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초등학생의 공격성 선별도구로서의 얼굴자극그림검사(FSA) 타당화 연구

이용수 156

영문명
Validity of the FSA as a Screening Tool for the Aggression in Elementary School
발행기관
한국미술치료학회
저자명
김영은,김갑숙
간행물 정보
『미술치료연구』제22권 제4호, 1039~1062쪽, 전체 24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심리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15.08.10
5,68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본 연구의 목적은 FSA를 통해 초등학생의 공격성 정도에 따른 반응특성 관계를 살펴보고 초등학생의 공격 성을 변별할 수 있는 투사검사 도구로서 FSA의 유용성을 제시하고자 하는 것이다. 연구대상은 D시와 G시의 초등학교 4학년에서 6학년 학생 237명이었다. 연구도구는 초등학생용 공격성 척도검사, 얼굴자극그림검사(Face Stimulus Assessment)를 사용하였다. 자료 분석으로는 기술통계, 상관분석, 교차분석, 판별분석을 실시하였으며 본 연구에 나타난 결과는 다음과 같다. 공격성 정도에 따라 FSA 자극그림 1에서 유의미한 차이를 보인 변인들 의 변별력은 70.9%, 자극그림 2에서는 70.9%, 자극그림 3에서는 73.1%로 차이가 있었다. 이상에서와 같이 공격 성 정도에 따라 FSA 자극그림 1, 2, 3에서 공통적으로 차이를 보인 변인은 ‘논리성’, ‘사실성’, ‘발달단계’, ‘선의 질’, ‘그림의 정서적 내용’이었다. 공격성이 높은 아동일수록 비논리적이며 단순화된 그림의 표현이 많았다. 또 한, 실제 연령보다 발달단계가 낮은 그림의 표현이 많고 통제가 되지 않거나 흔들리는 선을 사용하며 그림의 정서적 내용은 부정적인 감정을 포함하는 경우가 많았다. 본 연구 결과를 통해 아동의 공격성을 선별하는데 사 용되는 기존의 자기보고식 척도와 면접을 보완해 줄 수 있는 투사적 그림검사로서 FSA가 임상현장에서 활용될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영문 초록

This study, investigated the validity of using the Face Stimulus Assessment (FSA) as a tool for screening the aggression in children by analyzing the characteristics of children's FSA drawings. 237 students in 4th-6th grade at 4 elementary schools in Gyeongbuk province and Daegu were administered the FSA and an aggression scale in February 2014. A cross tabulation analysis and discriminant analysis were conducted. The finding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In FSA stimulus drawing 1, 2, and 3, the discriminatory power of these variables was 71.9%, 70.9%, 73.1% respectively. The variables that showed differences in relation to extent of aggression in FSA stimulus drawing 1, 2, and 3 were ‘Logic’, ‘Realism’, ‘Developing Level’, ‘Line quality’ and ‘The emotional content of the drawing’. Participants with a high aggression tended to be illogical and simplified illustration of the expression. Their drawings were low in the development stage for their age and were not controlled properly. In addition, unstable lines were used and the emotions in the drawings were in many cases negative. These findings support the use of the FSA as a predictive tool to complement the limit of self-reported questionnaires used to screen the extent of aggression in children in a clinical situation.

목차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김영은,김갑숙. (2015).초등학생의 공격성 선별도구로서의 얼굴자극그림검사(FSA) 타당화 연구. 미술치료연구, 22 (4), 1039-1062

MLA

김영은,김갑숙. "초등학생의 공격성 선별도구로서의 얼굴자극그림검사(FSA) 타당화 연구." 미술치료연구, 22.4(2015): 1039-1062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