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우리나라 후기구석기시대 측면몸돌과 돌날석기문화와의 기술적 맥락에 대한 연구

이용수 136

영문명
A Study of Technological Context Between Sub-wedge Shaped Core and Blade Tool Culture of Upper Paleolithic in Korea
발행기관
한국대학박물관협회
저자명
이헌종
간행물 정보
『고문화』제63집, 65~82쪽, 전체 18쪽
주제분류
인문학 > 역사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04.06.30
4,96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우리나라 후기구석기시대의 가장 전형적인 문화기는 돌날석기문화와 세형돌날문화와 연관이 있다. 최근 고례리유적과 진그늘유적의 발견으로 우리나라의 전형적인 돌날석기문화가 있음이 확인되었다. 세형돌날 문화는 동북아시아의 25,000년전에 시작된 아시아적인 소형화개념(microlism)의 전형으로서 동북아시아의 석기문화가 통합되는 계기를 만들었으며 우리나라의 전역에 널리 퍼져있는 대표적인 문화기이다. 이러한 후기구석기시대의 일련의 유적들은 크게 돌날기법과 연관이 있으며, 우리나라 후기구석기시대의 몸돌 성형과 박리기법 등 기술적인 측면에서의 문화 맥락적인 연계성을 확인할 필요가 있다. 자갈돌석기전통의 다층위유적 가운데 후기구석기시대 문화층으로 보고된 유적과 절대연대 상 40,000-25,000년 전의 후기구석기시대 유적들에서 확인되는 측면몸돌은 기술적 측면에서 전형적인 돌날석기문화와의 상관관계속에서 나타나는 다양한 문화적 변이를 설명해 주고 있다. 이 몸돌은 시베리아와 극동지역의 후기구석기시대에 자주 출토되는 대표적인 몸돌 중 하나이다. 측면몸돌은 몸돌의 좁은 측면에서 많은 돌날을 떼어내고 재생을 하기에도 용이한 기술적 특징을 갖고 있으며 석재의 제약을 비교적 덜 받는 전략적인 몸돌이었다. 우리나라에서 출토되는 측면몸돌은 돌날기법과 연관이 있으며 후기구석기시대로 진입하는 단계에 동북아시아에 정착해 가던 돌날석기문화와의 기술적인 교류의 한 단면을 보여주는 것이라고 생각된다. 이러한 기술적 기반을 갖고 있던 한반도에 점거하며 살던 구석기시대 사람들은 돌날석기문화와 세형돌날문화가 등장하는 시기마다 적응 해 갈 수 있었을 것이며, 다양한 돌날몸돌을 다룰 때 측면몸돌을 제작하던 기술로 인한 적응력도 높여 갈 수 있었을 것으로 보인다. 특히 우리나라의 후기구석기시대의 이른 단계로 편년되는 자갈돌석기전통의 유적들에서 이러한 몸돌들이 함께 나타나는 것은 후기구석기시대의 자갈돌석기전통의 연속성에 대한 또 하나의 증거이며 지역적인 적응의 결과의 하나로 볼 수 있다.

영문 초록

The most typical period of Upper Paleolithic age in Korea is related with a blade tool culture and a microblade culture. Recently, we can figure out that there were a typical blade tool culture of Korea by being discovered to Goreari site and Jingnel site. The microblade blade culture was the model of the Asian microlism, started 25,000 years ago in Northeastern Asia. This culture made an opportunity to unify the Paleolithic culture of Northeastern Asia, and also was a representative period spreaded in all of Korea. These set of the Upper Paleolithic age relics was highly related with a blade technique. We need to verify the culture contextual relationship in a technical side like the core shaping and the flaking technique of the Upper Paleolithic age in Korea. There is the relics reported as the cultural layer of Upper Paleolithic age among the multi-layered site of pebble tool tradition. The sub-wedged shaped core was found in the relics of Upper Paleolithic age from 40,000 to 25,000 years ago on an absolute date. These explain the various culture change shown in the process of cultural contact with the typical blade tool culture on the technical side. This shaped core is one of the representative core that was often excavated in Siberia and Far East of Upper Paleolithic. The sub-wedged shaped core had a technical feature that was useful of rejuvenating by keeping many blade tool from their side part. The core was also the strategic core comparatively less the restriction of stone material than others. This study considers that sub-wedged shaped core from Korea was related with a blade technique, and showed us the one side of the technical exchange among the blade tool culture that had settled down in Northeastern Asia on the step of the entry into Upper Paleolithic. The paleolithic people who lived in Korea which had these technical basis could be able to adapt themselves to the cultures whenever the blade tool culture and the microblade culture appeared, and raise their adaptation caused by making technique to the sub-wedged shaped core when they handled various blade shaped core. Especially, this core appeared with the relics of Pebble Tool tradition which was chronologically recorded as the early step of Upper Paleolithic age in Korea. This fact is another proofs on the sequence of the Pebble Tool tradition in Upper Paleolithic age, and also considered as the result from the regional adaptation.

목차

〈요약〉
Ⅰ. 머리말
Ⅱ. 측면몸돌의 정의와 기술적 속성
Ⅲ. 우리나라 출토 측면몸돌과 그 성격
Ⅳ. 측면몸돌, 돌날몸돌 그리고 기술형태적 맥락
Ⅴ. 맺음말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이헌종. (2004).우리나라 후기구석기시대 측면몸돌과 돌날석기문화와의 기술적 맥락에 대한 연구. 고문화, 63 , 65-82

MLA

이헌종. "우리나라 후기구석기시대 측면몸돌과 돌날석기문화와의 기술적 맥락에 대한 연구." 고문화, 63.(2004): 65-82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