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다문화교육 지원정책에 대한 이주배경 청소년의 인식과 요인 분석

이용수 555

영문명
A Study on the Perceptions and Factors of Immigrant Background Youth About Support Policy in Multi-Cultural Education
발행기관
부산대학교 교육발전연구소
저자명
김기영 고은선
간행물 정보
『교육혁신연구』제28권 제1호, 405~425쪽, 전체 21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교육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18.03.31
5,32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연구목적: 다문화교육 지원 정책이 지난 10년간 시행되었다. 따라서 이 연구에서는 다문화교육 지원 정책에 대한 대상자이자 수혜자인 이주배경 청소년들이 지원정책에 대해 어떻게 인식하고 하는지, 학생요인과 학부모요인에 따라 어떠한 차이가 있는지 분석해보고자 한다. 연구방법: 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이 수집한 다문화청소년패널(MAPS)의 데이터를 활용하였으며, 각 독립변수와 종속변수와의 인과성을 살펴보기 전에 각 독립변수간의 다중공선성을 점검하고, 독립변수와 종속변수 간의 상관성을 확인하기 위해 상관분석을 실시하였다. 주요변인으로 자아존중감, 학업성취도, 교우관계·교사관계·학습활동, 부모의 월소득 등 청소년들의 정의적·사회적·경제적 변인에 따라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우리나라 다문화가족 지원정책에서 청소년들이 지원받은 내용은 2012년은 ‘문화체험활동’이 가장 많았고, 2013년부터 2015년까지는 ‘방과 후 수업료지원’이 가장 많았다. 다문화 지원정책의 방법에 대한 인식을 살펴본 결과 다문화가족 자녀의 자아존중감이 높을수록 다문화가족 자녀임이 드러나는 ‘공개지원’을 선호했다. 또한 청소년들은 가정형편을 고려하지 않고 다문화가족 전체를 지원하는 ‘보편적’지원을 선호했으나, 학업성취도가 높을수록, 부모의 월소득이 높을수록 가정형편이 어려운 다문화가족에게만 지원해 주는 것이 좋다고 나타났다. 결론 및 제언: 이 연구결과는 정책의 수혜자인 청소년들의 인식을 살펴보고, 이를 토대로 정책을 점검하는데 기여할 것으로 보인다.

영문 초록

Purpose: It has been ten years since multi-cultural education support policies were introduced in South Korea. Method: This study set out to analyze what types of supports the subjects and beneficiaries of the policies chose, there were according to the student and parent factors with the data of Multi-cultural Adolescent Panel Survey(MAPS). Results: The analysis results show that the multi-cultural family support policies provided adolescents with the most support in the content of cultural experience activities in 2012 and after-school tuition subsidies in 2013~2015. The adolescents, who were the beneficiaries of the policies, had hopes for supports for visit to a theme park from the fifth grade to the seventh grade and for subsidies for academy fees in the eighth grade. The study examined the perceptions of subjects of multi-cultural family support policies among migrant adolescents and found that many of them said it would be better to provide supports regardless of household economy. Conclusion: Academic achievement, peer relations, and parent s monthly income had significant effects on the response, and self-esteem, relations with teachers, and learning activities had no statistically significant effects on it.

목차

Ⅰ. 서 론
Ⅱ. 이론적 배경
Ⅲ. 연구 방법
Ⅳ. 연구 결과
Ⅴ. 결론 및 제언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김기영,고은선. (2018).다문화교육 지원정책에 대한 이주배경 청소년의 인식과 요인 분석. 교육혁신연구, 28 (1), 405-425

MLA

김기영,고은선. "다문화교육 지원정책에 대한 이주배경 청소년의 인식과 요인 분석." 교육혁신연구, 28.1(2018): 405-425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