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이주아동의 학교경험에 관한 연구: 문화기술지방법을 중심으로

이용수 37

영문명
A Study on Immigrant Children s School life
발행기관
한국다문화복지학회
저자명
최은미(Choi Eun-Mi)
간행물 정보
『복지와 문화다양성연구』다문화가족연구 제2집, 21~48쪽, 전체 28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사회복지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08.04.30
6,16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본 연구의 목적은 질적 연구를 통해 이주아동의 관점에서 한국 생활과 학교경험을 살펴봄으로써,이들의 삶과 특성을 있는 그대로 이해하고 이들의 학교경험을 탐색하고자 한다. 이러한 연구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연구에서는 ‘이주아동의 학교경험의 의미는 무엇인가?’ 를 연구문제로 설정하였다. 연구방법은 문화기술지방법을 사용하였으며,연구현장은 부천의 한 동아리 모임으로 설정하였다. 정보제공자들은 13-16세로 분포되어 있는 몽골,페루,우즈베키스탄 국적이었고,심층면접,참여관찰로 자료 수집하고 분석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 얻어진 주요 결과를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이주아동은 학교경험의 의미는 ‘학업문제’ ,‘교우관계’ ,‘교사관계’등 세 가지 영역으로 나눌 수 있었다. 특히 이주아동에게 학교에서 적응의 의미는 때로 ‘포기’혹은 ‘자신의 정체성 회피’ 로 나타나 이들이 현상적으로는 잘 적응하고 있다고 하지만,이들의 경험 속에서 보면 자신을 버리는 방식에서 이루어지고 있었다. 이것은 사회적 기반이 전혀 갖추어지지 않은 상황에서 그들에게 적응을 요구했기 때문에 일어난 현상이라도 볼 수 있다. 이주아동은 6년 정도의 기나긴 시간을 거쳐 적응하였고, 현재 자신들이 원하는 것을 찾아서 앞으로 나아가고 있고,어떻게 대처해야 하는지를 찾았다. 그러므로 좀 더 초기에 사회의 지원이 있었다면 이들이 그 오랜 시간을 적응하기 위해 혼자 발버둥치지 않아도 되었으리라 사료되어 이들을 위한 사회적 기반과 서비스 마련이 시급함을 강조하는 바이다.

영문 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understand the school life and cultural character of Immigrant Children in Korea. It is important experiences of Immigrant Children to accept the new lingua and culture instead of the original lingua and culture in school. This study w ill describe what their experiences are in interaction w ith school system and how they adapt to new school life as their aspect. The research field is a self-help group, which consists of 7 immigrant children aged 13 to 16. Data for analysis are gained mainly from interviews w ith key informants and participant observation. The major findings are follows. The Immigrant children s school experiences have three parts, in Education, Classmate relationship and School teacher relationship. In Education, it was based that they had the poor surrounding w ith low linguistic skill and their parent s social status. Despite their usage of two languages, it was difficult to express their emotions and ideas and to understand the more words in the higher grade. And their parent didn t support them, but also provided the poor surrounding w ith their low social status. Because of these difficulties, they had no interest and self-esteem in education, then gave up it. Also for them, the relationship of the classmate and the school teacher were considered as more important point than the education problems. Sometimes they couldn t redeem and be unfaithful their existences because of the foreigner and the age gap in the relationship of the classmate. Moreover they have to be Korean students as the teacher s instruction. They got the coping methods for protecting theirselves without their parents in school. Also they built self-dependence group and used the supports of neighborhood and religion for self-esteem. Specially they had experiences of class leaders, because they were the foreigner. After these experiences, their self-esteem and intention were higher as the good model of another foreign-friend. Other hand, they had many challenges of society, and faced them theirselves. In this situation, sometimes the their school adaptation implies abandonment or evasion of self-identification. Because it is too difficult for Immigrant Children to adapt theirselves to new school life without social base. Therefore this study emphasize the importance of suppling the social base and professional helping service for them.

목차

1. 문제제기와 연구목적
2. 문헌고찰
3. 연구방법 및 절차
4. 연구결과
5. 결 론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최은미(Choi Eun-Mi). (2008).이주아동의 학교경험에 관한 연구: 문화기술지방법을 중심으로. 복지와 문화다양성연구, 2 , 21-48

MLA

최은미(Choi Eun-Mi). "이주아동의 학교경험에 관한 연구: 문화기술지방법을 중심으로." 복지와 문화다양성연구, 2.(2008): 21-48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