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자폐적 장애 및 발달적 언어장애 환아에서 자기공명영상을 이용한 뇌량, 시상, 소뇌 및 뇌교에 대한 구조적인 예비연구

이용수 61

영문명
The Preliminary Study of Quantitative Morphology of the Corpus Callosum, Thalamus, Cerebellum and Pons in Autistic Disorder and Developmental Language Disorder
발행기관
대한신경정신의학회
저자명
이정섭 강민희 홍강의
간행물 정보
『신경정신의학』제38권 제1호, 219~226쪽, 전체 8쪽
주제분류
의약학 > 정신과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1999.01.30
4,00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연구목적: 자폐적 장애가 있는 환아에서 뇌량, 시상, 소뇌 및 뇌교에 대한 구조적인 연구가 시행이 되었으나, 아직까지 일관된 결과는 나오지 않고 있다. 또한 발달적 언어장애가 자폐적 장애와 연관이 있다는 가설도 있으나 아직 까지 체계적으로 연구된 바 없다. 본 연구에서는 개량된 방법론을 이용하여 자폐적 장애에서 뇌량, 시상, 소 뇌 및 뇌교에 대한 정량적인 측정을 하고, 자폐적 장애와 발달적 언어장애가 뇌의 구조적으로 연관이 있는가를 연구하였다. 방 법: 진단기준은 DSM-Ⅲ-R로 하였으며, 후향적인 연구를 통하여 8명의 자폐적 장애와 8명의 발달적 언어장 애를 선정하였으며 모두 남아로 하였다. 정상 대조군은 10명의 남아를 선정하였다. 자기공명영상은 정중시상영 상에서 NIH image를 이용하여 뇌량, 시상, 소뇌 및 뇌교의 면적을 측정하였다. 뇌량은 Witelson의 방법에 따라 서 7개의 구역으로 나누어서 측정하였으며, 소뇌는 다시 충부소엽에서 Ⅰ-Ⅴ, Ⅵ-Ⅶ, Ⅷ-Ⅹ의 3개의 구역으로 나누어서 비교하였다. 결 과: 자폐적 장애군에서 뇌량의 문(rostrum)부가 대조군이나 발달적 언어장애군에 비하여 유의하게 적었으며(F= 3.93, d.f.=2,23,25, p=0.03), scheffe의 사후검증에서는 p=0.06이 나왔다. 시상, 뇌교, 소뇌에서는 차이가 없었다. 발달적 언어장애에서는 시상이 대조군에 비하여 유의하게 크다고(t=2.21, d.f.=16, p=0.04)나왔으 며, 뇌량, 뇌교, 소뇌에서는 차이가 없었다. 결 론: 본 연구에서는 자폐적 장애에서 뇌량의 문부가 대조군보다 감소되어 있는 소견을 발견하였으며, 후두와나 시상은 대조군에 비하여 차이가 없었다. 이는 자폐적 장애가 신경발달학적인 이상이 더 많고, 전 전두엽(prefrontal area)에 장애가 있을 가능성을 시사하여 준다. 자폐적 장애와 발달적 언어장애 간의 뇌의 구조적인 연관 성은 발견되지 않았다

영문 초록

Objectives:This study aimed to planimetrically measure the corpus callosum, cerebellum, pons and thalamus in the boys with autistic disorder and developmental language disorder. Methods:The midsagittal brain MR images of 8 autistic and 8 developmental language disorder subjects who met the DSM-Ⅲ-R diagnostic criteria and 10 comparison subjects were collected. MR images were redigitalized with flatbed scanner and the data were analyzed with NIH IMAGE 1.61 software. Pixel counting and area measurements were done. The corpus callosum was divided into seven regions and the cerebellar vermis was divided into three regions. Results:In autistic subjects, the rostrum of corpus callosum was found to have significantly smaller area than comparison and developmental language disorder subjects. In developmental language disorder subjects, the thalamus was significantly larger than comparison subjects. The cerebellar vermis and pons did not differ among three groups. Conclusion:The rostrum of the corpus callosum in autistic disorder was significantly smaller. This finding supports the theory of abnormal prefrontal lobe development in autistic disorder.

목차

서 론
방 법
결 과
고 찰
참 고 문 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이정섭,강민희,홍강의. (1999).자폐적 장애 및 발달적 언어장애 환아에서 자기공명영상을 이용한 뇌량, 시상, 소뇌 및 뇌교에 대한 구조적인 예비연구. 신경정신의학, 38 (1), 219-226

MLA

이정섭,강민희,홍강의. "자폐적 장애 및 발달적 언어장애 환아에서 자기공명영상을 이용한 뇌량, 시상, 소뇌 및 뇌교에 대한 구조적인 예비연구." 신경정신의학, 38.1(1999): 219-226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