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Silver의 이야기 그림검사에 나타난 20대 여성 내담자 및 20대 여성 정상인의 검사반응 비교

이용수 143

영문명
The Comparison of the Response Characteristics of Female clients and Female normal Participants in their Twenties through Silver's Draw-a-Story test
발행기관
한국미술치료학회
저자명
주리애
간행물 정보
『미술치료연구』제13권 제2호, 387~403쪽, 전체 17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심리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06.01.01
4,84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이야기 그림검사(Draw-a-Story)는 Silver가 개발한 그림검사로서, 14가지 자극그림을 제시하고 그 중 두 가지를 골라 이야기를 꾸민 뒤 그림으로 표현하도록 요구한다. 표현된 내용의 부정성과 긍정성에 따라 1점부터 5점까지 채점이 되며, 심리적으로 건강하지 않은 사람들일수록 낮은 점수를 받게 된다. 본 연구의 목적은 이야기 그림검사가 내담자와 정상인을 변별하는 도구로서 변별력을 가지고 있는지 검증하고자 했다. 여성과 남성의 이야기 그림검사 반응이 다르다는 Silver(2002) 및 Silver와 Ellison(1995)의 연구 결과를 기반으로 본 연구에서는 여성들만을 대상으로 검사반응을 살펴보았다. 본 연구에 참여한 대상은 서울 소재 상담기관에 상담을 요청한 41명의 20대 여성과 일반 20대 여성 59명 등으로 총 100명의 피검자가 연구에 참가하였다. 이들에게 이야기 그림검사 및 간이정신진단검사를 실시하였고 독립표본 t-test와 상관분석, 2 검증을 실시하였다. 연구 결과를 통해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내담자 집단이 정상인 집단에 비해 이야기 그림검사 점수 및 간이정신진단검사 점수가 유의미하게 낮았다. 또한, 전체적으로 이야기 그림검사 점수는 간이정신진단검사 점수와 부적인 상관을 나타냈는데, 이는 임상증상을 많이 보고한 사람들의 그림 내용이 더 부정적이었음을 의미한다. 선택한 자극그림을 분석한 결과, 두 집단 모두 많이 선택한 자극그림은 중성적 아이, 면사포 쓴 여인, 낙하산, 나무 등이었고, 내담자 집단에 비해 정상인이 더 선호한 자극은 병아리였으며, 정상인보다 내담자 집단에서 많이 사용한 자극은 공룡과 모자 쓴 남자였다. 이러한 결과는 심리적으로 건강하지 않은 여성일수록 대상 간 관계를 표현하는 방식에서 차이를 나타내며 또한 선택하는 대상에서도 차이를 나타낸다는 것을 보여준다. 내담자가 선택한 모자 쓴 남자는 성별이 다른 대상으로서 내담자의 낮은 자존감과 낮은 성 역할 만족도를 시사하며, 내담자가 선택한 공룡은 내재된 분노와 공격성을 상징하는 것이라 사려된다. 향후의 연구는 남성 피검자를 포함하는 것과 Silver의 자극 유형 B를 사용할 것이 고려된다.

영문 초록

The Draw-a-Story test, devised by Silver, asks respondents to choose two subjects from 14 stimulus drawings, imagine something happening between them, and then draw what they imagine. The drawings are scored on 1 to 5-point rating scale according to expressed negativity and positivity. Low scores are associated with psychological disturbance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lucidate the power of the Draw-a-Story test to discriminate clients from normal participants. Based on the results of Silver(2002), Silver and Ellison(1995) which proved sexual differences in DAS responses, participants of this study were limited to female only. A total of 100 participants in their twenties included 41 clients who had asked psychological services at counseling centers in Seoul and 59 normal participants. The Draw-a-Story and Symptom-Checklist-90-R were administered to all the participants and the results were analyzed by independent sample t-test, correlation, and Chi-square.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The client group showed significantly lower DAS scores and SCL-90-R scores than those of the normal group. And there was a negative correlation between DAS scores and SCL-90-R, which meant that the contents of drawings drawn by people with many clinical symptoms were much more negative. Analysis of chosen stimulus drawings indicated that both groups frequently chose a neutral child, a women with a wedding veil, a parachutist, and tree. The normal group preferred a chick, while the client group preferred a dinosaur and a men with a hat. These results suggested that psychologically unhealthy female participants tend to show differences not only in the relationship between stimulus but also in the kind of chosen stimulus. A man with a hat, which has an opposite sex, might indicate low self-esteem and low satisfaction of sexual role, while the chosen dinosaur might symbolize anger and aggression. It is recommended for future study to include mal

목차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주리애. (2006).Silver의 이야기 그림검사에 나타난 20대 여성 내담자 및 20대 여성 정상인의 검사반응 비교. 미술치료연구, 13 (2), 387-403

MLA

주리애. "Silver의 이야기 그림검사에 나타난 20대 여성 내담자 및 20대 여성 정상인의 검사반응 비교." 미술치료연구, 13.2(2006): 387-403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