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비교과 교사의 평가 전문성 분석
이용수 105
- 영문명
- Analysis of Teachers' competence of Not-teaching the Subject Matter in Student Assessment
- 발행기관
- 한국교육방법학회
- 저자명
- 권순달
- 간행물 정보
- 『교육방법연구』제22권 제4호, 219~236쪽, 전체 18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0.01.01
4,96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중등학교 교원 자격증에 교사가 가르쳐야 할 교과가 표시되어 있다. 그러므로 중등학교 교사는 자신이 전공한 교과를 중심으로 교육활동을 하게 된다. 그러나 현재 중등학교에서 가르칠 교과가 없지만, 교원 자격증을 취득하고 임용이 이루어지는 교사들이 있다. 보건 교사, 사서 교사, 전문상담 교사, 영양 교사가 이에 해당된다. 그러나 이들 비교과 교사들도 점차 교과를 신설하여 가르치려고 노력하고 있다. 본 연구는 비교과 교사였다가 2007년 교육과정이 개정되면서 2011년부터 보건 교과를 담당할 보건 교사들의 평가 전문성을 분석하는데 있다. 교사들의 평가 전문성을 4 요인으로 구분하고, 이들 각각 요인에 대하여 일반교사와 비교하였다. 연구 대상은 S시 중등학교에 근무하는 보건교사 151명과 일반 교사 142명이다. 연구 결과, 보건 교사의 평가 전문성은 일반 교사들에 비하여 낮게 나타났다. 평가 이론은 일반 교사들에 비하여 차이는 나타나지 않았으나, 평가 방법, 평가 수행, 평가해석에서 일반 교사들에 비하여 매우 낮게 나타났다. 그러나 보건 교사들의 교직 경력에 따른 평가 전문성 각 요인의 차이는 나타나지 않았다. 그러므로 보건 교과 개설에 앞서 보건 교사들에게 평가와 관련된 내용을 재교육할 필요가 있다. 특히 평가 이론보다 실제 평가 방법, 평가 수행, 평가 해석 영역에서 보건 교사들의 평가 전문성을 높이도록 해야 할 것이다.
영문 초록
In middle schools many teachers have taught their subject matter. But some teachers have no their subject matter to teach students.; nurse teachers, nutrition teachers, counseling teachers, library teachers. And then recently nurse teachers have developed their curriculum and begun to teach their subject matter.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the teacher's competence of not teaching the subject matter in student assessment. Teacher's competence in student assessment was analyzed by four factors; theory, methods, implementation, and interpretation about assessment. Next, 33-items questionnaire was selected and sent to 151 nurse teachers and 142 general teachers in Seoul. The results wer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the scores of methods, implementation, interpretation of assessment except for evaluation knowledge, was lower than general teachers. Second, the scores of nurse teachers was not difference according to their careers. Third, the factor structure of nurse teachers and general teachers appeared to have no difference. In conclusion before nurse teachers begin to teach their subjects, it is necessary to re-educate the methods, management, and interpretation of evaluation.
목차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대학에서의 팀 학습 활동에 대한 학습자의 평가
- 예비교원의 수업전문성 인식 조사 연구와 시사점: 『교육방법 및 교육공학』을 중심으로
- 외적 보상, 내.외재동기, 과제유형이 문제 해결에 미치는 효과
- 동기적 성향(성취목표 지향성)과 성격 유형(자존감)에 따른 위키 협력학습 참여유형 분석과 교수전략 개발
- 초등학교 고학년의 성 인식 함양 집단상담 프로그램개발
- PISA 2003 문제해결력 영역에 대한 성별 차별기능문항 추출
- 스마트폰 기반 사회네트워크 서비스 활용수업 사례연구: 의사소통 내용 및 도구적 특성 분석을 중심으로
- 초등학교 ‘유러닝교실’에서 교수학습실천의 변화와 문제점
- 비교과 교사의 평가 전문성 분석
- 학교중심 블렌디드 학습이 학업성취도와 자기주도적 학습태도에 미치는 효과
- 대학생이 인식하는 핵심역량과 교육요구도 분석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