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초등학생의 문화예술교육에 대한 인식과 음악선호 조사 연구
이용수 300
- 영문명
- A Study on Elementary School Students’ Perception of Culture and Arts Education and Preference for Music
- 발행기관
- 한국음악교육공학회
- 저자명
- 조정은(Jeoungeun Cho)
- 간행물 정보
- 『음악교육공학』제21호, 257~276쪽, 전체 20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4.10.16
5,20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의 목적은 초등학생의 문화예술교육에 대한 인식을 조사하고 음악선호를 분석 하여, 문화예술교육 프로그램의 개발과 운영에 기초를 제시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G시의 J초등학교 4학년 120명을 대상으로 문화예술교육에 대한 인식을 조사한 후, 그 결과를 빈도와 백분율로 산출하여 분석하였다. 연구 내용을 분석한 결과 초등학생들은 음악, 미술 중심의 문화예술교육을 선호하고는 있었으나, 문화예술교육에 대한 다양한 프로그램에 참여하기를 희망하고 있었다. 또한 초등학생들은 대부분의 문화예술교육 경험이 학교활동에서 이루어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문화예술행사에 참여하는 정도는 한 학기에 1~2회 정도로, 실제 문화예술교육의 참여와 공연예술의 관람과는 차이가 있었다. 이상의 연구결과를 토대로 문화예술교육 관련 연구의 방향을 제시하면 다음과 같다. 초등학생의 문화예술교육을 활성화하기 위해서는 문화예술교육의 요구와 그들의 정서를 기반으로 한 기초연구가 필요하다. 이는 다양한 연구방법으로 문화예술교육에 대한 연구가 수행되어야 하며, 여러 계층의 대상을 포괄할 수 있는 맞춤형 문화예술교육의 연구가 활성화되어져야 한다. 그리고 초등학생은 학교에서의 문화예술교육에 의존하고 있으므로 건전한 문화예술교육의 정착을 위하여 체계적이고 연속성 있는 학교 기반 문화예술교육프로그램 개발이 시급하다.
영문 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suggest basic data that can help develop and operate future culture and arts education programs for elementary school students by examining their awareness of culture and arts education and analyzing their preference for music. To this end, this study selected 120 fourth-grade students at J Elementary School in G City and examined their awareness of culture and arts education. Its results were analyzed by calculating frequencies and percentages for these students. The results of the analysis showed that the elementary school students preferred culture and arts education with a focus on music and art and hoped to participate in various programs related to culture and arts education. They were also found to experience culture and arts education mostly in after-school education. In addition, they participated in culture and arts events about once or twice each semester, indicating differences between their participation in culture and arts education and their actual viewing of performing arts productions. Based on these results, this study suggests the following research direction regarding culture and arts education. First, to primarily facilitate the culture and arts education of elementary school students, school-level basic studies should be conducted based on the students’ needs and emotions. To this end, studies on culture and arts education should be carried out using various research methods, and studies that can encompass various classes should be facilitated.
목차
Ⅰ. 서론
Ⅱ. 이론적 배경
Ⅲ. 연구방법
Ⅳ. 연구결과
Ⅳ. 논의 및 결론
참고문헌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스마트폰 앱을 활용한 중학교 음악교과 수업방안 연구
- 음향생태학 관점에서 본 초등 음악교과의 방향 탐색
- 음악과 교육과정의 적용에 필요한 내용교수지식
- 장편영화 ‘디 아워스’(The Hours)의 오프닝 시퀀스(Opening Sequence)에 나타나는 화면과 음악의 관계
- Arts PROPEL을 적용한 방과후학교 바이올린 수업 연구
- 음악교과에서의 인성교육 활성화 방안
- 초등교사의 음악교수역량 구성요소에 대한 연구
- 음악대학 개설 ‘피아노 중주’ 수업의 효율적 운영을 위한 개선방안 연구
- 누리과정에서 유치원 교사가 지니는 음악교육에 대한 인식과 운영실태 및 현직교사교육에 대한 요구
- 초등학생의 문화예술교육에 대한 인식과 음악선호 조사 연구
- 초등 5 · 6학년 음악 교과서의 노래 지도 접근 유형
- 싱가포르 초등학교 음악 교과서에 제시된 국가교육노래 (NE Songs)의 의미와 학습 내용 연구
- 『간추린 체르니 100 연습곡』의 교육적 의의와 개선방향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