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중등도 지적장애 중학생의 조립과제 수행에 대한 자기촉진전략 간의 효과 비교

이용수 85

영문명
The Comparison of Effects of Self-Prompting Strategies on Assembly Tasks Performance of Middle School Students with Moderate Intellectual Disabilities
발행기관
부산대학교 교육발전연구소
저자명
변관석 신진숙
간행물 정보
『교육혁신연구』제28권 제1호, 217~245쪽, 전체 29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교육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18.03.31
6,28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연구목적: 본 연구는 연속적 비디오 모델링, 비디오 프롬팅, 그림 및 성문촉진, 연속적 비디오 모델링+그림 및 성문촉진, 비디오 프롬팅+그림 및 성문촉진을 포함하는 다섯 가지 유형의 자기촉진전략이 중등도 지적장애 중학생의 조립과제 수행에 미치는 효과를 비교・검증하는데 목적이 있다. 연구방법: 중학교 2~3학년에 재학 중인 중등도 지적장애 학생 4명이 연구 대상자로 참여하였으며, 특수교사 3명이 중재자로 연구에 참여하였다. 종속변인은 과학상자 1호에 제시된 조립과제 중 난이도가 유사한 다섯 가지 유형의 조립과제였다. 본 연구는 다요인 설계를 활용하여, 사전교육, 기초선 구간, 다요인 중재 구간, 복제 구간의 순으로 실험을 진행하였다. 연구결과: 연속적 비디오 모델링이 낮은 효과를 보인 것을 제외하고, 대체적으로 중등도 지적장애 중학생의 조립과제 수행률은 다른 네 조건에서 현저하게 향상되었다. 또한, 자기촉진전략 유형 간의 효과를 비교한 결과, 비디오 프롬팅+그림 및 성문촉진이 가장 높은 효과를 이끌어 내었다. 다만, 과제 수행 시간을 고려할 때, 중재 초・중반 회기에는 이러한 중재를 적용하되, 과제 수행이 습득된 이후에는 그림 및 성문촉진만을 단독으로 적용하는 것도 고려할 필요가 있다. 논의 및 제언: 본 연구는 대상자의 특성과 자기촉진전략의 유형별로 중재의 효과에는 다소 간의 차이가 발생할 수 있기 때문에, 중재 시에 이를 고려할 필요가 있음을 논의하였다.

영문 초록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compare the effects of interventions using five types of self-prompting on the performance of assembly tasks with complex working processes in middle school students with moderate intellectual disabilities. These self-prompting strategies included continuous video modeling, video prompting, picture and textual prompting, continuous video modeling+picture and textual prompting, and video prompting+picture and textual prompting. Method: The dependent variables of this study were five types of assembly tasks presented in Science Box No.1, which were confirmed to be relatively similar in the overall difficulty among the assembly tasks. This study verified the effectiveness of interventions using five types of self-prompting, by using the multi-element design. Results: The assembly tasks performance of 4 middle school students with moderate intellectual disabilities was improved, although there was a difference in the degree of each the self-prompting strategy. Also, as a result of comparing the effectiveness, we confirmed the highest effectiveness in video prompting+picture and textual prompting. Conclusion: Because the effectiveness of interventions may be somewhat different depending on the characteristics of participants and types of self-prompting strategies, we suggested that it is needed to consider these points appropriately.

목차

Ⅰ. 서 론
Ⅱ. 연구 방법
Ⅲ. 연구 결과
Ⅳ. 논의 및 제언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변관석,신진숙. (2018).중등도 지적장애 중학생의 조립과제 수행에 대한 자기촉진전략 간의 효과 비교. 교육혁신연구, 28 (1), 217-245

MLA

변관석,신진숙. "중등도 지적장애 중학생의 조립과제 수행에 대한 자기촉진전략 간의 효과 비교." 교육혁신연구, 28.1(2018): 217-245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