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사회과에서 반성적 탐구의 본질

이용수 216

영문명
The Nature of Reflective Inquiry in Social Studies
발행기관
한국사회과수업학회
저자명
이태성(Lee, Tae Seong)
간행물 정보
『사회과수업연구』제6권 제2호, 111~134쪽, 전체 24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교육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18.12.31
5,68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본 연구의 목적은 사회과 교육에서 주창되는 반성적 탐구의 본질을 규명하는 것에 있다. Dewey의 반성적 사고 개념에 기초한 반성적 탐구는 사회과 교육에서 하나의 전통으로 자리매김하며, 문제 해결력 및 의사 결정력 함양이라는 시민성 교육의 새로운 방향을 제시해 왔다. 오늘날 반성적 탐구를 지지하는 학자들은 자신들의 학문적 결에 따라 반성적 탐구를 위한 다양한 접근들을 제안하고 있다. 이러한 시도들에서 반성적 탐구의 본질에 대한 설명은 대부분 생략되어 있거나, 이미 합의된 것으로 전제된다. 그러나, 반성적 탐구의 본질에 대한 심도 있는 이해 없이, 반성적 탐구라고 가정되는 다양한 모형이나 절차들에 대한 관심과 집중만으로는 진정한 반성적 탐구에 도달하기 어렵다. 심지어, 이와 같은 무비판적인 추종은 반성적 탐구의 본질을 왜곡할 소지가 있다. 이에 연구자는 사회과에서 논의되는 반성적 탐구의 본질을 재정립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크게 세 가지의 작업을 진행하였다. 우선, 사회과에서 반성적 탐구의 전통을 공식화했던 Barr, Barth, Shermis의 논의를 집중적으로 검토하여 반성적 탐구 전통의 핵심 가정들을 정리하였다. 다음으로, 반성적 탐구 전통과 같은 노선으로 평가되는 다른 사회과 교육학자들의 관점에 터하여 Barr, Barth, Shermis의 논의를 비판적으로 평가하였다. 끝으로, Dewey의 관점을 근거로 하여 반성적 탐구의 본질을 새롭게 제시하였다. 연구자가 수행한 이론적 고찰은 반성적 탐구에 대한 사회과 교육 내부의 관점을 유기적으로 분석하고 있다는 점에서 반성적 탐구를 지향하는 사회과 교육자들에게 하나의 기준점이 될 수 있을 것이다.

영문 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dentify the nature of reflective inquiry advocated in social studies education. The reflective inquiry based on Dewey s reflective thinking has become a tradition in social studies education, and it has suggested a new direction to citizenship education such as problem solving and decision making. However, without understanding the nature of reflective inquiry, it is difficult to reach genuine reflective inquiry only with attention and concentration on various models or procedures that are supposed to be reflective inquiries. Therefore, the nature of reflective inquiry discussed in social studies education needs to be redefined. To accomplish this, three tasks were performed. First, the core assumptions of the discussion were summarized based on the intense examination of the argument of Barr, Barth, and Shermis, who formulated the tradition of reflective inquiry in social studies. Next, the argument of Barr, Barth, and Shermis were critically evaluated from the perspective of other scholars who were on the same line with reflective inquiry. Finally, based on Dewey s perspective, the nature of reflective inquiry is newly presented. Although this theoretical review is another point of view that has been established in the limited educational experience, it can be an important reference for social studies educators who pursue reflective inquiry in that it synthetically analyzes the viewpoints of social studies education on reflective inquiry.

목차

Ⅰ. 머리말
Ⅱ. 반성적 탐구로서 사회과의 주요 개념
Ⅲ. 반성적 탐구에 대한 비판적 평가
Ⅳ. 반성적 탐구의 본질에 대한 재음미
Ⅴ. 맺는말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이태성(Lee, Tae Seong). (2018).사회과에서 반성적 탐구의 본질. 사회과수업연구, 6 (2), 111-134

MLA

이태성(Lee, Tae Seong). "사회과에서 반성적 탐구의 본질." 사회과수업연구, 6.2(2018): 111-134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