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한 유치원 교사들의 포트폴리오 평가 경험

이용수 23

영문명
Kindergarten teachers experience in portfolio assessment
발행기관
한국교원대학교 유아교육연구소
저자명
류옥미(Ryu Ok Mi)
간행물 정보
『한국유아교육연구』제16권 제1호, 287~306쪽, 전체 20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교육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14.08.31
5,20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본 연구는 포트폴리오 평가를 수행하는 과정에서 나타나는 교사들의 경험은 어떠한지를 알아보는데 목적이 있다. 본 연구의 참여자는 충청남도 소재한 사립, K대학 부설 유치원에 근무하고 있는 교사 6명이다. 연구 기간은 2011년 3월 17일부터 2012년 2월 17일까지 12개월 교사면접과 관찰, 포트폴리오 평가 자료수집, 연간․주간․일일교육계획안 등의 자료를 수집하였다. 자료 분석 6단계로 수집된 자료 전사, 메모작업, 자료의 분류, 범주화, 자료의 해석, 분석 결과의 확인 단계로 이루어 졌다. 연구결과는 첫째. K유치원의 교사들은 포트폴리오 평가에 대한 교사의 망망함이나 두려운 시작하게 된다. 이러한 시작으로 교사들은 포트폴리오에 대한 정확한 개념 없이 평가를 수행하게 되고, 평가를 수행하는 과정에서 예상치 못한 여러 가지난제를 겪게 된다. 둘째. 어렵고 힘든 부분도 많이 있지만, 교사들은 포트폴리오 평가를 진행하면서 신임교사와 경력교사 모두 평가의 가치를 깨달았다. 셋째. 포트폴리오 평가는 교사들에게 어려움만을 주는 것은 아니다. 포트폴리오 평가를 통해 교사들은 수업의 질이 향상되었으며 질적인 상호작용을 제공, 유아를 관찰하는 능력 발달, 개인차를 고려한 수업제공, 유아를 이해하는 능력 향상을 가져다주었다.

영문 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dentify teachers experience in portfolio assessment process. This study surveyed six subjects who work with the kindergarten affiliated with the private university K located in Chungcheongnam-do. The research period was 12 months from March 17, 2011 to February 17, 2012. During the period, teachers were interviewed and observed, portfolio assessment data were gathered, and yearly, weekly and daily teaching plans were gathered. The six data were analyzed using the processes of copying, taking notes, classification, categorization,interpretation, and analysis result confirmation. The result of the first study, teachers had various difficulties evaluating their portfolio. Teachers felt disoriented and confused about assessment, although such feeling intensity varied. Second, teachers overcame the difficulty of portfolio assessment as they evaluated their portfolio. Third, teachers through portfolio assessment has improved the quality of instruction to provide a qualitative interaction, the ability to observe the development of young children, taking into account in dividual differences, providing classes, infant brought to improve the ability to understand.

목차

요 약
Ⅰ. 서 론
Ⅱ. 연구 방법
1. 연구자
2. 연구 참여자
3. K유치원의 포트폴리오 평가
4. 자료 수집 및 분석
Ⅲ. 결과 및 해석
1. 포트폴리오 평가를 수행하면서 어려움을 겪는 교사
2. 포트폴리오 평가를 수행하면서 어려움을 극복하는 교사
3. 포트폴리오 평가를 수행하면서 발전하는 교사
Ⅳ. 논의 및 결론
참고문헌
ABSTRACT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류옥미(Ryu Ok Mi). (2014).한 유치원 교사들의 포트폴리오 평가 경험. 한국유아교육연구, 16 (1), 287-306

MLA

류옥미(Ryu Ok Mi). "한 유치원 교사들의 포트폴리오 평가 경험." 한국유아교육연구, 16.1(2014): 287-306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