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교육인류학적 수업개선모델의 이론적·방법론적 난점과 수업개선 효과의 불확실성

이용수 16

영문명
Theoretical and methodological limitations of ‘Lesson Conversation Model’ and uncertainty of its effects of improving teaching
발행기관
교육종합연구원
저자명
김천기(Kim Cheon Gie)
간행물 정보
『교육종합연구』제12권 제4호, 71~104쪽, 전체 34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교육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14.12.31
6,88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혁신학교 수업개선 모델로 인식되고 있는 교육인류학적 ‘수업대화모델’은 교육인류학적인 배경을 기반으로 질적 연구방법을 적용하여 수업을 개선할 수 있는 독특한 방법을 제시하고 있다는 점에서 다른 혁신학교 수업모델과 차별성이 있다. 이 연구에서는 수업대화모델이 갖는 이론적·방법론적 특징과 그 난점을 고찰해보고, 나아가 수업대화모델이 목표로 하는 수업개선효과가 실제 있는지를 밝히고자 하였다. 이 연구내용은 크게 두장으로 구성되어 있다. 첫 장에서는 교육인류학적 수업대화모델의 이론과 방법을 검토하였으며, 두 번째 장에서는 수업대화모델 적용 사례를 검토하였다.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이론적 방법론상의 난점으로는 첫째, 왜 아이의 눈으로 수업을 보아야 하는지 이론적 근거가 되는 에믹의 관점과 듀이의 관점이 구분되지 않고 사용되고 있으며, 수업경험 개념도 듀이의 사고적 경험인지, 현상학적 본질 경험인지가 명료하지 못하다. 연구방법으로는 기본적으로 비참여적 관찰방법과 현상학적 판단중지의 방법이 제한적으로 사용되고 있으며, 이러한 방법론으로 어떻게 아이의 처지에서 아이의 경험을 이해하고 체험할 수 있는지 확실하지 않다. 실제 수업대화모델 적용사례 검토를 통해서 보면, 수업경험은 비참여적 관찰과 판단중지의 방법을 통해서 파악되지 못하고 있으며, 수업분석에 입각한 수업대화를 통해 수업이 개선되었는지도 불확실하다 결론적으로 수업대화모델이 아이의 눈으로 수업보기를 주장하고, 나아가 아이 눈으로 수업하기를 슬로건으로 내세우고 있지만, 해결되지 않은 이론적, 방법론적 난점을 지니고 있다. 보다 이론적으로, 방법적으로 충실한 수업대화모델을 만들기 위해서는 앞서 나타난 한계를 수정 보완하는 작업이 요청된다.

영문 초록

Lesson Conversation Model differs from other educational models in innovation school in that it applies the qualitative research methodology to the improvement of teaching. In this study the purpose is to examine the theoretical and methodological characteristics and limitations and to explore whether the Lesson Conversation Model applied to the school has the effect of improving teaching in the school. The contents of this study consist of two parts. One part is to examine the theory and methodology underlying the Lesson Conversation Model. The other part is to analyze the real application case based on the Model.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 the limitation of theory and methodology of the Model is that first, the theoretical base that one should look at teaching in the eyes of the students is not clear. Emic perspective and Dewey’s perspective is exchangeably used. And whether the concept of learning experience is based on the Dewey’s theory of experience or phenomenological theory of experience is not also clear. The methodologies used in the Model is the non-participatory observation and partly phenomenological bracketing. It is questionable that the methodologies can help the teachers to understand the experience of the students and its meaning from the students’eyes. In the real application case, their experience could not be known through the methodologies of non-participatory observation and partly phenomenological bracketing. There was little evidence that the Lesson Conversation Model applied to the school had the effect of improving teaching in the school. In conclusion, Lesson Conversation Model has to be improved by overcoming the theoretical and methodological limitations.

목차

Ⅰ. 들어가는 말
Ⅱ. 교육인류학적 수업대화모델의 이론과 방법 검토
Ⅲ. 수업대화모델 적용 사례 검토
Ⅳ. 결론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김천기(Kim Cheon Gie). (2014).교육인류학적 수업개선모델의 이론적·방법론적 난점과 수업개선 효과의 불확실성. 교육종합연구, 12 (4), 71-104

MLA

김천기(Kim Cheon Gie). "교육인류학적 수업개선모델의 이론적·방법론적 난점과 수업개선 효과의 불확실성." 교육종합연구, 12.4(2014): 71-104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