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2-4세기 포항 옥성리 일대 고분군의 양상과 그 집단의 동향

이용수 966

영문명
The Nature of the Burial Clusters of Oksung-ri, Pohang and the Associated Political Group of the 2nd to 4th century
발행기관
한국고고학회
저자명
이진혁(Lee Jinhyuk)
간행물 정보
『한국고고학보』제111집, 152~193쪽, 전체 42쪽
주제분류
인문학 > 역사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19.06.30
7,84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본고에서는 2~4세기 포항 흥해 옥성리 일대 목곽묘의 구조와 출토유물 및 부장 양상, 무덤의 입지(이하 이를 통틀어 ‘고분 양상’이라 칭함)를 통시적으로 살펴보고 그에서 간취되는 몇 가지 특징 등을 통해고분 축조집단의 정치적 동향을 일별하고자 하였다. 고분 양상을 통시적으로 살펴보면 크게 3단계로구분 지을 수 있다. I단계는 2세기 중엽에서 3세기 2/4분기에 해당하는 시기로 A1식의 근방형 목곽묘가 출현하고, (최)상위 계층의 무덤에서는 타 지역의 무덤과 비교했을 많은 양의 무기류가 부장되는 점이 주목된다. 이 단계는 옥성리고분군 축조집단의 성장단계로, 이는 동해안 교통로 상에 위치하여 군사적 요충지로서의중요성에 따라 사로국과의 정치・군사적으로 매우 긴밀한 관계하에 가능하였던 것으로 보인다. II단계는 3세기 3/4분기에서 4세기 1/4분기에 해당하는 시기로 동혈·이혈주부곽식(E·F식) 목곽묘가A1식 목곽묘를 대체하고 대부광구호·노형토기 등 기존의 전통적인 부장유물이 소멸하며 경주식 노형기대, 양이부호, 종장판갑, 경옥제 곡옥, 궐수형 철모 등 새로운 기종의 유물이 확인된다. 그리고 기존묘역인 옥성리고분군이 그대로 기능하면서 그에서 수백 미터 떨어진 마산리고분군과 남성리고분군 등새로운 묘역이 조성되는데 각 묘역에서는 대형묘가 조영되며 남성리고분군이 중심묘역으로 부상한다. 이러한 배경에는 역시 사로국의 성장과 관련이 있겠으며 그에 의한 간접지배가 이루어졌거나 그와는달리 옥성리 일대 집단의 자체 성장의 결과로 판단된다. III단계는 4세기 2/4분기로 이후로 III단계의 初까지는 대형묘가 남성리고분군에 한하여 확인되나 4세기3/4분기 이후로는 대형묘의 조영이 중지된다. 더불어 기존 묘역의 옥성리고분군에서는 종래까지 무덤이 조성되어 왔던 고소(高所, 옥성리고분군 ‘나’지구)에 더 이상 무덤이 축조되지 않으며 경주산(계)의신라 전기양식토기가 유행한다. 이러한 점은 옥성리 일대 집단이 경주 사로국에 의해 완전히 복속되었음을 의미하는 바이기도 하지만 한편으로 경주의 사로국이 발전하여 진한의 제 소국들을 통합하고 ‘신라’라는 고대국가로 이행되었음을 의미하는 것이기도 하다.

영문 초록

This study examines the political nature of the group that built the wooden chamber tombs around Oksung-ri in Heunghae by analyzing tomb structure, grave goods, grave goods distribution pattern, and the location of the tombs within the landscape (referred to collectively as ‘tomb aspect’). The ‘tomb aspect’ of the Oksung-ri tombs can be categorized into 3 phases. In Phase 1, dating from the mid 2nd century to the second quarter of the 3rd century, the A1 type wooden chamber tomb appeared and a large number of iron weapons were buried as grave goods. Phase 1 is the stage that witnessed the growth of the Oksung-ri political group. The Saro-guk polity supported this group for protection from invasion by Wa and Mohe, which provided the background for the growth of the Oksung-ri political group. In Phase 2, dating from the third quarter of the 3rd century to the first quarter of the 4th century, E·F type wooden chamber tombs came to replace the A1 type wooden chamber tomb, and traditional grave goods, such as the pedestal jar with a wide rim and brazier-shaped pottery, came to be replaced by the Gyeongju style brazier-shaped pottery stand, jar with two lugs, iron armour with long vertical plates, jade comma-shaped bead, and bracken-shaped iron spearhead. In addition, change could also be observed in terms of burial precinct. The existing burial ground at Oksung-ri continued to be maintained, but at the same time, new burial grounds came to be formed at Namsung-ri and Masan-ri. Of these, the Namsung-ri burial ground represented the central burial precinct. Each of the burial grounds featured large-sized wooden chamber tombs. These Phase 2 ‘tomb aspects’ are seen to be associated with the growth of the Saro-guk polity. In Phase 3, dating to the second quarter of the 4th century and beyond, large-sized wooden chamber tombs were built in the early part of this phase but then disappeared. In addition, the construction of tombs at high locations within the Oksung-ri burial ground came to an end, and the spread of Early Silla style pottery spread could be observed. The ‘tomb aspects’ of Phase 3 are seen to represent the subjugation of the Oksung-ri political group by the Saro-guk polity, at the time when Saro-guk developed into the ancient state, Silla.

목차

Ⅰ. 머리말
Ⅱ. 출토유물의 편년
Ⅲ. 목곽묘의 단계별 변천
Ⅳ. 옥성리 일대 고분군 축조집단의 동향
Ⅴ. 맺음말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이진혁(Lee Jinhyuk). (2019).2-4세기 포항 옥성리 일대 고분군의 양상과 그 집단의 동향. 한국고고학보, 111 , 152-193

MLA

이진혁(Lee Jinhyuk). "2-4세기 포항 옥성리 일대 고분군의 양상과 그 집단의 동향." 한국고고학보, 111.(2019): 152-193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