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삼국시대 한반도 출토 방패(防牌)와 무기류의 변화

이용수 891

영문명
The Changing Nature of Three Kingdoms Period Shields and Arms of the Korean Peninsula
발행기관
한국고고학회
저자명
이성훈(Seonghoon Lee)
간행물 정보
『한국고고학보』제97집, 170~207쪽, 전체 38쪽
주제분류
인문학 > 역사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15.12.31
7,36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방패는 전쟁 혹은 전투에서 적의 공격용무기로부터 몸을 보호하기 위한 방어용무기 중 하나이다. 방패는 제작에 들어가는 수고에 비해 방호력을 극대화시킬 수 있는 무구로, 인류사에서 전투·전쟁의 발생과 동시에 제작되었을 가능성이 높다. 한반도와 일본열도의 고대 단상을 엿볼 수 있는 『三國史記』, 『日本書紀』 등에 방패에 대한 기록이 남아 있긴 하지만, 실물자료로서 확인된 예는 많지 않다. 때문에 방패에 대한 연구도 전무한 실정이다. 본고에서는 미약하게나마 남아 있는 방패 관련 자료들을 실마리로 삼국시대 방패의 존재를 상정하고, 방패와 공격용무기류의 변화에 대하여 살펴보았다. 삼국시대 방패는 I~IV형식으로 분류가 가능하다. I형식은 장방형·타원형의 형태로 길이 75cm 내외·폭 45cm 내외의 재원을 가진다. 흑칠로써 원형과 삼각형의 문양이 시문된 것으로 장식성이 매우 강하며, 당대 최고 수장급의 무덤에서 확인된다. II형식은 장방형·타원형의 형태로 길이 75cm 내외·폭 45cm 내외·두께 0.5~0.7cm의 재원을 가진다. 음각과 같은 흔적은 없지만 투공을 이용하여 문양을 표 현한 것이 특징이며, 중소형분이나 생활유적에서 확인된다. III형식은 장방형·육각형의 형태로 길이 100cm 내외·폭 45cm 내외·두께 0.8~1.0cm의 재원을 가진다. 주로 나무로 제작되었으며, 방패금구를 통해 모서리를 마감한 것도 있다. IV형식은 장방형의 형태로 길이 120cm 내외·폭 45cm 내외의 재원을 가진다. 일본에서 확인되는 革盾과 극히 유사한 형태로 실전용이기보단 의례적인 성격이 강하다. 이들 4형식 중 I·II형식은 주로 4세기대에 확인되며, III·IV형식은 5세기 이후에 확인된다. 이런 방패의 변화는 대응되는 공격용무기의 발달과 깊이 연동되어 있다. 또한 방패는 신체에 직접 착장하는 갑주류와 달리 손으로 패용하여 운용하는 방어구로, 함께 패용되는 공격용무기에 따라 다른 양상을 보이고 있다. 4세기대에 주로 刃兵器로서의 기능을 하던 철모가 5세기 이후 刺兵器로서의 기능이 강화됨에 따라 방패는 길이가 길어지고 두께가 두꺼워지는 경향을 보인다. 이러한 경향은 5세기 이후 刺傷力과 貫通力이 월등하게 발달되는 철촉에 대응한 변화와도 연동된다. 한편 실물자료로 방패가 확인 된 예를 통해 방패가 4세기대에는 철모·도·검과, 5세기대에는 주로 철모와 공반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이는 인병기로 휘두르는 무기에는 좀 더 작고 가벼운 방패가, 자병기로 찌르는 무기에는 크기가 크고 두꺼운 방패가 패용하기에 유리했기 때문으로 판단된다.

영문 초록

A shield is one of the defensive armaments that was used to protect one’s body from the offensive weapons of the enemy during wars and battle. A shield is an armament that can maximize defensive power compared to the efforts required for its production, and there is a high possibility that it began to be manufactured since the initial outbreak of wars and battles in human history. There are records of shields in texts such as 『三國史記』, 『日本書紀』 that deal with the use of shields in the Korean Peninsula and the Japanese Archipelago but there are only a few cases in which actual examines of shields have been found. In this sense, no previous research of shields has been undertaken. In this study, the existence of shields during the Three Kingdoms Period was confirmed based on a few materials related to shields, and changes in shields and offensive weapons were examined. Shields used during the Three Kingdoms Period can be classified into Types I~IV. The Type I shield is rectangular or oval-shaped with a length of 75cm and a width of 45cm. It is covered with black lacquer and carved with circular and triangular patterns. It is highly decorative and found in the tombs of individuals of the highest authority. The Type II shield is rectangular or oval-shaped with a length of 75cm and a width of 45cm. There are no carvings but patterns were displayed using perforations. It is found in small and medium-sized tombs or settlement sites. The Type III shield is shaped like a rectangular-hexagon with a length of 100cm, a width of 45cm and a thickness of 0.8~1.0cm. It is usually manufactured with wood and there are examples in which the corners are finished using iron pieces manufactured for the production of shields. The Type IV shield is rectangular-shaped with a length of 120cm and a width of 45cm. It is very similar to the leather shields found in Japan, and thus is likely to have been used for ceremonial purposes rather than in actual battle. Of these four types, Type I and II are usually found throughout the 4th century, and Type III and IV appear after the 5th century. These changes in shields are highly related to the development of offensive weapons. Unlike armor and helmets worn directly on the body, shields are carried by hand and so aspects of their usage were different in accordance with the offensive weapons carried alongside. As the function of offensive weapons changed from slashing to stabbing, the shields became longer and thicker. These trends are also related to the changes that occurred in reaction to the use of arrowheads with significantly increased stabbing and penetration power after the 5th century. In terms of actual excavated examples, shields were found along with spears and swords in 4th century contexts, and with spears in 5th century contexts. The reason for this change is because smaller and lighter shields are advantageous in defending against cutting weapons, and bigger and thicker shields are advantageous in defending against stabbing weapons.

목차

Ⅰ. 머리말
Ⅱ. 삼국시대 방패의 검토
Ⅲ. 방패의 형식설정
Ⅳ. 무기류의 변화와 방패
Ⅴ. 맺음말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이성훈(Seonghoon Lee). (2015).삼국시대 한반도 출토 방패(防牌)와 무기류의 변화. 한국고고학보, 97 , 170-207

MLA

이성훈(Seonghoon Lee). "삼국시대 한반도 출토 방패(防牌)와 무기류의 변화." 한국고고학보, 97.(2015): 170-207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