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한국의 고대 밭유구에 대한 검토

이용수 121

영문명
A investigation about Ancient Field site of Korea
발행기관
한국대학박물관협회
저자명
김병섭
간행물 정보
『고문화』제62집, 3~28쪽, 전체 26쪽
주제분류
인문학 > 역사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03.12.31
5,92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1990년대 이후 경작유구의 조사로 인하여 농경연구는 새로운 전환점을 맞이하게 되었는데, 아직 도작과 관련된 연구가 주류를 이루고 있다. 1990년대 후반 진주 대평리에서 무문토기시대의 대규모 밭터가 조사되고 나서야 밭에 대한 관심이 증가되었다. 본고에서는 지금까지 우리나라에서 조사된 밭 유구를 집성하여 향후 밭관련 연구에 도움이 되고자 한다. 지금까지 밭 유구가 조사된 유적은 25개소인데, 대부분이 낙동강유역과 금강유역에서 조사되었다. 고대에는 경영에 많은 노동력이 소요되는 논보다는 밭의 비율이 높았을 것으로 추정되는데, 앞으로 낙동강ㆍ금강유역 뿐만 아니라 다른 지역에서도 밭의 조사 예가 증가할 것으로 생각된다. 밭은 밭 구획, 고랑과 두둑의 존재 여부, 고랑의 조성형태에서 유형분류가 가능하다. 밭의 형태 차이는 시기나 지형여건보다는 밭을 경영하는 방식의 차이에 의한 것으로 생각된다. 그 이유는 밭을 경영할 경우 지속적인 지력유지가 필요한데, 施肥法이 보급되기 전에는 休耕, 深耕,경작방향의 이동, 두둑과 고랑의 전환 이용 등 지력회복을 위한 행위가 있었으므로 밭의 형태는 경영형태에 의해 자주 바뀌었을 가능성이 높기 때문이다. 밭유구의 조사는 논과 마찬가지로 용이하지 않기 때문에, 발굴조사에서 밭유구의 판정을 위한 밭유구 인정 기준이 필요하다. 밭을 구성하는 요소는 두둑ㆍ고랑ㆍ다양한 경작흔ㆍ구획시설등이다. 이 모든 것이 발굴조사에서 확인되지는 않지만 밭유구 인정에 있어 가장 중요한 지표로 되는 것은 耕作面과 耕作痕이다

영문 초록

The researches related to rice farming are still mainstream, although cultivation research has a new transition due to investigation of arable land since 1990S. The latter of 1990S, the interest of fields was increased after the large scale investigation of field site of Bronze aged at Daepyeongri, Jinju. In this thesis, we want to be helpful to researches connected to fields, collecting the investigation of field site up to now in Korea. Up to now, relics which was investigated field site are 25, and most of them were found at the basin of the River Nakdong and River Geum. In ancient, the rate of field was assumed higher than the rate of rice field that was needed a lot labor for management. So, we can presume increase of examples of field investigation on other places in addition to River Nakdong and River Geum. Fields are possible to classify according to whether or not of division, furrow and ridge between field, and the construction type of furrow. The different types of field are considered by the difference of field management method rather than by the time or topography conditions. It is because the types of field have the high possibility of changes by the type of management, when one managed the fields, the continuous preservation of fertility soil is needed, and so, there are behaviors for fertility of soil recovery, like rest plowing, deep plowing, shift of the plowing direction, and substitution of ridge between field and furrow before supply of fertilization. The acceptable criteria of field site are needed for judgement of field site in undarthing investigation, because the investigation of field site was not as easy as the investigation of rice field. The factors forming the field are ridge between field, furrow, various plowing traces, division facilities and so on. Although above all are not identified in the undarthing investigation, the most important index of field site approval is plowing side and plowing traces.

목차

〈요약〉
Ⅰ. 머리말
Ⅱ. 밭유구의 조사현황
Ⅲ. 밭유구의 유형분류
Ⅳ. 밭유구 조사의 문제점과 향후과제-맺음말을 대신하여-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김병섭. (2003).한국의 고대 밭유구에 대한 검토. 고문화, 62 , 3-28

MLA

김병섭. "한국의 고대 밭유구에 대한 검토." 고문화, 62.(2003): 3-28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