 여부와 묘곽 형식, 특히 부곽의 설치 여부가 결정되었음을강력하게 시사한다. 이를 검증하기 위하여 묘곽 형식을 통한 성별 추정 결과를 현존하는 적석목곽묘 출토 인골의 성별 판단 결과와 비교하였으며, 모든 경우에서 양자가 일치하였다. 여기서 추론하자면 두부부장단독곽식은 기본적으로 여성 묘제이되, 일정 신분 이상의 여성은 천을 착장하였던 것으로, 반대로부곽을 갖는 묘곽 형식은 남성 묘제인 것으로 볼 수 있다. 다만 묘곽 형식을 통한 성별 추정은 적석목곽묘에만 적용 가능하며, 경주의 비적석목곽묘나 지방의 기타 묘제에 적용하는 것에는 한계가 있다.

영문 초록

The biological sex of the deceased of Silla tombs remains a vague issue, despite years of research, due to the absence of human skeletal remains. This study boldly estimated the biological sex of the deceased by looking at proposed metric differences between the size of bangles worn by males and females. According to sexual dimorphism, bangles for different sexes must have a distinctive size difference, showing a bi-modal distribution in terms of their inner size measurement. However, the diameter distribution of bangles from Silla tombs was uni-modal, and through comparison with Japanese Yayoi shell-made bangles worn by 145 male, female skeletons and modern female bangles, it was strongly suggested that only females wore bangles in Silla tombs. As bangles were detected in exclusive types of tombs, it was also suggested that grave planar forms are strongly related with biological sex. This is a grave discovery for Silla archaeology, representing the solving of an important mystery.

목차

Ⅰ. 서론
Ⅱ. 성별 추정의 대안적 방법론과 관련 사례
Ⅲ. 천(釧) 계측을 통한 신라 고분 피장자의 성별 추정
Ⅳ. 적석목곽묘 피장자의 성별
Ⅴ. 결론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하대룡(Ha Daeryong). (2019).적석목곽묘 피장자의 성별 재고 — 성별이형성을 기초로 한 천(釧)의 계측적 분석을 중심으로. 한국고고학보, 111 , 298-343

MLA

하대룡(Ha Daeryong). "적석목곽묘 피장자의 성별 재고 — 성별이형성을 기초로 한 천(釧)의 계측적 분석을 중심으로." 한국고고학보, 111.(2019): 298-343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