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한국의 후기 구석기시대 자연환경

이용수 478

영문명
Natural Environment of the Upper Paleolithic Period in Korea
발행기관
한국고고학회
저자명
한창균(Changgyun Han)
간행물 정보
『한국고고학보』제66집, 4~47쪽, 전체 44쪽
주제분류
인문학 > 역사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08.03.31
8,08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이 논문에서 논의된 유적의 시기는 약 50~10 ka BP에 해당하며,그 범위 안에 속하는 것으로 검토된 유적은 약 20군데에 이른다. 이와 같은 유적에서 보고된 꽃가루 분석과 동물화석에 대한 연구성과는 한국의 후기 구석기시대 자연환경을 이해하는 데 도움을 준다. 대체로 약 40 ka BP보다 오래된 유적의 퇴적물은 서늘한 온대기후의 환경조건에서 형성되었을 가능성이 크다고 생각된다. 약 40 ka BP 무렵에는 풍기동 II화분대(약 43~38.5 ka BP)와 구낭굴 IIIb화분대(40.6~38.9 ka BP)의 경우에서 나타나듯이,그 이전 시기에 비하여 상대적으로 춥고 비교적 건조했던 온대기후의 양상이 차츰 뚜렷해진다. 한편 육성환경에서 형성되었던 석림동 III규조분대(약 34.0~29.2 ka BP)의 성격은 당시의 해수면 변화를 이해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한다. 피서리 II화분대(35.6~28.7 ka BP)와 III화분대(28.7~17.9 ka BP),그리고 석림동 IV규조분대(29.2~24.7ka BP)의 분석결과를 검토할 때, 약 30 ka BP를 전후한 시기에 기후의 건조화 현상이 좀더 두드러지는 경향을 보인다. 마지막 빙하 극성기(LGM,23~18 ka BP)의 식물상은 초본류가 우세한 초원-산림환경을 반영하며, 한국 동북부 지역에서는 털코끼리-털코뿔이 동물상이 대표적인 특징을 지닌다. 피서리 III화분대, 성정동 I화분대(22.3~20.1 ka BP), 석림동 V규조분대(23 ka BP)의 분석결과는 당시 기후가 더욱 추워지고 건조하였던 양상을 잘 대변해 준다. 호평동 유적 2문화층(24~16 ka BP)의 형성시기는 마지막빙하 극성기의 자연환경과 대비될 수 있다는 점에서 매우 흥미롭다. 약 17~16 ka BP 이후의 기후조건은 소로리 I~II화분대(16.7~12.8 ka BP)와 장재리 I화분대(16.6~12.1ka BP)에서 관찰된다. 당시 기후는 이전 시기에 비하여 온난해지는 경향이 있지만, 대체로 현재보다 상대적으로 서늘한 기후조건 아래에 놓여 있었던 것으로 나타난다. 오늘날과 유사한 기후환경은 산소동위원소 1기에 형성되기 시작하였던 것으로 이해된다. 반면에 북한의 대흥 동굴 유적과 금평 동굴 유적에서 보이듯이 한국에서 현대형 동물상이 등장하는 시기는 약 17~16 ka BP 이후로 추정된다.

영문 초록

The chronological range of the sites is about 50~10 ka BP and the number of the sites excavated is about 20. The research result from the pollen analysis and animal fossil reported from the sites would contribute to the understanding of the natural environment of the Upper Paleolithic period in Korea. The deposit gathered from the sites which date earlier than about 40 ka BP is possibly formed under the cool temperature of the temperate zone. As shown in the case of the pollen zone II of Poonggi-dong site (43~38.5 ka BP) and the pollen zone III of Gunang cave site (40.6~38.9 ka BP), the weather around 40 ka BP was comparatively cold and started to clearly show features of rather dry temperate zone climate. On the other hand, the characteristic features of the diatom zone of III of Seokrim-dong site (about 34.0~29.2 ka BP), which was formed under the terrestrial environment, contribute to the understanding of the sea level change. The analysis result of the pollen zone II (35.6~28.7 ka BP) and the pollen zone III (28.7~17.9 ka BP) of Piseo-ri site, and the diatom zone IV of Seokrimdong site (29.2~24.7 ka BP) shows that the weather around 30 ka BP was getting conspicuously dry. The vegetation during the Last Glacial Maximum (23~18 ka BP) features grassland-forest cover in which the non-arboreal pollen dominates. Typical characteristic of North-eastern area in Korea, on the other hand, is that it has Mammuthus-Coelodonta fauna as the dominant fauna. The analysis result of the pollen zone III of Piseo-ri site, the pollen zone I of Seongjeong-dong site (22.3~20.1 ka BP), and the diatom zone V of Seokrim-dong site (23 ka BP) informs us that the weather was getting colder and dryer. It is worth noting that the second cultural layer (24~16 ka BP) of Hopyeong-dong site could be formed under the paleoenvironmental condition during the Last Glacial Maximum. The climate condition after about the 17~16 ka BP can be observed from the pollen zones I and II of Soro-ri site and the pollen zone I of Jangjae-ri site (16.6~12.1 ka BP). The weather can be characterized with the warm climate, which was getting milder than the previous days. We can say that the climate was comparatively cooler than the present days. The current climate condition was about to be set during oxygen isotope stage 1. As shown in the Daeheung cave site and the Geumpyeong cave site in North Korea, the estimated date when the modern fauna appears in Korea is after about 17~16 ka BP.

목차

Ⅰ. 머리말
Ⅱ. 북한 지역
1. 한데 유적
2. 동굴 유적
Ⅲ. 남한 지역
1. 한데 유적
2. 동굴 유적
Ⅳ. 비교 검토
1. 북한 지역
2. 남한 지역
Ⅴ. 맺음말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한창균(Changgyun Han). (2008).한국의 후기 구석기시대 자연환경. 한국고고학보, 66 , 4-47

MLA

한창균(Changgyun Han). "한국의 후기 구석기시대 자연환경." 한국고고학보, 66.(2008): 4-47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