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음주문제 수용인식에 따른 자기보고식 평가 척도 (AUI 및 MAST)에서의 패턴 및 유형 분류와의 관련

이용수 19

영문명
The Pattern of Self Reported Assessment(Alcohol Use Inventory and Michigan Alcohol Screening Test) according to Receptive and Awareness of Drinking Problem and the Relation to the Alcoholic Type
발행기관
대한신경정신의학회
저자명
이명주 박순환 이현제
간행물 정보
『신경정신의학』제40권 제1호, 12~22쪽, 전체 11쪽
주제분류
의약학 > 정신과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01.01.30
4,12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연구목적: 본 연구에서는 음주문제 수용인식에 따라 AUI(Alcohol Use Inventory)척도 및 MAST(Michigan Alcohol Screening Test)척도상에서 어떤 양상을 보이는 지를 알아보고, 음주문제 수용인식이 Barbor에 따 른 유형분류(음주문제 발병연령과 가계력에 따라 유형 1과 유형 2로 분류)와 관련성이 있는 지를 살펴보고 자 하였다. 방 법: 알코올 중독증 치료병동에 입원한 134명의 환자를 대상으로, AUI, 환자 MAST 및 보호자 MAST를 측정 하였다. 먼저, 대상환자를 수용인식 점수에 따라 상위 30%에 해당하는 집단과 하위 30%에 해당하는 집단 으로 구분하고, 또한 유형분류에 따라 가계력이 없고 문제음주가 25세 이후에 발병한 집단을 유형 1집단으 로, 가계력이 있고 문제음주가 25세 이전에 발병한 집단을 유형 2집단으로 구분하였다. 그리고 수용인식 점 수에 따른 T-test, 상관관계 및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결 과: 1) 수용인식점수와 MAST차이값(환자의 MAST점수-보호자MAST점수)간에는 유의미한 부적인 상관이 있었고, AUI 2차척도 중에서는 불안염려척도가 가장 높은 상관을 보였다. 2) 수용인식이 높은 사람들은 낮은 사람들에 비해 음주이익을 제외한 대부분의 척도에서 높은 점수를 보 이고 있는 것으로 나타나고 있다. 3) 유형 1과 유형 2에 따라 수용인식 점수에서 의미있는 차이가 나타나고 있지 않다 결 론: 수용인식이 높은 사람은 음주로 인한 이익을 제외한 모든 척도에서 높은 점수를 보였다. 즉, 수용인식이 낮은 사람에 비해 자신의 문제에 대한 부정적인 결과를 더 많이 보고하고 더 많이 걱정하는 경향이 있었으며, 자신의 문제를 받아들이고 자신의 문제를 더욱 객관적으로 평가하고 있다고 볼 수 있겠다. 하지만 유형분류 에 따라서는 수용인식에 차이는 보이지 않았다. 즉, 음주문제의 발생시기 및 가계력은 그 사람이 음주문제에 대한 수용인식이 높은 지 낮은 지에 영향을 미치지는 않는 것 같다

영문 초록

Objectives:This Study was designed to investigate the pattern of AUI(Alcohol Use Inventory) and MAST(Michigan Alcohol Screening Test) according to the awareness of drinking problem and receptiveness to treatment, and to know whether the type(type1 and type 2 according to Barbor’s typology) has effects on the RECPAWAR(acknowledgement and awareness of use problem and receptive to treatment of these problem) score. Methods:Subjects were 134 alcoholic patients from Alcoholic treatment ward. They were requested to fill up the questionnaires of Korean version of AUI and MAST(MAST for patient and MAST for caretaker). At first, based on the RECPAWAR, they divided into high RECPAWAR group(above 30 percentile) and low RECPAWAR group(below 30 percentile). According to typology, they divided into type 1 and type 2. The data was analyzed by T-test, Correlation, and Regression Analysis. Results: 1) Significant negative correlation was observed between RECPAWAR score and MAST difference score(patient s MAST-caretaker s MAST). 2) High RECPAWAR group had significantly higher scores in the most scales than low RECPAWAR group, except ENHANCED scale in AUI. 3) There was not significant difference on RECPAWAR score between type 1 and type 2. Conclusion:Except ENHANCED scale, the high RECPAWAR group had higher score in the second level scale. As compared with the low RECPAWAR group, the high RECPAWAR group responds more negative in drinking, and is more anxious about their drinking problems. So, they seem to have the objective view about their drinking problems. However the type was not related to receptive and awareness of drinking problem

목차

서 론
방 법
결 과
고 찰
참 고 문 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이명주,박순환,이현제. (2001).음주문제 수용인식에 따른 자기보고식 평가 척도 (AUI 및 MAST)에서의 패턴 및 유형 분류와의 관련. 신경정신의학, 40 (1), 12-22

MLA

이명주,박순환,이현제. "음주문제 수용인식에 따른 자기보고식 평가 척도 (AUI 및 MAST)에서의 패턴 및 유형 분류와의 관련." 신경정신의학, 40.1(2001): 12-22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