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한반도 선사시대 굽다리토기 연구

이용수 147

영문명
발행기관
한국대학박물관협회
저자명
강병학
간행물 정보
『고문화』제66집, 5~35쪽, 전체 31쪽
주제분류
인문학 > 역사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05.12.31
6,52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본 고는 매우 복잡 다양하게 출토되고 있는 선사시대 토기 중 굽다리토기에 대한 연구이다. 특수한 기형의 이 토기는 분류조차 제대로 이루어지지 않은 채 의례용으로 인식되어져 왔으며, 그 명칭 또한 무분별하게 사용되어져 왔다. 따라서 충분히 객관적이고도 적절한 정립이 필요한 상황이다. 이 토기는 저부와 신부의 상대크기에 따라 대부형(Ⅰ형)과 대각형(Ⅱ)으로의 세부기종 설정이 가능하고 세부기종별 속성분석을 통하여 6형식의 형식분류가 이루어졌다. 무문토기시대 전기 주거지유적에서 공렬 및 각형토기 와 공반하는 1ㆍ2ㆍ3ㆍ4형식의 토기(북한→강원영동→경기중부ㆍ충정서해안지역)는 점토대토기문화가 도래하면서 생활, 분묘, 생산, 폐기 그리고 의례관련유구에서 출토되는 5ㆍ6형식 토기(경기중부ㆍ충청서해안→호남ㆍ영남지역)로의 변화를 보이면서 전개된다. 즉 점토대토기문화가 도래하는 시점에서 굽다리토기의 형식도 변화ㆍ확대되고 있다. 또한 출토맥락, 형식조합, 제작기술 등의 관점에서 공렬 및 각형토기와 공반하는 1ㆍ2ㆍ3ㆍ4형식은 일상 생활용기로의 상정이 가능한 반면 점토대토기와 조합을 이루는 5ㆍ6형식 토기는 의례관련유구와 분묘유구에서 다량 출토되고 있어 기원이나 소원과 관련된 의례용기, 그리고 부장용으로의 기능분화가 관찰된다.

영문 초록

This research is about high-footed pottery among earthen wares of the prehistoric age that were excavated complexly and variously. The special deformity of this pottery has been recognized even though it has not been classified so far and the name has been used indiscreetly as well. That s why it needs a proper and objective thesis, now. This pottery is made up the form classification of six forms through the detail kind of attributed analysis and is possible to set up the detail kind of Ⅰ type and Ⅱ type by the size of the bottom and body. The pottery of 1ㆍ2ㆍ3ㆍ4form(north korea→gangwon-youngdong→mid-gyeonggiㆍwest coast of chungcheong region) with rim-perforated and top-shaped potteries in the area of prehistoric habitation place, has been developed through the change to the pottery of 5ㆍ6 form(mid-gyeonggi . west coast of chungcheong→Honam, Youngnam region) that was excavated from settlement, production, tombs, shell mound sites and the sunken place of remains related to ceremony, coming through Clay-stripes culture. Exactly, at this point of coming of Clay-stripes culture, the form of high-footed pottery is also being changed and magnified. And the pottery of 5ㆍ6 form can be observed the functional differentiation of side effects and the ceremony container related to the origin and petition on the other hand, at a point of view of the excavation line, the collation of form and manufactured skills, 1ㆍ2ㆍ3ㆍ4form is possible to be supposed as daily life containers.

목차

〈요약〉
Ⅰ. 머리말
Ⅱ. 형식분류
Ⅲ. 지역별 분포 및 특징
Ⅳ. 시공적 전개양상
Ⅴ. 성격추론
Ⅵ. 맺음말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강병학. (2005).한반도 선사시대 굽다리토기 연구. 고문화, 66 , 5-35

MLA

강병학. "한반도 선사시대 굽다리토기 연구." 고문화, 66.(2005): 5-35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