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경남 서부지역 삼국시대 수혈건물지의 구들 연구

이용수 473

영문명
Study on Ondol of Residences during the Three Kingdoms Period in the Western Part of Gyeongnam
발행기관
한국고고학회
저자명
공봉석(Bongseok Gong)
간행물 정보
『한국고고학보』제66집, 90~121쪽, 전체 32쪽
주제분류
인문학 > 역사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08.03.31
6,64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본 연구는 경남 서부지역의 삼국시대 수혈건물지 내 구들을 통해 수혈건물지의 특징을 파악하는 데 목적이 있다. 삼한시대에서 삼국시대로 이행됨에 따라 구들과 부뚜막의 채용은 전국적으로 나타나는 보편적인 현상이지만, 그 양상은 각 지역마다 상이하게 나타난다. 경남 서부지역 수혈건물지의 평면형태는 타원형을 띠고 있으며,주로 평지에 입지한 유적에서만 구들이 확인된다. 구들은 형태적인 특징을 통해 크게 I형과 II형으로 분류되는데, 구들 I형은 경남 서부지역에 한해서는 삼한시대 유적에서만 나타나는 형식으로 사천 늑도 유적과 사천 방지리 유적에서 확인된 바 있다. 구들 II형은 삼국시대의 것으로 주로 원형계 수혈건물지에 부가되며,특히 경남 서부지역에 집중되는 경향을 보인다. 구들 I형과 구들 II형이 구조적인 차이를 보이는 것은 시기변화에 따른 구들 I형의 문제점을 개선하여,취사와 난방의 효율성을 높이기 위한 기술적인 변화상을 보여준다고 할 수 있다. 경남 서부지역의 구들은 수혈건물지 내부에 일정한 정형적인 패턴을 가지고 설치되는 경향을 보이는데, 기후 환경과 유적이 입지한 지형에 따른 난방 효율성 극대화와 화재 예방을 위한 것으로 추정된다. 그리 고 구들은 수혈건물지의 구조와 직접적인 연관성을 가지는데,구들 II형은 타원형 수혈건물지의 분포 범위와 궤를 같이 하고 있다. 타원형 수혈건물지의 분포범위는 주로 경남 서부지역을 중심으로 동으로는 낙동강 以西에서 서로는 지리산 以東까지이며, 북으로는 소백산맥 以南이 주 분포범위이다. 하지만 주분포범위 밖으로 일정한 범위에서는 방형 및 타원형 수혈건물지가 혼재하는 양상을 보이는데,경남 서부지역의 타원형 수혈건물지 문화와 인접한 방형 수혈건물지 문화의 점이지대로 파악된다. 타원형 수혈건물지는 동일시기에 경남 서부지역에 집중적으로 나타나는 특징적인 주거양식으로,이를 주체로 하는 가야 주거문화를 구체적으로 보여주고 있다.

영문 초록

This study examines the regional characteristics through the features of ondol (traditional Korean underfloor heating system) in residences of the Three Kingdoms Period in the western part of Gyeongnam. The use of ondol and cooking-ranges, which were passed down from the Samhan (Three Hans) Period to the Three Kingdoms Period, is typically seen throughout the nation, but its appearance together with the types of residences, are different in each region. The plane of residences in the western part of Gyeongnam is oval shaped and ondol can usually be found in flat lands. White internal constructions materials during the Samhan Period used flagstones, clay was most frequently used in the Three Kingdoms Period. This change of construction materials is understood to have been caused and developed by not only ease of extracting materials, but in order to express detailed ondol structures and to prevent smoke leaking into the room. Based on the formative features of the ondol, it is generally grouped as I type or II type. ondol I types are types that appear only in remains of the Samhan Period at the western part of Gyeongnam and they have been confirmed at Sacheon Neukdo remains and Sacheon Bangjiri remains. ondol II types are from the Three Kingdoms Period and are typically appended on circular residences, showing a particular concentration on the western areas of Gyeongnam. The ondol I-types of the Samhan Period are ‘가’ shaped and the point in which the cooking-range and hypocaust connects is bent at almost a right angle. On the other hand, II-types are normally added to the oval-shaped residences and follows the curvatures of the residence to naturally connect the cooking-range and hypocaust, giving the general plane the appearance of an 120 韓國考古學報第66輯2008. 3 arc. Fundamentally, type I and type II are the same heating system, but the detailed differences show the technological changes for enhancing cooking and heating by addressing the problems of ondol I type with the passing of time. On the other hand, the change of the structure for smooth ventilation and high heating efficiency has a high possibility that it first took into consideration fire prevention by moving the ondol to the edge of the building. The above ondol II type has these features only when added to residences built on an oval shaped plane and the II type has the same distribution range of oval residences. The distribution range of oval-shaped residences were focused mainly on the western part of Gyeongnam and to the east up to western Naktonggang (Riv.), west up to the eastern part of Jirisan (Mt.) and to the north up to Sobaeksanmaek (mountain range). However, in a certain range outside of the main distribution range, a combination of square and oval residences are apparent and it is recognized to be the crossing point of the oval residential culture of western Gyeongnam and the nearby square residential culture. The plane form of residences seen in ondol I types are almost all square typed, while the residences confirmed in II types show a circular shape. This suggests that the structure of ondol are directly related with the structure of the residences. The oval shaped residences and ondol II types are a cultural belt centered around the western part of Gyeongnam and can be said to show the actual residential lifestyle of that period. As explained above, the oval-shaped residences are the unique residential lifestyles concentrated on the western part of Gyeongnam during the period mentioned and I believe that there is a high possibility that it represents the Gaya residential culture subjected to oval shaped residences.

목차

Ⅰ. 머리말
Ⅱ. 관련 유적 개요
Ⅲ. 구들의 검토
1. 구들의 구조와 위치
2. 입지적 특성으로 본 구들
Ⅳ. 경남 서부지역 구들의 채용과 특징
1. 구들의 채용
2. 구들의 특징
Ⅴ. 주변지역과의 비교를 통해 본 경남 서부지역 수혈건물지의 특징
Ⅵ. 맺음말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공봉석(Bongseok Gong). (2008).경남 서부지역 삼국시대 수혈건물지의 구들 연구. 한국고고학보, 66 , 90-121

MLA

공봉석(Bongseok Gong). "경남 서부지역 삼국시대 수혈건물지의 구들 연구." 한국고고학보, 66.(2008): 90-121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