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자폐스펙트럼장애아동 가족을 위한 가족미술치료 질적사례연구

이용수 1378

영문명
A Qualitative Case Study on Family Art Therapy for the Family of a Child with Autism Spectrum Disorder
발행기관
한국미술치료학회
저자명
박나현(Park Na-hyun) 김지혜(Kim Ji-hye)
간행물 정보
『미술치료연구』제25권 제4호, 439~462쪽, 전체 24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심리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18.08.10
5,68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본 연구의 목적은 자폐스펙트럼장애아동 가족이 가족미술치료를 통해 어떠한 경험을 하고, 그 의미는 무엇인지 살펴보는 데 있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연구는 질적사례연구 방법을 적용하여 탐색하였다. 본 연구의 참여자는 자폐스펙트럼장애 2급을 진단받은 7세 남자 아동과 부모, 초등학교 4학년과 2학년 여자 아동 2명으로 구성된 가족이다. 사례는 2017년 7월 19일부터 2017년 10월 21일까지 주 1-2회, 회기당 60-90분 동안 진행하여 총 20회기의 탄력성을 위한 가족미술치료를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자폐스펙트럼장애아동 가족의 가족미술치료 경험에 대한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연구 참여자인 자폐스펙트럼장애아동 가족은 가족미술치료 과정에서 가족의 강점을 파악하며 장애아동 가족으로서의 역경에 대한 긍정적 시각을 가졌다. 둘째, 연구 참여자들은 미술작업과 작품을 통해 개방적 자기표현과 의사소통 명료화의 필요성을 인식할 수 있었다. 셋째, 연구 참여자들은 미술과정에서 서로에 대한 이해와 지지를 통하여 상호협력적인 관계를 형성하였다. 이를 종합하여 볼 때, 자폐스펙트럼장애아동 가족은 가족미술치료 과정을 통하여 강점을 파악하고 역경에 대한 긍정적인 시각을 가지며, 안정된 가족구조와 개방적 자기표현, 의사소통을 명료화하는 기회를 경험하였다. 또한 자신과 가족의 역기능적 문제와 해결방법을 발견하여 역경에 적응하는 힘을 발견할 수 있었다.

영문 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termine what experiences for a family of a child with autism spectrum disorder had through family art therapy for resilience and what they meant. For this purpose, a qualitative case study was conducted for exploration. A family consisting of a child diagnosed with autism spectrum disorder, the parents, and two girls, participated in this study. Family art therapy for resilience was given in a total of 20 sessions, 60-90 minutes per session―from July 19 to October 21, 2017. From the results of this study, the following conclusions on the experiences of family art therapy for resilience in the family of a child with autism spectrum disorder were drawn. First, the family of a child with autism spectrum disorder identified the strengths of the family and developed positive views of hardships for the family of a disabled child. Second, the participants were enabled to understand the need to make open self-expression and clarify communication through art therapy. Third, the participants established mutually cooperative relationships through the mutual understanding and support during the course of art. To put these conclusions together, the process of family art therapy for resilience generated positive views of hardship, stabilized the family structure, encouraged the family to embrace open self-expression, and clarified family communication.

목차

I.서론
II.연구방법
III.연구결과
IV.논의 및 결론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박나현(Park Na-hyun),김지혜(Kim Ji-hye). (2018).자폐스펙트럼장애아동 가족을 위한 가족미술치료 질적사례연구. 미술치료연구, 25 (4), 439-462

MLA

박나현(Park Na-hyun),김지혜(Kim Ji-hye). "자폐스펙트럼장애아동 가족을 위한 가족미술치료 질적사례연구." 미술치료연구, 25.4(2018): 439-462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