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만 5세 유아의 또래놀이 단절과 학교준비도의 관계

이용수 904

영문명
Peer Play Discontinuity and School Readiness in 5-year-olds: The Moderating Effect of Social Competence
발행기관
한국인간발달학회
저자명
홍예지(Hong, Yea-Ji) 안혜령(An, Hye-Ryung) 이강이(Lee, Kangyi) 최나야(Choi, Naya)
간행물 정보
『인간발달연구』제25권 제3호, 133~152쪽, 전체 20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심리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18.09.30
5,20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이 연구는 만 5세 유아의 또래놀이 단절, 사회적 유능감 및 학교준비도의 관계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육아정책연구소에서 실시한 한국아동패널 7차년도 자료의 유아 총 1,144명의 자료를 활용하였다. 기술통계, 신뢰도 및 상관관계를 분석하였으며, 만 5세 유아의 또래놀이 단절과 학교준비도의 관계에서 사회적 유능감의 조절효과를 위계적 회귀분석을 실시하여 검증하였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만 5세 유아의 또래놀이 단절은 이들의 사회적 유능감 및 학교준비도의 모든 하위요인인 사회․정서발달, 학습에 대한 태도, 의사소통 이해 및 인지발달과 일반적 지식과 통계적으로 유의한 관계를 보였다. 둘째, 만 5세의 유아의 사회적 유능감의 조절 효과를 확인한 결과, 이들의 사회적 유능감의 수준에 따라 또래놀이 단절이 학교준비도의 사회․정서발달, 학습에 대한 태도 및 의사소통 이해에 미치는 영향이 다름을 확인하였다. 이와 같은 결과는 학령기로의 전이를 앞둔 만 5세 유아의 또래놀이 단절이 학교준비도에 미치는 영향에서 타인과의 관계를 통한 사회적 기술인 유능감의 발달이 중요하며, 이들의 원만한 학교환경으로의 전이를 도울 수 있도록 학교준비도를 높이는데 시사점을 제공할 수 있을 것이다. 이 연구의 결과를 토대로 관련 논의와 후속 연구에 대한 제언을 제시하였다.

영문 초록

The study investigated the relationship among peer play discontinuity, social competence and school readiness using data collected from 1,144 five-year old children from the 7th wave of the Panel Study of Korean Children(PSKC). Data were analyzed by means of descriptive statistics, Cronbach’s α, correlation and hierarchical regression analysis to test for the moderating effect of the children’s social competence on the association between peer play discontinuity and school readiness. The results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Firstly, all the variables were significantly related to one another. Secondly, according to the results of the interaction analysis between factors, preschoolers’ social competence moderated the effect of preschoolers’ peer play discontinuity on sub-variables of school readiness, including social-emotional development, attitudes towards learning and communication comprehension. Therefore, this study highlighted the importance of fostering social competence in young children so as to experience an appropriate and smooth transition into school life in the future. Practical implications from these findings and suggestions for direction of future research are also discussed.

목차

Ⅰ. 서 론
Ⅱ. 연구방법
Ⅲ. 결과 및 해석
Ⅳ. 논의 및 결론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홍예지(Hong, Yea-Ji),안혜령(An, Hye-Ryung),이강이(Lee, Kangyi),최나야(Choi, Naya). (2018).만 5세 유아의 또래놀이 단절과 학교준비도의 관계. 인간발달연구, 25 (3), 133-152

MLA

홍예지(Hong, Yea-Ji),안혜령(An, Hye-Ryung),이강이(Lee, Kangyi),최나야(Choi, Naya). "만 5세 유아의 또래놀이 단절과 학교준비도의 관계." 인간발달연구, 25.3(2018): 133-152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