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한반도 출토 인골의 황 안정동위원소를 통해 본 선사시대 사람들의 이주와 식단 연구

이용수 1248

영문명
Sulphur Isotope Analysis of Bone Collagen from Archaeological Human Remains in Southeastern Korea: Interpreting Human Migrations and Paleodiets in Korean Prehistory
발행기관
한국고고학회
저자명
최경철(Choy Kyungcheol)
간행물 정보
『한국고고학보』제109집, 40~65쪽, 전체 26쪽
주제분류
인문학 > 역사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18.12.31
5,92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최근에 국내에서도 고고학적 유적에서 출토된 인골과 동물 뼈를 이용한 고식단 연구를 위해서 안정동위원소 분석이 시행되고 있다. 현재까지 대부분의 연구는 탄소와 질소 안정동위원소를 이용한 선사시대 생업활동의 복원에 초점을 맞춰 진행되고 있다. 탄소와 질소 안정동위원소와 더불어 황 안정동위원소도 고식단의 복원에 유용할 뿐만 아니라 탄소와 질소 안정동위원소에서 확인할 수 없는 선사시대 인간과 동물의 이주의 양상을 도출할 수 있는 유용한 연구방법이다. 본 연구에서는 새롭게 주목받고 있는 연구방법인 황 안정동위원소를 소개하고 한반도에서 출토된 인골(n=14)과 동물 뼈(n=17) 황 안정동위원소 분석을 실시하여 선사시대 사람들의 식생활과 이주를 복원하고자 하였다. 황 안정동위원소의 차이는 황의 기원이 되는 암반과 토양, 해수의 황 동위원소 값과 인간과 동물이 소비한 음식에 포함된 황 동위원소의 값 차이에 기반한다. 본 연구의 결과 황 안정동위원소는 각 유적의 거주민들이 소비한 식재료의 기원뿐만 아니라 이주의 가능성을 제시해 주었다. 해안가에 위치한 부산 동삼동유적의 경우 주로 해양성 식료를 섭취한 반면 내륙에 위치한 김해 예안리, 영주 순흥 읍내리 고분의 경우는 육상자원을 주로 섭취하였다. 하지만 사천 늑도 유적의 경우 비록 유적이 해안가에 위치하고 있지만 이들은주로 육상의 식료를 이용하였으며 특히 늑도 출토의 육상동물들은 내륙에서 이동했을 가능성이 높아보였다. 부산 동삼동은 해안가 주변에서 주로 활동하였고 김해 예안리와 영주 순흥 고분의 사람도 모두그 지역을 크게 벗어나지 않고 활동하였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영문 초록

Sulphur isotopic analysis was conducted on bone collagen extracted from human (n=14) and faunal (n=17) samples from four archaeological sites in Korea. From the data it is suggested that differences between the sulphur isotopic compositions of bone collagen can be attributed to both different geological backgrounds and dietary resources. The overall range in the sulphur isotopic composition provides distinct results between terrestrial and marine diets. The Tongsamdong people were more heavily dependent on marine diets compared to those from the other three sites (Nukdo, Yeanri, and Sunhung). The δ34S results indicate that terrestrial mammals from the Nukdo shell midden may have migrated to the coastline temporarily from further inland. Furthermore, sulphur isotopic data suggest that Nukdo people might have migrated to the small island from the mainland. The sulphur isotope results show that the humans from Yeanri and Sunhung had a uniform terrestrial-based diet. In combination with δ3C and δ15N values, sulphur isotopes can be used to study marine food consumption in ancient populations and to detect human and animal movement in prehistoric Korea.

목차

Ⅰ. 서론
Ⅱ. 고고학에서 황 안정동위원소 분석
Ⅲ. 한반도의 황 안정동위원소의 지질적 분포
Ⅳ. 황 안정동위원소를 이용한 남동부 지역의 생업 및 이주에 관한 연구
Ⅴ. 결론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최경철(Choy Kyungcheol). (2018).한반도 출토 인골의 황 안정동위원소를 통해 본 선사시대 사람들의 이주와 식단 연구. 한국고고학보, 109 , 40-65

MLA

최경철(Choy Kyungcheol). "한반도 출토 인골의 황 안정동위원소를 통해 본 선사시대 사람들의 이주와 식단 연구." 한국고고학보, 109.(2018): 40-65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