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중국 산동성 북조 보살상의 매미문(蟬文) 보관에 대한 고찰

이용수 81

영문명
A Study on the Cicada-patterned Crowns of Bodhisattva Statues Discovered in Shandong Province Dating From the Northern Dynasties Period
발행기관
동국역사문화연구소
저자명
양은경(Yang Eun-gyeng)
간행물 정보
『동국사학』제65권, 197~234쪽, 전체 38쪽
주제분류
인문학 > 역사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18.12.31
7,36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본고에서 고찰한 연구대상은 산동성에서 발견된 북조 보살상의 머리를 장식한 매미문양의 보관에 대한 것이다. 남북조시대 보살상 보관의 기원이 인도, 서아시아 계통인 것에 반해 매미문 보관은 중국의 蟬冠 즉 매미문 관과 관련을 가진다는 사실에서 그 특이함과 흥미로움을 유발한다고 말할 수 있다. 그러나 지금까지 두 관은 유사성만이 지적되었을 뿐 구체적이고 심화된 연구는 진행되지 못하였기에 본고를 작성하게 되었다. 우선 보살상이 착용한 매미문 보관의 전체적인 형태는 山形을 이루었으며 각모티프들은 줄기, 둥근 장식, 꽃장식으로 구성되어 있었다. 이와 같은 산형 보관과 각 모티프들은 운강석굴, 공현석굴 등 북조 보살상의 三山冠과 친연성이 강한 것으로 확인되었다. 결국 매미문 보관은 북조에서 성행한 삼산관 보관에 매미문 장식이 첨가된 것으로 판명되었다. 이에 필자는 매미문 금당의 기원 혹은 출처로 언급되는 蟬冠과의 비교고찰을 시도하였다. 그 결과 매미문 보관과 문헌기록, 벽화에서 확인되는 선관은 전체적인 형태에서 서로 다른 모습을 하고 있었다. 선관은 武冠에 매미문 金璫과 담비 털을 부착한 관이었으며, 이 관은 삼산관으로 표현된 보살상의 매미문 관과는 차이가 명확하게 구분되었다. 그러나 보살상의 매미문 장식 즉 璫의 전체적인 형태는 벽화, 陶俑에 부착된 금당과 거의 동일하였다. 더나아가 실제 고고유물로 출토된 매미문 금당과 외형을 비교검토한 결과, 보관 속 매미문 장식물은 4세기 동진대 유물보다 5세기 금당과 더욱 친연성이 강하게 확인되었다. 또한 고고유물로 출토된 금당 속 매미와 보관 속 매미는 신체를 구성한 요소는 서로 동일하였으나 보관 속 매미가 금당보다 간략화되고 단순화되었다는 사실을 알게 되었다. 마지막으로 북조 산동성 보살상의 보관에 매미문 장식물이 도입된 배경과 이유는 기존학계에서 간략하게 언급한 것처럼, 불교의 중국화 혹은 한화와 직결된 것으로 해석되었다. 매미문 보관은 당시 보살상에서 성행한 삼산관에 중국 전통의 매미문양이 결합된 것으로 이는 곧 불교와 실생활의 융합과 조화를 의미하였던 것이다. 필자가 본고를 구상하였을 당시에는 매미문 보관의 기원과 발전양상에 대한 문제도 함께 검토하길 기대하였다. 그러나 비교대상으로 거론되는 남경지역의 남조 보살상이 절대적으로 부족한 현실로 인해 상상력을 달래며 아쉽지만 차후의 연구를 기대해 본다.

영문 초록

This study concerns the cicada-patterned crowns of bodhisattva statues dating from the Southern-Northern Dynasties Period, more specifically the cicada-patterned crowns worn on the heads of three bodhisattva statues found in Shandong Province. It is known that crowns are a recurring motif worn by bodhisattva statues found in India, West Asia, and the Western Regions, but researchers have found an interesting and a possible association between crowns and the Cicada crown(蟬冠), a hat worn by distinguished noblemen in ancient China. However, there has not been much progress in specific and in-depth studies about their association, nor have sufficient studies cicada-patterned seongwan and Gold frontlet(金璫) been conducted. As for the appearance of cicada-patterned crowns worn by bodhisattva statues, they are mountain-shaped and composed of stalks, round ornaments, and floral ornaments. It has been confirmed that both the mountain-like shape and the ornaments are associated with triple mountain-shaped crowns(三山冠) in the Yungang and Gongxian Grottoes dating back from the Northern Dynasties Period, that is, cicada patterns came to be added to triple mountain-shaped crowns, which were popular in the Northern Dynasties. Cicada patterns are the most important feature distinguishing bodhisattva statues with them from others of the period concerned. This study includes a comparative review of the cicada-patterned crowns worn by bodhisattva statues and those worn by distinguished noblemen in ancient China. The latter, which appear in literature records or murals, differ from the former in terms of their overall appearance, and are also attached with martin fur whereas the former are not. However, Cicada crown worn by distinguished noblemen portrayed in olden-day porcelain figurines and murals lack martin fur and look quite similar to those worn by bodhisattva statues found in murals dating from the Northern Dynasties and those displayed in porcelain figurines. It also turns out that compared to the unearthed relics of cicada-patterned Gold frontlet look much more simplistic than those portrayed on bodhisattva statues. It is assumed that the depiction of cicada-patterned ornaments, which symbolized supreme power and nobility at that time, on the crowns worn by bodhisattva statues found in Shandong Province was associated with the adoption of Buddhism in China. The application of the traditional cicada pattern of China to Buddhism-related crowns signified the convergence of people s daily life with Buddhism.

목차

Ⅰ. 머리말
Ⅱ. 보살상의 매미문 보관
Ⅲ. 실생활 속 蟬冠, 金璫과의 연관성
Ⅳ. 매미문 보관 보살상의 의미
Ⅴ. 맺음말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양은경(Yang Eun-gyeng). (2018).중국 산동성 북조 보살상의 매미문(蟬文) 보관에 대한 고찰. 동국사학, 65 , 197-234

MLA

양은경(Yang Eun-gyeng). "중국 산동성 북조 보살상의 매미문(蟬文) 보관에 대한 고찰." 동국사학, 65.(2018): 197-234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