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고려시대 경기지역 요업의 성격

이용수 209

영문명
Trends of Ceramic Industry in the Gyeonggi Province During the Goryeo Period
발행기관
한국대학박물관협회
저자명
장남원
간행물 정보
『고문화』제63집, 83~108쪽, 전체 26쪽
주제분류
인문학 > 역사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04.06.30
5,92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고려시대 수도 開京을 중심으로 경기ㆍ황해도 일원은 국가의 주요 기관들과 왕실 및 관료, 상업시설, 사찰 등 풍부한 도자기 소비처가 집중되었던 곳이자 국내에서 처음으로 자기생산이 이루어진 곳이다. 窯場의 규모와 구조, 생산품의 원료, 번조방법 등에서 중국남방 월주요계 塼築窯의 요업방식을 그대로 채용하여 중국기술이 직접 이식되었으나 중국과 달리 정자와 백자를 같은 요장에서 생산함으로써 초기부터 국내 상황에 맞춘 생산이 시작되었다. 이 과정에서 원활한 자기생산을 위한 일정한 체체 구축이 불가피하였을 것으로 경기지역의 자기생산을 초기부터 국가적 운영체제 아래 이루어졌던 것으로 본다. 이는 개경 인근의 요장들이 서로간에 일정한 質과 조형을 가진 자기를 생산하고 있었던 점, 초기 전축요 시기부터 국가용 祭器를 만들고 있었던 점, 또 실제로 所나 部曲의 존재와 일치하는 가마터들이 존재한다는 점, 그리고 국가에 요업과 관련된 것으로 추정되는 職制가 존재한다는 점에서 그러하다. 청자생산의 중심이 강진으로 옮겨진 이후 경기지역은 지역 수요에 부응하는 생산으로 그 성격이 바뀌는 것으로 파악된다. 그러나 강진의 정자요업이 활성화 된 이후에도 경기지역의 전통적 요장들에서는 일정기간 국가용 제기를 만들고 있었음이 확인되어 고려요업의 성격과 변천을 이해하는데 중요한 단서를 제공하였다. 한편 개경을 중심으로 하는 경기일대의 많은 소비처들의 존재와 그 출토품의 양상은 기록에서와 마찬가지로 개경 인근에 고려 중기 이후까지도 운영되었던 생산지가 현재까지 알려진 것 이상으로 더 많이 존재할 가능성을 보여주었다.

영문 초록

Gaegyeong(開京), the capital of the Goryeo Dynasty (918-1392), acted as the hub for producing various potteries for the royal family, governmental offices, temples, and markets in the Gyeonggi and Hwanghae Provineces where consumptions were highly concentrated. Gyeonggi Province was the very first place forthe porcelain to be produced in Korea. The size and structure of factories, materials of porcelain, and firing techniques were adopted from southern China s Yue-yao(越州窯) style brick kilns, where Chinese techniques were directly transferred to Korea. However, Goryeo kilns differ from Yue-yao style kilns in a sense that they produced both celadon and white porcelain. In the beginning when industrial units of kilns began to produce celadon, they were either built in the same regions as kilns that produced stonewares or they were newly introduced in the areas that only produced stonewares to later substitute them into producing solely celadon. In this time of chaos, it became inevitable to build a consistent porcelain production system. Therefore, the production of celadon was strictly under the government s control for the smooth production of wares, The fact that industrial units of kilns near the Gaegyeong area produced consistent quality porcelain of similar shapes proves that these factories were under the direct control of the government. It is noteworthy that these early brick kilns produced ritual vessels for the royal family, and there are kiln sites that seem to have co-existed with So and Bugok. In addition, there are evidences of organizations of governmental offices that are related to kiln productions for the government. When the main production line of Goryeo celadon moved away to Gangjin(康津), kilns in the Gyeonggi Province began to switch their products from ritual vessels only for the royal family to more general items in order to satisfy the high demands for the public in the nearby area. However, though the kilns in Gangjin actively produced celadon, it appears that traditional factories in the Gyeonggi Province still produced ritual vessels for the royal family for a while. This fact contributed much to the understanding of the history and characteristics of the Goryeo kiln production. In the meantime, the existence of demands for many celadon and trends of excavated porcelain in the Gyeonggi Province shows the infinite possibility that there must have been more kilns in the Gaegyeong area that operated until the mid-Goryeo period.

목차

〈요약〉
Ⅰ. 머리말
Ⅱ. 주요 요장의 시설 및 생산품 특징
Ⅲ. 기록을 통해 본 개경부근의 가마터
Ⅳ. 경기지역 요업의 성격
Ⅴ. 맺음말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장남원. (2004).고려시대 경기지역 요업의 성격. 고문화, 63 , 83-108

MLA

장남원. "고려시대 경기지역 요업의 성격." 고문화, 63.(2004): 83-108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