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누리과정에서 유치원 교사가 지니는 음악교육에 대한 인식과 운영실태 및 현직교사교육에 대한 요구
이용수 234
- 영문명
- A Study on the Awareness of Kindergarten Teachers about Music Education of the Nuri Curriculum, the State of Their Music Education and Needs for Inservice Teacher Education
- 발행기관
- 한국음악교육공학회
- 저자명
- 방은영(EunYoung Bang)
- 간행물 정보
- 『음악교육공학』제21호, 49~63쪽, 전체 15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4.10.16
4,60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는 누리과정에서 유치원 교사가 지니는 음악교육에 대한 인식과 운영실태 및 현직교사교육에 대한 요구를 개별면접의 방법으로 심도 있게 조사, 연구하였다. 연구 결과, 유치원 교사들의 음악교육에 대한 인식은 대부분 매우 중요함을 인식하고 있었으나 반면에 자신이 수행하는 음악교육에 대해 만족하지 않거나 음악교육이 어렵다고 응답해 해주었으며 그 이유에 대해서는 교사자신의 음악적 자질 및 교사 양성과정에서 교사자신의 음악적 성장보다는 주로 주제중심의 노래 부르기 위주로 교육을 받아왔기 때문에 느끼는 한계라는 인식이 지배적이었다. 또한 교사들이 기존 교육과정과 누리과정 예술경험 영역간의 수행 시 느끼는 차이에 대한 체감 정도는 그 질적 내용과 실제가 크게 변하지 않았다고 응답하였으며 질 높은 음악교육의 수행을 위해 실제를 겸비한 음악교육 전문가의 도움이 필요하다고 답해주었다. 음악교육 운영 실태는 대부분 노래 부르기 위주의 활동이라고 응답해 주었고 현직교사교육에 대한 요구와 관련해서는 교사가 쉽게 이해하고 실행할 수 있는 보다 더 실제적인 음악활동 내용과 교수활동 자료가 제공되기를 바라고 있었으며 질 높은 음악교육의 수행을 위해 실제를 겸비한 음악교육 전문가를 통한 워크?? 형태의 현직교사교육이 필요하다고 답해주었다.
영문 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awareness of kindergarten teachers on music education of the Nuri curriculum, the state of their music education and their needs for inservice teacher education. As a result of having individual in-depth interviews with the selected teachers, it s found that they were mostly cognizant of the importance of music education. But they weren t satisfied with their own music education or replied that music education was difficult to conduct. They cited their own musical qualifications as the reason, and another reason was that the preservice teacher education they received focused on theme-based singing rather than their musical growth. Whether they felt there were any differences between the exiting curriculum and the Nuri curriculum in the domain of artistic experience was analyzed, and they answered there were few significant changes in content and practice. They replied that they were in need of help from experienced experts in music education to offer quality music education. As for the state of music education, the majority of them replied they offered singing-centered activities. Concerning needs for inservice teacher education, they answered that music education should be practical enough and be easier to understand and apply, and they also wanted to be provided with plenty of teaching materials. In addition, they replied that inservice teacher education should be offered in the form of workshop by experienced experts in music education to improve the quality of music education.
목차
Ⅰ. 서론
Ⅱ. 연구방법
Ⅲ. 연구결과 및 해석
Ⅳ. 논의 및 결론
참고문헌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스마트폰 앱을 활용한 중학교 음악교과 수업방안 연구
- 음향생태학 관점에서 본 초등 음악교과의 방향 탐색
- 음악과 교육과정의 적용에 필요한 내용교수지식
- 장편영화 ‘디 아워스’(The Hours)의 오프닝 시퀀스(Opening Sequence)에 나타나는 화면과 음악의 관계
- Arts PROPEL을 적용한 방과후학교 바이올린 수업 연구
- 음악교과에서의 인성교육 활성화 방안
- 초등교사의 음악교수역량 구성요소에 대한 연구
- 음악대학 개설 ‘피아노 중주’ 수업의 효율적 운영을 위한 개선방안 연구
- 누리과정에서 유치원 교사가 지니는 음악교육에 대한 인식과 운영실태 및 현직교사교육에 대한 요구
- 초등학생의 문화예술교육에 대한 인식과 음악선호 조사 연구
- 초등 5 · 6학년 음악 교과서의 노래 지도 접근 유형
- 싱가포르 초등학교 음악 교과서에 제시된 국가교육노래 (NE Songs)의 의미와 학습 내용 연구
- 『간추린 체르니 100 연습곡』의 교육적 의의와 개선방향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