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중학생의 교육성과에 따른 잠재계층 분류 및 영향요인 탐색

이용수 1610

영문명
Identifying Latent Classes of Educational Outcomes of Middle School Students and Testing Determinants of the Classes
발행기관
한국교육학회
저자명
김정아 남궁지영
간행물 정보
『교육학연구』제56권 제1호, 219~244쪽, 전체 26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교육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18.03.31
5,92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본 연구에서는 한국교육개발원의 한국교육종단연구2013 코호트 1∼4차년도 데이터를 활용하여 중 학교 2학년 학생을 교육성과에 따라 잠재계층으로 분류하고, 잠재계층별 교육성과의 변화 추이(초등 학교 5학년∼중학교 2학년)와 잠재계층 분류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분석하였다. 잠재프로파일분석 (Latent Profile Analysis)을 통해 학생들은 교육성과(학업성취도, 진로성숙도, 학교생활 행복, 인성) 수준에 따라 3개의 잠재계층으로 분류되었다. 첫 번째 계층은 전체의 23.3%를 차지하며, 학업성취도, 진로성숙도, 학교생활 행복, 인성 모두 다른 집단에 비해 높았고(우수집단), 두 번째 계층은 전체의 과 반수(55.0%)를 차지하며, 교육성과가 모두 중간 수준이었으며(양호집단), 마지막 세 번째 계층은 전체 의 21.7%를 차지하며, 모든 영역에 있어 교육성과 수준이 낮았다(부진집단). 우수집단과 양호집단 간 에 학업성취도의 차이가 비교적 적다는 점을 제외하면, 세 집단간 교육성과의 차이는 뚜렷하게 상, 중, 하로 구분되었다. 학생들의 학업성취도와 인성 수준은 시간이 경과함에 따라 전반적으로 향상되는 반면, 학교생활 행복 및 진로성숙도 수준은 점점 낮아졌다. 한편, 잠재계층별 교육성과의 격차는 시간이 지남에 따라 점차 확대되었는데, 우수한 성과를 내는 학생들은 시간이 경과함에 따라 점점 더 높은 성과를 내었고, 성과가 부진한 학생들은 점점 더 낮은 성과를 내어, 이들 간의 교육격차는 점점 더 확대되었다. 잠재계층 분류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분석한 결과, 가정의 사회‧경제적 지위가 낮을수록 학생들 은 부진집단에 속할 확률이 더 높았다. 그리고 학생들이 부진집단에 속할 확률은 학생의 성별, 교육포 부수준, 신체 자아개념, 사회 자아개념, 가족 자아개념, 학업무기력, 휴대전화 중독 등의 학생 개인 특 성에 의해 영향을 받는 측면이 상당했다. 다시 말해, 남학생일수록, 학생의 교육포부수준이 낮고, 신체 자아개념, 사회 자아개념, 가족자아개념이 낮으며, 학업무기력과 휴대전화중독 수준이 높을수록 부진 집단에 속할 확률이 높았다. 학생의 개인특성 뿐만 아니라, 학교에서의 교육활동의 부진함 역시 학생 들이 교육성과 부진집단에 속할 확률을 높였는데, 교사들의 수업의 대한 열의가 낮고 교사와의 관계가 원만하지 못한 학생일수록, 협력적 학습태도 수준이 낮고, 학생회/학급 자치활동 및 동아리활동에 참 여하지 않는 학생일수록 교육성과 수준이 낮은 부진집단에 속할 가능성이 높았다. 한편, 우수집단에 속할 확률을 예측하는 것은 부진집단에 속할 확률을 예측하는 것과 정확히 정반대의 경향을 보였다.

영문 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dentify the latent classes depending on 2nd year middle school students’ educational outcomes and to test determinants of the classes. The data for this study were drawn from Korean Education Longitudinal Study 2013 of Korean Educational Development Institute. Results showed that students were categorized into three latent classes according to their academic achievement, career maturity, happiness in school life and level of character. Three groups were distinctively classified into higher outcomes (advanced group), intermediate outcomes (average group) and lower outcomes (weak group) in all areas. Results obtained by analyzing determinants of the latent classes depending on the educational outcomes indicated that students who came from lower-class families showed higher possibility of being included in the weak group. More male students, and students who had lower ambition for education, lower self-concept regarding their physical aspect, families and society, higher learning helplessness and cell phone addiction were more likely to belong to the weak group. Poor participation in school activities also increased the possibility of students belonging in the weak group. Moreover, those who learned from teachers with low passion for instruction, or had poor relationships with teachers, or low capacity of collaborative learning, or low participation in student council or club activities were also more likely to be part of the weak group, with low educational outcomes. On the other hand, predicting the possibility of being included in the advanced group proved to be the exact opposite of the weak group.

목차

Ⅰ. 서론
Ⅱ. 교육성과에 따른 잠재계층 분류
Ⅲ. 잠재계층별 교육성과의 변화 추이
Ⅳ. 교육성과에 따른 잠재계층 분류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Ⅴ. 논의 및 정책적 제언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김정아,남궁지영. (2018).중학생의 교육성과에 따른 잠재계층 분류 및 영향요인 탐색. 교육학연구, 56 (1), 219-244

MLA

김정아,남궁지영. "중학생의 교육성과에 따른 잠재계층 분류 및 영향요인 탐색." 교육학연구, 56.1(2018): 219-244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