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朝鮮 初, 明으로의 倭寇侵寇 정보 제공에 대한 朝鮮의 태도

이용수 71

영문명
발행기관
동국역사문화연구소
저자명
윤성익
간행물 정보
『동국사학』제54권, 245~277쪽, 전체 33쪽
주제분류
인문학 > 역사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13.01.01
6,76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1419년(朝鮮世宗元?明永樂17)은 朝鮮과 明에서의 倭寇문제 및 조선?일본(對馬島) 관계에서도 큰 획기를 맞은 해였다. 그 직접 계기가 된 사건은 明에서의 望海?대첩과 조선에 의한 對馬島정벌이었다. 그런데 ⌈대마도정벌⌋ 의 원인 및 목적에 관해서 기존의 연구 대부분은 왜구근거지의 토벌에 의한 왜구소멸을 들어왔지만, 정벌이 행해졌던 무렵 조선에서의 왜구상황, 조선과 명의 관계, 그리고 정벌과정 중에 나타난 조선측의 태도 등을 생각해보면, ⌈대마도정벌⌋ 의 원인과 목적을 단순히 왜구 소멸이나 왜구문제해결이라는 설명만으로는 받아들이기 힘들다. 이에 대해 주변국과의 관계와 조선 초 대외정책의 목표 등에 주의하면서 대마도정벌의 원인 및 목적을 밝히고자 하는 시도도 이루어졌다. 이들 연구에서는 對馬島정벌을 조선과 왜구의 관계로만 파악하지 않고 명과의 관계까지 포함해서 살펴보고, 정벌의 원인을 明의 조선에 대한 압력과 征倭論?北伐論에서 찾고 있다. 필자 역시 이런 설명에는 크게 공감하는 바가 많다. 그런데, 이런 주장에서 중요한 논리적 근거로 제시되는 것이 조선으로부터 명에 전달된 ‘倭寇의 침구 정보’이다. 조선이 ‘倭寇정보’를 明에 전하는 과정을 통해 정보를 전한 조선의 의도, 나아가 對馬島정벌의 의도를 밝히고 있는 것이다. 종래 연구에 따르면 1419년 이전에는 朝鮮이 明으로 倭寇가 침구할 것이라는 정보를 입수했다고 하더라도 이를 명으로 전하지 않았지만, 1419년초를 기점으로 종래의 방침을 바꾸어 朝鮮이 明으로의 정보 제공에 적극성을 가지게 되었다고 한다. 그리고 이 적극성이야말로 대마도 정벌의 진짜 이유를 밝힐 수 있는 중요한 단서라고 하는 것이다. 그러나 본고에서 살펴본 것처럼 1419년을 기점으로 조선이 정보 제공에 적극성을 가졌다고 볼 근거는 미약하다. 朝鮮이 明으로 전했던 정보가 望海?대첩에 도움이 되었다고 明과 朝鮮에서 인식하고 있었지만, 조선이명으로 전한 정보가 어떤 명확한 의지를 통해 명으로 전해지고 이것이 望海?대첩이라는 결과를 이끌어내었다고는 보기 어렵다. 朝鮮이 이때 明으로 왜구와 관련된 정보를 전한 것은 통상적인 ‘被擄人’의 처리문제와 연관된 부가적인 행위였다고 판단된다. 또한 對馬島정벌이 이루어지기 직전, 조선은 倭寇로부터 매우 구체적인 明으로의 침구 정보를 입수하고서도 이에

영문 초록

목차

Ⅰ. 서론
Ⅱ. 倭寇史에서 1419년의 의미
Ⅲ. 1419년 倭寇 侵寇정보의 전달과정
Ⅳ. 倭寇 정보 제공에 대한 조선의 입장
Ⅴ. 결론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윤성익. (2013).朝鮮 初, 明으로의 倭寇侵寇 정보 제공에 대한 朝鮮의 태도. 동국사학, 54 , 245-277

MLA

윤성익. "朝鮮 初, 明으로의 倭寇侵寇 정보 제공에 대한 朝鮮의 태도." 동국사학, 54.(2013): 245-277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