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신라 단판능선연화문수막새의 계통과 전개

이용수 831

영문명
A Study on the Lineage and Development of Silla Danpan Neungseon Yeonhwamun Sumaksae (DNYS)
발행기관
한국고고학회
저자명
하근영(Ha Geunyeong)
간행물 정보
『한국고고학보』제109집, 256~291쪽, 전체 36쪽
주제분류
인문학 > 역사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18.12.31
7,12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본고는 신라를 비롯하여 중국 남조, 백제, 일본 등 동아시아지역에 분포하는 단판능선연화문수막새의개념 및 범위를 명확히 하여 기존 분류체계와 다른 시각에서 신라의 단판능선연화문수막새 형식 분류와 편년을 검토하고 이를 바탕으로 기원과 계통을 살펴보는 데 목적이 있다. 그리고 통일신라 이전 신라의 대외적인 문화교류 양상의 일면도 파악해 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경주지역 출토 신라 단판능선연화문수막새를 대상으로 속성분석 및 형식 분류를 행하고 이를 기초로 단판능선연화문수막새를 총 4 단계 구분, 편년하였다. 각 단계는 문헌사료와 다른 지역 형식들과의 상호 비교·검토를 통해 연대를 부여하였다. 이를 바탕으로 형식적 속성과 편년을 중국 남조 및 백제 수막새와 비교·분석한 결과, 신라의 단판능선연화문수막새는 6세기 3/4분기에 수용된 남조 연화문과 기존에 백제에서 유입된 조와기술이 결합되어출현한 것으로 판단된다. 특히, 문헌기록에서 보이는 신라의 대외교류와 황룡사 장육존상, 팔관회 등에서 나타나는 남조 불교문화의 영향이 그 배경이 되었을 것으로 추정된다. 이후 6세기 4/4분기 황룡사중건이라는 국가적 건축공사를 위해 백제의 선진문물을 받아들이면서 단판능선연화문수막새에는 백제적 요소가 부분적으로 결합된다. 이러한 역사적 배경 속에서 남조와 백제의 와전문화 요소들을 수용하여 성립한 신라 단판능선연화문수막새는 7세기 1/4분기~2/4분기에 신라만의 특징적인 요소를 가진 형식으로 발전, 성행하면서 독자적인 신라 와전문화의 한 부분으로 자리 잡는다.

영문 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larify the concept and scope of Danpan Neungseon Yeonhwamun Sumaksae (DNYS, convex roof-end tiles with a singlepetaled lotus design and line), which have been found distributed throughout East Asia, including Silla, Baekje, the Southern Dynasties, and Japan, in order to examine the typology and chronology of Silla DNYS and consider their lineage and development. Based on the results, the nature of Silla’s international cultural exchange prior to unification is also addressed. To reach the goal, this study analyzes the attributes of, and builds a typology for, DNYS excavated around Gyeongju area. A total of four chronological stages are established through comparison and examination with the typologies of other regions. Morphologic attributes and manufacturing techniques indicate that Silla DNYS may have emerged as a result of the combination of the lotus design of the Southern Dynasties (introduced in the third quarter of the 6th century) and the roof tile manufacturing technique introduced from Baekje (at an earlier time), based on a comparison with the roof tiles of the Southern Dynasties and Baekje. In particular, it is presumed that Silla DNYS may have resulted from Silla’s foreign exchange, in particular elements of the Buddhism of the Southern Dynasties which is also reflected in the Jangyukjjonsang of Hwangnyongsa Temple, Palgwanhoe, and other written sources. In the fourth quarter of the 6th century, Baekje elements were partially absorbed into Silla DNYS when Baekje’s advanced culture was adopted in association with national construction projects, namely the construciton of Hwangnyongsa Temple. In this historical context, DNYS, which had been established by accepting roof tile and brick culture elements of the Southern Dynasties and Baekje, developed into the characteristic type of Silla in the first quarter of the 7th century. By the second quarter of the 7th century, it was firmly established as part of Silla’s roof tile and brick culture.

목차

Ⅰ. 머리말
Ⅱ. 형식 분류와 단계 설정
Ⅲ. 남조 및 백제 단판능선연화문수막새와 비교·검토
Ⅳ. 단판능선연화문수막새의 성립과 전개
Ⅴ. 맺음말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하근영(Ha Geunyeong). (2018).신라 단판능선연화문수막새의 계통과 전개. 한국고고학보, 109 , 256-291

MLA

하근영(Ha Geunyeong). "신라 단판능선연화문수막새의 계통과 전개." 한국고고학보, 109.(2018): 256-291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