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그림책을 활용한 자기표현활동이 유아의 창의성에 미치는 영향

이용수 41

영문명
The effects of self-expressive activities usingpicture books on young children s creativity
발행기관
한국교원대학교 유아교육연구소
저자명
이선민(Lee Sun-Min)
간행물 정보
『한국유아교육연구』제16권 제1호, 89~118쪽, 전체 30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교육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14.08.31
6,40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본 연구는 그림책을 활용한 자기표현활동이 유아의 창의성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알아보는 데 목적이 있다. 연구 대상은 경상북도 포항시에 소재한 2개의 공립유치원에 재원중인 2학급 만 5세 유아 30명이다. 실험집단은 H초등학교병설유치원 만 5세 유아 15명(남 6명, 여 9명)이며, 통제집단은 O초등학교병설유치원 만 5세 유아 15명(남 8명, 여 7명)으로 선정하였다. 연구 도구는 유아의 창의성을 검사하기 위해 개발된 노영희, 김경철, 김호(2006)의 교사용 유아 창의성 평정척도(Teacher s Creativity Rating Scale for Young Children: TCRSYC)를 사용하였다. 실험 집단은 한 권의 그림책과 관련한 자기표현활동을 주 2회씩 총 16회 실시하였고, 통제집단은 5세 누리과정 생활주제에 따른 일반적인 유치원 교육활동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 그림책을 활용한 자기표현활동이 유아 창의성의 하위요인인 확산적 사고, 호기심, 몰입, 탈규범성, 독립성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영문 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find out the effects of self-expressive activities using picture books on young children s creativity. The participants were 30 young children aged 5, in two different classes of two public kindergartens located in P, Gyeongsangbuk-do. The experimental group consists of 15 young children aged 5(6 boys, 9 girls), in the Kindergarten attached to H Elementary School. The control group consists of 15 young children aged 5(8 boys, 7 girls), in the Kindergarten attached to O Elementary School.As for a research tool, this study used “Teacher s Creativity Rating Scale for Young Children: TCRSYC” devised by Noh Young-Hee, Kim Kyoung-Chul and Kim Ho(2006), measure young children s creativity.The experimental group engaged in a self-expressive activities using picture books, while the control group was under a general kindergarten activities with weekly topics based on Nuri Curriculum for 5 year-olds. Self-expressive activities using picture books for experimental treatment was conducted twice a week, totalling 16 times.As a result of self-expressive activities using picture books, the experimental group showed higher score in young children s creativity, than the control group, that is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p<.01). It suggests the self-expressive activities using picture books have a positive effect on the young children s creativity. First, as a result of self-expressive activities using picture books, the experimental group showed higher score in divergent thinking, which is the cognitive factor of young children’s creativity, than the control group, that is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p<.01). Second, as a result of self-expressive activities using picture books, the experimental group showed higher score than the control group, that is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in the dispositional factors of young children s creativity; curiosity(p<.05), flow(p<.05), post-normativity(p<.05) and independence(p<.01).

목차

요 약
Ⅰ. 서 론
Ⅱ. 연구 방법
1. 연구 대상
2. 연구 도구
3. 연구 절차
4. 자료 처리
Ⅲ. 결 과
1. 그림책을 활용한 자기표현활동이 유아의 창의성에 미치는 영향
Ⅳ. 논의 및 결론
참고문헌
ABSTRACT
초록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이선민(Lee Sun-Min). (2014).그림책을 활용한 자기표현활동이 유아의 창의성에 미치는 영향. 한국유아교육연구, 16 (1), 89-118

MLA

이선민(Lee Sun-Min). "그림책을 활용한 자기표현활동이 유아의 창의성에 미치는 영향." 한국유아교육연구, 16.1(2014): 89-118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