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嶺南地域原三國時代後期祭儀土器의 設定

이용수 475

영문명
The Establishment of Ritual Ceremony Pottery of the Late Proto-Three Kingdoms Period in the Yongnam Region
발행기관
한국고고학회
저자명
윤온식(Onshik Yoon)
간행물 정보
『한국고고학보』제76집, 23~60쪽, 전체 38쪽
주제분류
인문학 > 역사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10.09.30
7,36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영남지역의 원삼국시대 토기에 대한 연구는 무덤 출토품을 대상으로 하여 단선진화론과 전파론적 시각에서 접근한 경향이 강했다고 볼 수 있다. 연구의 대상이 무덤 토기에 편중되고, 연구의 방법에서 다양성을 확보하지 않은 결과 원삼국시대 문화변동의 다각적인 요인을 설명하는 데 역부족이었다고 생각된다. 이번 연구는 원삼국시대 후기 토기를 제작 목적에 따라 日用土器와 祭儀土器로 구분하고자 하였다. 주거지 토기는 家口의 의도와 무관하게 폐기된 주거와 그렇지 않은 주거에 따라 (亞)器種의 구성이 달랐으며, 전자의 자료가 특정 기종에 편중되지 않고 거의 완전한 형태로 잘 남아 있어 목곽묘 토기와 비교하기에 적절하였다. 이에 서로 인접한 거리에서 비슷한 기간에 걸쳐 축조된 포항 옥성리고분 목곽묘와 호동유적 주거지 토기를 주된 분석대상으로 설정하였다. 주거지 토기에서는 옹이, 목곽묘 토기에서는 호의 점유율이 높고 아기종이 다양했다. 전자의 아기종은 장란형옹·장동옹·소옹·파수부옹 등이고, 후자는 단경호·대부광구호·대부호·첨저호·이부호 등이다. (아)기종의 구성은 후자에서 시루, 동이, 파수부 토기 등이 없는 반면 단경호와 노형토기는 다 같이 비교적 높은 점유율을 보였다. 단경호는 목곽묘에서 􆩦型이 다양하고, 새 모양이 장식된 뚜껑이 있는 점 등에서 제의의 용도에 더 많이 사용되었던 것으로 보았다. 노형토기는 특정 지역의 주거지에서는 출토되지 않으므로 일상생활을 비롯한 각종 제의에 사용하기 위해 제작했던 것으로 볼 수 있었다. 기종의 형식 변천에서는 목곽묘 토기가 뚜렷하게 나타나고 시간 폭이 좁았다. 주거지 토기는 시루와 장란형옹을 제외하고 형식 변천이 뚜렷하지 않았으며, 시간 폭도 길게 나타났다. 또 목곽묘 토기는 특정 (아)기종의 출현이나 소멸 현상이 있는 반면 주거지 토기는 그와 같은 현상이 나타나지 않았다. 그래서 노형토기·대부광(직)구호·양이부호·첨저호·고배 등과 일부 단경호는 제의용으로 제작되었다. 고배는 축소모형토기와 함께 家口가 住居를 폐기한 뒤 제의를 치를 때에도 사용되었다. 반면 옹류·파수부호·시루·동이 등은 日常用으로 제작되었으며, 이 중 소옹은 상장의례의 제의에 轉用되었다. 상장의례 및 일상생활의 제의에 적합하게 제작된 것은‘祭儀土器’, 환경에 대한 생존에 적합하게 만든 것은‘日用土器’로 명명할 수 있다.

영문 초록

Research on the Proto-Three Kingdoms period in the Yeongnam Region, focusing mainly on artifacts from tombs, has tended to consist of approaches which adhere to the viewpoints of unilinear evolution and diffusion. It has been difficult to consider the wide range of factors which may have generated culture change in the Proto-Three Kingdoms period since research has focused too much on pottery from tombs, as well as due to a lack of diversity in research methods. In this paper, attempts were made to classify pottery of the later Proto-Three Kingdoms period, found within both dwellings and wooden chamber tombs, according to their intended use; they were divided into ‘daily use pottery’ and ‘ritual ceremony pottery’. The composition of pottery vessel types from dwellings differed according to whether or not the residence had been deliberately abandoned. Since pottery from non-deliberately abandoned dwellings were not weighted toward certain vessel types, they were compared to pottery from wooden chamber tombs. The material analysed in this study came from the Okseong-ri tombs and the Hodong settlement which were built up near each other around the same time. Excavated vessels from the dwellings contain a high percentage of bowls, while jars represent a high percentage of the vessels found at the tombs. Both vessel categories illustrate variation in type. Sub-types of the bowls include the long egg-shaped bowl, long-bodied bowl, small bowl and bowl with handles; sub-types of the jars include the short-necked jar, mounted jar with long neck, mounted jar, jar with pointed bottom and jar with ears. Steamers, dongi bowls and pottery with handles are sub-types which are absent among the latter. On the other hand, short-necked jars and brazier-shaped pottery appear in a comparatively high degree among both vessel categories. Due to the variations of the vessel type observed within wooden chamber tombs, as well as the lid which was decorated with a bird, it is presumed that the shortnecked jar was preferred for ritual use. Brazier-shaped pottery is characterized by decoration on its body and the foot at the bottom of the vessel. As this type of vessel does not appear at settlements at the region, it can be suggested that they were used for various ritual ceremonies. Vessels from the wooden chamber tomb demonstrated clear changes in pottery style, and the duration of each style was not long. On the other hand, pottery from the dwellings do not illustrate marked temporal variation, apart from the steamer and the long egg-shaped bowl, and the different styles appear to have been used for a long time. In addition, while the wooden chamber tombs witnessed the appearance and extinction of a certain pottery sub-types, the dwellings did not. For these reasons it is suggested that certain assemblages of brazier shaped pottery, mounted pottery with wide-mouth, jar with ears, jar with pointed bottom, mounted flat cup and short-necked jar were produced for ritual ceremonies. In particular, mounted flat cups and maquette-like ceramic objects were used during ritual ceremonies which took place at abandoned dwellings. Long egg-shaped bowls, long-bodied bowls, small bowls, bowls with handles, jars with handles, steamers and dongi bowls were produced for daily use in daily life. Consequently, pottery used for funerary rituals or worship in daily life can be called ‘ritual ceremony pottery’ and pottery made to facilitate survival within the environment and for daily use can be called ‘daily use pottery’.

목차

Ⅰ. 머리말
1. 問題의 所在
2. 接近方法
Ⅱ. 住居地와 木槨墓 출토 토기의 분석
1. 浦項虎洞遺蹟과 玉城里古墳
2. 西部慶南地域
Ⅲ. 祭儀土器의 設定
1. 喪葬儀禮
2. 日常生活
Ⅳ. 結􆧥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윤온식(Onshik Yoon). (2010).嶺南地域原三國時代後期祭儀土器의 設定. 한국고고학보, 76 , 23-60

MLA

윤온식(Onshik Yoon). "嶺南地域原三國時代後期祭儀土器의 設定." 한국고고학보, 76.(2010): 23-60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