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지역아동센터를 이용하는 학령초기 아동의 발달 특성에 따른 유형 분석과 영향요인 검증

이용수 917

영문명
Developmental Profiles of School-aged Children using Korean Child Community Centers and Developmental Environments as Predictors
발행기관
한국인간발달학회
저자명
이보람(Lee, Boram) 박혜준(Park, Hye Jun) 김수정(Kim, Soo jung) 김부열(Kim, Booyuel) 김태종(Kim, Tae Jong)
간행물 정보
『인간발달연구』제25권 제3호, 153~180쪽, 전체 28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심리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18.09.30
6,16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이 연구는 학령초기 아동의 방과 후 돌봄의 대안으로 주목 받고 있는 지역아동센터에 주목하여 지역아동센터 이용 아동의 인지, 언어, 사회정서 발달을 표준화된 검사 도구를 활용하여 측정하고, 발달 특성에 따라 유형을 분석한 후에 가족, 학교 및 지역사회를 포괄하는 환경요인의 영향력을 살펴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하여 지역아동센터를 이용하는 학령초기 아동과 주양육자 113쌍을 대상으로 발달검사 및 설문조사를 실시하고, 잠재프로파일 분석과 이항로지스틱분석을 적용하여 발달 유형을 분석하고 영향요인을 검증하였다. 연구결과, 지역아동센터를 이용하는 학령초기 아동의 발달수준은 전반적으로 정상분포에 속하나 개인차가 큰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집단 내 발달 유형은 인지, 언어발달에서는 차이가 없었지만 사회정서 발달영역에서만 차이가 나타났으며, 집단은 ‘사회정서발달 부진’(43.6%)과 ‘사회정서발달 정상’(56.4%)의 두 집단으로 분류되었다. 마지막으로, 발달 유형에 영향을 미치는 환경요인을 분석한 결과 주양육자의 우울수준이 낮고 지각된 사회적 지지가 높을수록, 아동의 학교교우관계가 좋을수록, 주당 지역아동센터 이용시간이 길수록 ‘사회정서발달 정상’집단에 속할 확률이 높았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토대로 단순히 돌봄 공백을 해소하는 것에 집중하기보다는 아동의 발달역량을 강화할 수 있는 돌봄 환경을 마련하기 위해서 사회정서발달을 중점적으로 고려할 필요가 있으며 아동을 둘러싼 다양한 환경체계 간의 연계와 협업이 중요하다는 결론을 도출하였다.

영문 초록

The aims of this study were (1) to examine the characteristics and profiles of the cognitive, language and socio-emotional development of children using community child center, (2) to identify the influence of environmental factors. For theses purposes, developmental tests and questionnaires were conducted on 113 pairs of children and caregivers. To solve the research questions, latent profile analysis was used for identifying distinct group and binomial logistic analysis was employed for finding the environmental predictors influencing developmental profiles. The results showed that the degree of child’s development showed a large individual difference and subgroups were classified into two groups, ‘underachievement of socio-emotional development’ and ‘normal achievement of socio-emotional development’. The difference between two groups was found to be only in a socio-emotional development. Finally, the results showed that as the depression level of the caregiver was lower, the followign effects were found: higher perceived social support, the children s greater ability to develop school friendship longer partronage of the other, and higher probability of belonging to the ‘normal achievement of socio-emotional development’ group. Based on these results, it is important to focus on socio-emotional development and the ecological environment-including family, school, and community-to go beyond addressing the absence of care and also strengthen children’ developmental potential.

목차

Ⅰ. 서 론
Ⅱ. 연구방법
Ⅲ. 결과 및 해석
Ⅳ. 논의 및 결론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이보람(Lee, Boram),박혜준(Park, Hye Jun),김수정(Kim, Soo jung),김부열(Kim, Booyuel),김태종(Kim, Tae Jong). (2018).지역아동센터를 이용하는 학령초기 아동의 발달 특성에 따른 유형 분석과 영향요인 검증. 인간발달연구, 25 (3), 153-180

MLA

이보람(Lee, Boram),박혜준(Park, Hye Jun),김수정(Kim, Soo jung),김부열(Kim, Booyuel),김태종(Kim, Tae Jong). "지역아동센터를 이용하는 학령초기 아동의 발달 특성에 따른 유형 분석과 영향요인 검증." 인간발달연구, 25.3(2018): 153-180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