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新羅 積石木槨墓의 墳形과 封墳設計原理

이용수 1058

영문명
Tomb-Shapes and Burial Mound Design Principles of the Wooden Chamber Tombs with Stone Mounds of the Silla Period
발행기관
한국고고학회
저자명
沈炫㬚 (Shim Hyeoncheol)
간행물 정보
『한국고고학보』제109집, 184~215쪽, 전체 32쪽
주제분류
인문학 > 역사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18.12.31
6,64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지금까지 적석목곽묘의 연구 가운데 봉분에 대한 연구는 지극히 기초적이고 초보적인 수준이었다. 이것은 매장주체부와 출토유물 중심의 조사ㆍ연구가 그 원인이었다. 한편, 봉분 또한 해당 묘제를 이해하고 무덤을 축조한 집단의 정체성을 파악할 수 있는 중요한 요소가 될 수 있다. 최근 분포조사와 소규모 발굴 등을 통해 봉분의 규모와 형태를 파악할 수 있는 적석목곽묘 자료는 지속적으로 증가하였으며, 측량기술의 발달로 인해 도면 또한 더욱 정밀해졌다. 이 글은 이러한 최근의 상황에 맞춰 적석목곽묘의 봉분을 전면적으로 검토하고자 한 것이다. 그 결과, 적석목곽묘의 봉분은 타원형을 기본형태로 하며, 타원의 개념과 작도방법을 정확히 이해한 상태에서 엄격한 설계원리에 따라 축조되었음을 확인하였다. 적석목곽묘 축조의 전 시기에 걸쳐 타원형봉분을 만들었으며, 봉분의 규모에 따라서는 일부 초점의 위치를 바꾸는 등 설계원리를 다르게 적용하였다. 또한 묘역의 범위와 공간적 한계 등을 고려하여 최초의 설계를 변경하여 봉분형태를 약간 변형하기도 하였다. 봉분설계 과정에서는 장축의 길이만 설정하였으며, 단축의 길이는 초점의 위치에 따라 자연스레 결정되게 하였다. 따라서 적석목곽묘 봉분의 비율은 시간적인 변화와 상관없이 일정한 폭을 유지하면서 나타났다. 이는 봉분의 규모나 묘곽의 형태 변화와도 크게 무관하며, 일정한 원리에 따라 봉분이 설계된 결과였다. 봉분의 규모, 묘곽의 형태와 상관없이 적석목곽묘를 축조한 전 시기 동안 모든고분이 동일한 설계원리에 의해 축조된 것이다. 이렇듯 완벽한 설계에 의해 완성된 타원형봉분은 적석목곽묘를 이해하는 또 다른 핵심 요소 중 하나가 된다.

영문 초록

In studies of wooden chamber tombs with stone mounds, the examination of the burial mound has remained at a basic and priliminary stage. However, data concerning burial mound size and shape have continued to increase as a result of surveys on tomb distributions and small-scaled excavations. In addition, the development of surveying technologies has made it possible to produce more precise drawings. This study attempts an overall review of the burial mounds of wooden chamber tombs with stone mounds, according to recent trends and situations. Based on the study, it was confirmed that the burial mounds of wooden chamber tombs with stone mounds were basically oval-shaped and built according to strict principles of design that were based on an accurate understanding of the concept of an oval, as well as how to draw it. Oval-shaped mounds were built throughout the entire period that wooden chamber tombs with stone mounds were in use but the principles of design were differently applied – for example, the focal point could differ depending on the size of the mound. In addition, the original design could be modified and the shape of the mound changed slightly according to the scope of the burial site or spatial limitations. In designing the burial mound, the length of the long axis was established first, and the length of the short axis was naturally determined according to the location of the focal point. Therefore, the ratio of the burial mounds of wooden chamber tombs with stone chambers appears to have been consistent regardless of temporal change.

목차

Ⅰ. 머리말
Ⅱ. 기본 분형
Ⅲ. 봉분 설계원리와 순서
Ⅳ. 타원형봉분 설계의 의미
Ⅴ. 맺음말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沈炫㬚,(Shim Hyeoncheol). (2018).新羅 積石木槨墓의 墳形과 封墳設計原理. 한국고고학보, 109 , 184-215

MLA

沈炫㬚,(Shim Hyeoncheol). "新羅 積石木槨墓의 墳形과 封墳設計原理." 한국고고학보, 109.(2018): 184-215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