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교육사회학과 교육정책

이용수 215

영문명
Sociology of Education and Policy Studies in Education
발행기관
한국교육사회학회
저자명
김기수, 고형일
간행물 정보
『교육사회학연구』제15권 제1호, 23~41쪽, 전체 19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교육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05.01.01
5,08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정치경제학에는 크게 두 개의 시각이 있다. 하나는 이것을 국가가 시민사회 ― 흔히 간략히 ‘사 회’―에 개입하는 바에 관한 과학이라고 보는 시각이다. 또 하나는 시민사회의 ‘경제적’ 활동과 국 가의 ‘정치적’ 기능의 상호관계에 관한 과학이라고 보는 것이다. 사회의 근본적인 문제들은 사회 내 부의 경제적 활동에 의해 자연적으로 해결되리라고 볼 수가 없다고 보고, 해결을 위해서는 사회 외 부의 정치적인 힘과 지혜가 개입하지 않으면 안 된다고 보는 관점에서는 전자의 의미의 정치경제학 은 실천의 과학이라고 볼 수가 있다. 그리고 이러저러한 사회 내부의 규범을 준거로 삼아서 사회현 상을 해석하는 미시의 사회 제 과학(social sciences)으로써는 사회의 문제를 파악하고 구명하는 데서 한계에 부닥칠 수밖에 없다고 보는 관점에서는 후자의 의미의 정치경제학은 거시의 사회과학이고 포괄과 종합의 사회과학(social science)이라고도 할 수 있다. 본고에서는 미시의 사회과학을 탐구하는 교육사회학자들이 교육정책의 연구에 참여하여 중요한 교육문제들을 구명하고, 나아가서는 그렇게 구명한 교육문제의 해결에 기여하기 위해서는 무엇을 고려해야 할지를 논의한다. 본고의 주장은 그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는 교육사회학자들이 정 치경제학적 시각을 고려하든지 혹은 정치경제학과 제휴하지 않으면 안 된다는 것이다.

영문 초록

Political economy is a science of the political state concerning civil society (or “society” briefly) in view of maximizing the economic efficiency of the latter or ensuring of justice, fairness, equality and/or equity in the latter. Or it is a science that encompasses both the workings of the political state and those of civil society, which is generally dubbed “economic.” As such, it provides a perspective which is much broader than those of such “social” sciences as sociology, political science, and scientific sub-disciplines in educational studies including sociology of education. Policy study in education, on the other hand, is a form of scientific or quasi-scientific inquiry into what measures or venues are leading to solving specific problems that arise from the system of education in place in a particular country. Since it takes a position of scientific inquiry, or specifically a position of disinterested inquiry, it tends to leave out the political dimension that might be involved in the development or exploration of the measures or venues. In effect, any form of policy study based on the specialized sub-disciplines in educational studies tend to leave out the possibility that the “political” state, the owner of the policies developed and implemented with an intention of solving educational problems, is in fact creating new problems and aggravating existing problems or turning its back to necessary political agendas. In this paper, we discuss what sociologists of education have to consider in order for them to make valuable contributions to policy study in education and in developing and implementing educational policies that can actually help improve efficiency in the educational sphere of civil society or ensuring of justice, fairness, equality or equity in that sphere.

목차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김기수, 고형일. (2005).교육사회학과 교육정책. 교육사회학연구, 15 (1), 23-41

MLA

김기수, 고형일. "교육사회학과 교육정책." 교육사회학연구, 15.1(2005): 23-41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