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추사와 대원군의 묵란화(墨蘭畵)에 나타난 조형심리고찰

이용수 50

영문명
A Study on Formative Psychology Appeared on Oriental Paintings of Orchids (Ink Orchids) by Choosa and Daewongun
발행기관
한국미술치료학회
저자명
박완용
간행물 정보
『미술치료연구』제13권 제2호, 429~450쪽, 전체 22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심리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06.01.01
5,44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묵란화는 동양특유의 예술로서 사물의 묘사보다는 우리 선인들의 생각과 감정을 표현한 그림으로 격한 감정을 해소하고 다양한 심리상태를 대변하는 소재로 널리 애용되었다. 이것은 미술치료가 미술의 영역 중에서도 조형언어를 통한 외부세계의 묘사나 관심보다는 개인의 내면에서 나오는 이미지와 감성을 중시한다고 생각할 때 묵란화는 우리 조상들의 내면세계를 바라볼 수 있는 가장 적절한 소재라고 생각한다. 이러한 묵란화를 통하여 추사와 대원군은 각자 나름대로의 현실을 인식하는 인생관과 삶의 자세, 특히 극과 극을 달리하는 인생의 굴곡에 대한 심리적 외상을 솔직하게 표현하였다. 따라서 본연구의 목적은 묵란화을 통한 그들의 조형언어를 비교분석함으로써 삶에 대한 가치관과 다양한 심리상태, 심리적 외상에 대한 해소방법을 이해하는 데 있다. 본 연구결과에서 나타난 조형언어의 비교분석은 형식과 내용으로 나누어볼 때 다음과 같았다. 첫째, 묵란화에 나타난 선에 있어서 추사와 대원군은 차이를 나타낸다. 추사의 선이 담묵으로 허허러운 느낌을 주는 반면 대원군의 선은 농묵으로 격한 굵기의 변화를 주면서 날카로운 느낌을 주고 있다. 둘째, 묵란화의 구도에 있어서 추사와 대원군은 차이를 나타낸다. 추사가 횡축의 안정감있는 구도를 선호한 반면 대원군은 종축의 수직선을 강조함으로써 긴장감과 격한 느낌을 표현하고 있다. 셋째, 묵란화를 그리는 화법에 있어서 추사와 대원군은 차이가 있다. 추사가 예서를 화법의 근원으로 두는 반면 대원군은 붓을 세워 길게 삐치는 초서의 장별법에 그 근원을 두고 있다. 넷째, 추사와 대원군은 삶의 자세에서 차이가 있다. 추사가 제주도 유배 후, 인생의 허망함과 무상함을 느끼고 삶을 조용히 관조하면서 살고자 한 반면에 대원군은 정치적 실패가 반복되었음에도 불구하고 생을 마감할 때까지 재집권을 위해 재기의 야심을 버리지 않았고 그런 심리상태를 묵란화로 표출하고 있었음을 알 수 있었다.

영문 초록

Oriental paintings of orchids or Ink Orchids are unique to oriental arts, in that the painters do not depict the plants' literal looks, but rather describe their own thoughts and sentiments not only to alleviate strong emotions, but to express various states of human psychology. As art therapy emphasizes through a formative language more on one's inner images and emotions than on one's interests or depiction of the outer world, Ink Orchids must be the most appropriate materials through which we can approach the inner worlds of our ancestors. With Ink Orchids, Choosa and Daewongun showed their own philosophies or attitudes of life as to the stern realities and, especially, their traumatic feelings toward crookedness of their life courses. Accordingly,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ompare and analyze both persons' formative languages appeared on their Ink Orchids, in order to understand their philosophies of life, various states of their psychology, and how they dissolved their traumas. The comparative analysis between the two formative languages ended up with the following results in form and content. Frist, the lines or strokes in Ink Orchids of Choosa and Daewongun show some difference. Choosa's lines with light ink strokes display the feeling of empty and untightened mind, whereas the lines with dark ink of Daewongun exhibit poignancy through various changes in line thickness. Second, there is difference in composition of their drawings. Choosa chooses a stable composition achieved by horizontal axis, while Dawongun favors a vertical axis to express tension and strong sentiments. Third, the drawing methods they employed in their Ink Orchids are also different. Choosa's drawing methods are based on ornamental characters, but Daewongun's methods are based on cursive style with long downward strokes of the brush. Fourth, Their attitudes of life do show some difference as well. Choosa wanted to lead a quiet and contemplative life after real

목차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박완용. (2006).추사와 대원군의 묵란화(墨蘭畵)에 나타난 조형심리고찰. 미술치료연구, 13 (2), 429-450

MLA

박완용. "추사와 대원군의 묵란화(墨蘭畵)에 나타난 조형심리고찰." 미술치료연구, 13.2(2006): 429-450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