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원시·고대의 노시설과 주거구조와의 상관성 연구 - 호남지역을 중심으로 -

이용수 112

영문명
A Study of the Relations between the Furnace and Housing structure - Focusing on The Honam Area -
발행기관
한국대학박물관협회
저자명
이민석
간행물 정보
『고문화』제62집, 29~58쪽, 전체 30쪽
주제분류
인문학 > 역사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03.12.31
6,40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爐址는 인류가 불을 사용했다는 직접적인 증거물로서, 爐施設은 煖房, 炊事, 그리고 照明 등 다양한 기능을 가지고 있다. 노시설은 주거내부의 가장 중요한 시설물로 신석기시대의 수혈 주거지에 본격적으로 채용된다. 수혈주거지는 그 전통과 구조적인 속성이 큰 변화없이 삼국시대까지 지속되면서도 노시설과 유기적인 관계를 가지면서 세부구조에서 점진적인 변화발전상을 띠게 된다. 노시설의 유형은 공간적인 위치에 따라 內部爐, 外部爐, 野外爐, 移動爐로 구분할 수 있으며, 축조재료 및 구조적인 특징에 따라 다양한 형식으로 분류할 수 있다. 이들 노시설중 원삼국시대에 보편적으로 채용되는 부뚜막식은 취사에서 터널식은 난방에서 획기적인 발전단계를 상정할 수 있으며, 주거지의 구조 및 내부공간 이용의 다양한 변화를 초래하게 된다. 노시설과 함께 주거지의 平面, 規模, 堅穴깊이, 床面處理, 壁處理 등 다양한 구조적인 요소들은 노시설의 기능을 극대화시키면서 시간이 경과하면서 변화ㆍ발전한다. 내부노는 위치와 배치형태, 그리고 주요 노시설의 채용여부에 따라 다섯가지의 배치유형(I~V)을 띠며, 대체로 Ⅰ형에서 Ⅴ형으로 변화상이 확인된다. 이를 통하여 당시 주거공간의 이용형태 및 사회적인 측면도 검토할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영문 초록

It has been well known that the function of the furnace is to cook, to heat, and to light. Especially, it is easy to grasp relations between the furnace forms and the dwelling structure because the furnace was a part of the most important housing cultore. However, they are transformed as times goes, and a pattern of the fire fire places was excavated in the Honam area, during the ancient ages; the Neolithic age, the Bronze age, the early Iron age, the proto-Threekingdoms, and the Threekingdoms. For this work, I divided the type and the space-distribution of the furance, as well as the structure of the pit houses. The types of the furnace can be divided largely into four types according to the position; the inner furnace, exterior furnace, outdoor furnace, and portable furnace. And I subdivied into nine types of the inner furnace in terms of the structure aspects, the shape of the plane, and materials; 1) the floor type(平地式), 2)the pit type(竪穴式), 3)the type of the surrounding with stones(圍石式), 4)the type of the surrounding with clays(圍土式), 5)the type of the accumulating with stones(集石式), 6)the ground type(地上式), 7)the type of the laying with stones(敷石式), 8)the furnace type, 9)the tunnel type. In the proto-Threekingdoms, The biggest difference between furnace and hearth of the previous age was the kettle-hanger on which kettle was hung. In the last, Threekingdoms was time of important transition and change in the furnace and settlement. The furnaces are closely connected with housing structure, for example, a plane, a scale, the depth of pit, the handing of the floor, and so on. I analyze transition of the space-construction in the inner furnace in terms of the structure aspects and exterior furnace of the dwelling house. Namely, The inner furnace are divided according to the patterns of the position; I type(the middle), Ⅱ type(the omnipresence), Ⅲ type(the wall corner), Ⅳ type, Ⅴ type (the division). As the result, the furnace is ingenuitied and exquisited in the constructural aspects with the lapse of the period. As well as the inner furnace is changed from Ⅰ type to Ⅴ type.

목차

〈요약〉
Ⅰ. 서론
Ⅱ. 로의 특징과 분포양상
Ⅲ. 로와 주거구조의 상관성
Ⅳ. 로의 공간적 변천
Ⅴ. 결론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이민석. (2003).원시·고대의 노시설과 주거구조와의 상관성 연구 - 호남지역을 중심으로 -. 고문화, 62 , 29-58

MLA

이민석. "원시·고대의 노시설과 주거구조와의 상관성 연구 - 호남지역을 중심으로 -." 고문화, 62.(2003): 29-58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