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2015 개정 교육과정의 ‘안전한 생활’에 대한 초등학교 교사의 관심도와 실행형태에 관한 연구

이용수 567

영문명
A Study on the Stage of Concern and Innovation Configuration of Elementary School teachers about the 「Safe life」 of the 2015 Revised National Curriculum
발행기관
한국교육학회
저자명
김은주 이진숙
간행물 정보
『교육학연구』제56권 제1호, 155~185쪽, 전체 31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교육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18.03.31
6,52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본 연구는 관심기반수용모형(Concerns-Based Adoption Model)의 관점에서 2015 개정 교육과정의 ‘안전한 생활’에 대한 초등학교 1, 2학년 담임교사의 관심도와 실행형태를 진단하고, 학교안전교육의 성공적 현장 운영을 위한 시사점을 도출하는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B시의 초등학교 1, 2학년 담 임교사 중 139명을 대상으로 관심도와 실행형태 설문 조사와 심층적 결과 분석을 위한 10명의 교사 면담을 실시하였다. 연구 결과, ‘안전한 생활’에 대한 교사의 관심도는 첫째, 지각적 관심(무관심)이 가장 높게 나타난 반면, 개인적 관심과 운영적 관심, 협동적 관심은 낮은 것으로 확인되어 ‘안전한 생활’에 대한 교사의 관심이 낮은 수준이라고 볼 수 있다. 둘째, 연구 대상 집단의 관심도 프로파일에 서 확인된 끝이 올라간 형태(tailing-up)는 ‘안전한 생활’ 교육과정이나 수업에 대해 교사가 불만족하 거나 대안을 요구한다고 볼 수 있다. ‘안전한 생활’ 수업의 실행형태를 살펴본 결과, 첫째, ‘내용 편 성’, ‘지도교사’, ‘교과서 활용’에서는 이상적인 실행형태가 나타났지만, ‘교수․학습활동’과 관련된 대 부분의 구성요소에서는 소극적인 실행형태를 확인하였다. 둘째, ‘시간편성’은 고정 시간 편성과 융통 성 있는 시간 편성이 유사한 빈도로 확인되었으며, ‘교수․학습 방법’과 ‘지역연계’는 수용할 수 없는 실행형태로 나타났다. 안전한 생활 에 대한 관심도와 실행형태의 관계를 살펴본 결과, 관심단계가 높 아질수록 수용가능하거나 이상적 실행형태에 가까워지는 것으로 나타나 관심 단계에 따라 실행형태 가 달라짐을 확인하였다. 따라서 ‘안전한 생활’에 대한 교사의 관심을 높이고, 이상적인 실행형태로 이끌기 위하여, 첫째, 국가 교육과정 수준에서 ‘안전한 생활’ 내용 및 활동의 연관성과 계열성을 확보 하고, 안전 실천력을 강화시키는 방향으로 내용을 개선해야 하며, 독립된 시수 운영에 대한 효과성을 검증할 필요가 있다. 둘째, 교사의 관심에 따른 다양한 형태나 수준의 전문적 학습공동체를 지원하고, ‘안전한 생활’ 수업을 위한 교재 연구 및 직․간접적 체험활동 준비에 필요한 교사의 시간 확보, 개정 교육과정 도입 초기뿐만 아니라 지속적인 학습의 기회를 제공하는 등 교사의 관심도를 높이는 방안 이 마련되어야 할 것이다.

영문 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level of concern and innovation configuration of elementary school teachers in elementary school for safe life according to the revised curriculum of 2015 from the viewpoint of the Concerns-Based Adoption Model. For this purpose, the questionnaire survey was conducted on 139 1st and 2nd grade elementary school teachers in B city, and 10 teachers were interviewed for in-depth analysis. The results were as follows. In terms of the level of concern in safe life , first, level of perceptual awareness was the highest. Second, there was a tailing-up of the stage of concern profile, and this was not satisfied with the current safe life . The results in terms of innovation configuration(IC) were as follows. First, ideal organization , guidance teacher , textbook utilization showed ideal IC. However, most of the components related to teaching and learning activities showed either passive or unacceptable configuration. Second, teaching and learning method and local connection were unacceptable. Finally, it was found that the higher the level of concern, the closer to acceptable or ideal innovation configuration. Based on the results of this research, first, it was necessary to secure the relevance and sequence of safe life contents and activities at the national curriculum level. Second, it was necessary not only to establish supportive measures such as activation of various types and levels of professional learning communities according to the concern of teachers, to study the textbooks for safe life class, to secure the necessary time for preparation of experiential activities, but also to provide opportunities for continuous learning.

목차

I. 서론
Ⅱ. 이론적 배경
Ⅲ. 연구방법
Ⅳ. ‘안전한 생활’ 실행에 대한 교사의 관심도와 실행형태
Ⅴ. 논의 및 결론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김은주,이진숙. (2018).2015 개정 교육과정의 ‘안전한 생활’에 대한 초등학교 교사의 관심도와 실행형태에 관한 연구. 교육학연구, 56 (1), 155-185

MLA

김은주,이진숙. "2015 개정 교육과정의 ‘안전한 생활’에 대한 초등학교 교사의 관심도와 실행형태에 관한 연구." 교육학연구, 56.1(2018): 155-185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