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신라 전기 경주 월성북고분군의 계층성과 복식군

이용수 783

영문명
Social Stratification and the Personal Ornament Assemblages of the Wolseong North Burial Ground of Gyeongju in the Early Silla Phase
발행기관
한국고고학회
저자명
최병현(Byunghyun Choi)
간행물 정보
『한국고고학보』제104집, 78~123쪽, 전체 46쪽
주제분류
인문학 > 역사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17.09.30
8,32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본고에서는 신라 전기 경주 월성북고분군에 반영된 당시 사회의 계층성을 구명하기 위해 고분의 랭크와 복식군을 구분해 보았다. 경주 월성북고분군에서는 중심 묘제인 적석목곽분과 함께 조기로부터 내려오거나 전기에 새로 출현한 것 등 여러 묘제의 고분들이 함께 조영되었는데, 적석목곽분을 중심으로 고분의 랭크와 복식군이 위계적인 구조를 이루고 있었다. 고분의 랭크는 4분기로 나눈 신라 전기의 1기부터 5단계로 구분되었으며, 늦은 시기에는 상위 랭크에서 분화가 일어나 그 위계구조가 모두 6단계로 확대된 것이 확인된다. 또 고분의 랭크 분석을 통해서 묘제들 사이에도 위계구조가 형성되어 간 것이 확인된다. 고분 랭크에 따라 복식품의 종류와 질적 수준은 차등화되었고, 부장품도 그에 따라 단계적인 차이가 있었다. 복식품 중 가장 널리 착장된 장신구는 세・태환식의 귀걸이였으나, 피장자의 사회적 인격과 관련된 가장 중요한 복식품은 관과 과대였다. 고분의 위계구조가 6단계로 확대된 늦은 시기를 기준으로 현재 11개의 복식군이 확인된다. 앞으로 경주지역의 다른 고분군과 경주를 벗어나 지방고분군의 계층성도 분석되어야겠다. 그러나 그것은 경주지역은 물론 신라 전체의 중심고분군이었던 월성북고분군에서 확인되는 고분의 랭크와 복식품 착장의 정형성이 어떻게 영향을 미쳤는지, 또는 어떻게 적용되었는지라는 관점에서 분석되어야 한다고 본다.

영문 초록

This paper categorizes the Early Silla Tombs of the Wolseong North Burial Ground according to rank, and also identifies the different personal ornament assemblages found within these tombs, in order to consider the nature of social stratification at the time. The main tomb type of the Wolseong North Burial Ground, in Gyeongju, was the wooden chamber tomb with stone mound. However, other types of tombs also existed; some of these tomb types have been used from the Incipient Silla phase, whereas other types newly emerged in the Early Silla phase. These different tomb types could be ordered hierarchically, focusing on the wooden chamber tomb with stone mound, as could the personal ornament assemblages identified within these tombs. During the first quarter of the Early Silla phase, five ranks could be identified for the tombs. This increased into six ranks towards the later stages, as subdivision occurred amongst the higher ranks. Based on an analysis of the tomb ranks, it was possible to identify that an hierarchial relationship had existed between the tombs. The personal ornaments worn by the deceased differed, in terms of type and quality, according to tomb rank, and differences could also be observed in the nature of the grave goods. The most ubiquitous type of personal ornament was the thick·thin earring, and the personal ornaments most closely associated with the social identity of the deceased were the crown and belt. At present, eleven different personal ornament assemblages have been identified amongst the tombs of a later date, when the number of tomb ranks increased into six. A future research aim is the study of social stratification represented in the regional tombs located outside of Gyeongju. A key focus of interest will be to see how the results from these regional tombs were influenced by the above presented framework of tomb rank and personal ornament pattern derived from Wolseong North Burial Ground, which was not only the central burial ground of the Gyeongju region but also the Silla Kingdom. It will also be interesting to see how the above mentioned framework was applied to the regional tombs.

목차

Ⅰ. 머리말
Ⅱ. 신라 전기 월성북고분군의 계층성
Ⅲ. 신라 전기 월성북고분군의 복식군
Ⅳ. 맺음말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최병현(Byunghyun Choi). (2017).신라 전기 경주 월성북고분군의 계층성과 복식군. 한국고고학보, 104 , 78-123

MLA

최병현(Byunghyun Choi). "신라 전기 경주 월성북고분군의 계층성과 복식군." 한국고고학보, 104.(2017): 78-123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