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비지시적 미술치료가 선택적 함묵아동의 언어자기표현과 문제행동개선에 미치는 영향
이용수 253
- 영문명
- The Effect of Non-Directive Art Therapy on the Problematic Behavior and Communicational-Self Expression Selective Mutism Child
- 발행기관
- 한국미술치료학회
- 저자명
- 전영희
- 간행물 정보
- 『미술치료연구』제19권 제4호, 859~878쪽, 전체 20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심리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2.08.01
5,20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는 비지시적 미술치료를 통하여 선택적 함묵아동의 언어자기표현과 문제행동을 개선하고자 실시되었
다. 대상아동은 초등학교 1학년에 재학중인 선택적 함묵증을 보이는 여자 어린이다. 치료기간은 2011년 3월 31
일부터 2012년 2월 2일까지 주1회 50분씩 총 40회기를 실시하였다. 연구의 효과를 검증하기 위하여 아동․청소
년행동평가척도(K-CBCL), 언어자기표현(C-SE)능력평가, 나무그림(TD)검사, 동적학교생활화(KSD)검사, 동적가족
화(KFD)검사를 사전, 사후에 실시하여 비교하였다. 이에 대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비지시적 미술치료를
통하여 선택적 함묵아동의 언어자기표현이 향상되었다. 둘째, 비지시적 미술치료를 통하여 선택적 함묵아동의
문제행동이 개선되었다. 따라서 본 연구는 비지시적 미술치료가 선택적 함묵아동의 언어자기표현향상과 문제행
동을 개선시키는데 효과적인 중재임을 입증하였다. 본 연구는 단일사례이므로 연구결과를 일반화 하는데는 제
한이 있다.
영문 초록
This study is made a plan to improve Problematic Behavior and Communicational-Self in Selective
Mutism Child by Non-Directive Art Therapy. The Objective child is a Selective Mutism little girl, 7 ages,
the 1st grade in elementary school. A period of treatment is from March, 2011 to February, 2012 and 5
staged a total of 40 sessions Non-Directive Art Therapy is performed, once a week for 50 minutes. Pre &
post test is used and compared by Child Behavior Checklist(K-CBCL), Communicational-Self Expression
(C-SE), Tree Drawing(TD), Keinetic School Drawing(KSD), Keinetic Family Drawing(KFD). Result of this
study is as follows. First, Communicational-self in Selective Mutism child is improved by Non-Directive Art
Therapy. Second, Problematic Behavior in Selective Mutism child is improved by Non-Directive Art Therapy.
Therefore, this study proves that Non-Directive Art Therapy is an effective intervention to improve
Problematic Behavior and Communicational-Self in Selective Mutism Child. This study is only one case and
so limited to generalize.
목차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중년기 여성의 우울 감소와 자존감 향상을 위한 만다라 중심 미술치료사례 연구
- 장애아동 가족 관련 미술치료 중재 연구 동향 분석
- 청소년의 사회적 기술향상을 위한 이야기 만들기(Story making)중심 미술치료 사례연구
- 다문화가정 자녀의 자아탄력성 향상을 위한 집단미술치료 프로그램의 효과
- 미술치료사의 자아탄력성과 사회적지지가 심리적소진에 미치는 영향
- 장애아동 어머니의 행복증진을 위한 통합적 집단미술치료 프로그램 효과 연구
- 비지시적 미술치료가 선택적 함묵아동의 언어자기표현과 문제행동개선에 미치는 영향
- 아동의 정서적 학대에 따른 좋아하는 날씨(FKW)그림 반응특성 연구
- 초등학생의 불안과 별-파도 그림 반응 특성에 관한 연구
- 집단미술치료가 학교부적응 청소년의 자아존중감과 학습동기에 미치는 효과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심리학분야 NEW
- 시설거주 경도인지장애노인의 무력감감소, 생활만족도 향상을 위한 푸드아트테라피 프로그램 효과성 연구
- 한국인의 심리적 특성에 대한 FAT 풀어내기
- 여성 내담자의 명상 사례 국내 연구 동향: 키워드 네트워크 분석을 중심으로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