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고려 음각 ‘○’문과 ‘⊙’문청자의 연구

이용수 326

영문명
A Study on Goryo Celadons of intaglio ○ pattern and ⊙ pattern
발행기관
한국대학박물관협회
저자명
한성욱
간행물 정보
『고문화』제70집, 133~161쪽, 전체 29쪽
주제분류
인문학 > 역사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07.12.31
6,28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 문과 ‘⊙’ 문청자는 굽안바닥 중앙에 부호를 새긴 것으로 제작자(工房)를 표기한 것으로 판단된다. 이들 청자가 생산된 곳은 全羅南道 康律郡 大口面 沙堂里 8ㆍ23ㆍ27호 가마터인데 ‘⊙’ 문청자는 23호와 27호에서만 확인되고 있어 그 생산지가 더욱 한정적이다. 기종은 완과 대접, 접시, 잔, 병, 합, 퇴주기 등이 확인되는데 접시가 수량도 많고 기형도 다양하다. 이들 청자는 대부분 전성기 청자의 문양과 같은 陶范을 이용한 壓出陽刻 기법으로 시문하고 있는데, 이는 문양과 크기 등 裝節意匠을 균일하게 유지할 수 있는 제작 방법으로 양질청자를 생산하는데 적합한 방법이다. 또한 이 시기 상감기법이 보편화되지 않았으며, 압출양각 기법을 이용하여 유사한 청자를 다량 생산하여 공급하였음을 알 수 있었다. 이들 청자는 내화토 비짐이 일부 있으나 대부분 全面 施釉 후 U자형 굽의 안바닥에 규석을 받쳐 匣燔하였다. 이들 청자는 江華 熙宗 碩陵과 坡州 惠陰院址, 日本 鎌倉市 若宮大路 武家 家屋 출토품 등을 통해 1230년대를 중심으로 한 13세기 2/4분기에 제작되었음을 알 수 있었다. 따라서 이들 청자는 비색청자를 대부분 12세기로 편년하면서 오는 13세기 청자의 공백을 메워줄 수 있는 매우 의미 있는 자료이다. 그리고 이 시기는 豪古에 의한 외세의 충격이 있었으나 중앙통제가 원활하게 이루어져 비색청자가 계속 생산되었음을 알려 주고 있다. 또한 江華의 甲串里와 官廳里, 行宮의 역할을 하였던 坡州 惠陰院, 지방의 大刹이었던 慶州 佛國寺와 南原 實相寺, 大口所와 인접한 長興의 유력층 유적 등에서 출토되고 있어 상류층을 위해 생산되었음을 알 수 있다.

영문 초록

It is judged that celadons with ○ pattern and ⊙ pattern have the indication of manufacturer by engraving mark at the internal center of the bottom. These celadons were produced at No.8ㆍ23ㆍ27 kiln sites located at Sadang-ri(沙堂里), Daegu-myon (大口面), Gangjin-gun(康津郡), Jeollanamdo(全羅南道), Korea and ⊙ patterned celadon porcelain was found only at No. 23 and 27 kiln sites, so it is assumed that its production sites were limited. Kinds of celadons included bowl, dish, cup, bottle, case and vessel for emptied wine and there were a lot of dishes with a variety of patterns. These celadons were engraved by molded design technique using the same ceramic design as the pattern of celadons in the period of their prosperity and it was appropriate method to produce celadons of a good quality with production method to keep decorative design like pattern or size uniformly. It was also found that inlay method was not universalized in this period and similar celadons were produced with molded design in large quantities. These celadons had partially fire clay temper, but most of them were burnt by supporting the inner bottom of U-rype base with quartzite after whole glazing. It was known through relics excavated at Seokreung(碩陵) royal tomb of King Heejong(熙宗) at Ganghwa(江華) and Hyeeumwon(惠陰院) temple site at Paju(坡州) and military house at Wakamiyaoji(若宮大路) avenue Kamakura(鎌倉)-city, Japan(日本) that these celadons were manufactured at two quarters of the 13th century centering around 1230s. Therefore, these celadons will be significant materials to fill the gap of the celadons in the 13th century resulted from the record chronologically that green celadons were manufactured in the 12th century. And this period was invaded by Mongolia(蒙古), but central control was achieved and green celadons were continuously produced. It was also considered that these celadons were excavated at Gabgot-ri(甲串里) and Gwanchung-ri(官廳里), Ganghwa(江華), Hyeeumwon temple, Paju which played the role of temporary palace. Bulguksa(佛國寺) temple at Gyeongju(慶州), Silsangsa(實相寺) temple at Namwon(南原) and relics of Jangheung(長興) adjacent to Daeguso(大口所) and these were produced for high class.

목차

요약
1. 머리말
2. 역사적 배경
3. 유적 현황
4. 음각 ‘○’과 ‘⊙’ 문청자의 현황
5. 음각 ‘○’文과 ‘⊙’ 문청자의 성격
6. 맺음말
참고문헌
Abstract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한성욱. (2007).고려 음각 ‘○’문과 ‘⊙’문청자의 연구. 고문화, 70 , 133-161

MLA

한성욱. "고려 음각 ‘○’문과 ‘⊙’문청자의 연구." 고문화, 70.(2007): 133-161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