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탈북여성을 통해 본 북한 여성의 교육경험 분석

이용수 337

영문명
발행기관
한국여성정책연구원(구 한국여성개발원)
저자명
안재희 민무숙
간행물 정보
『여성연구』통권 제65호, 211~244쪽, 전체 34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여성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03.11.01
무료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이 연구는 탈북여성 23명을 대상으로 실시한 설문조사와 면담조사 결과를 바탕으로 북한교육이 공식적으로 표명하고 있는 평등의 목표가 교육의 전 과정에서어느 정도 구현되고 있는지를 분석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고 있다. 분석결과 북한교육은 교육의 기회, 교육의 과정 그리고 교육의 결과 면에서 성역할 이데올로기에 따른 역할 구분이 분명히 나타나고 있었다. 이러한 성역할 이데올로기는 북한사회에서는 남녀의 생물학적 특성을 고려한 여성에 대한 배려로 나타나고 있다. 하지만 여성에게 남성과 다른 삶의 경험과 진로, 책임과 과제, 기회를 본인의 의사와는 상관없이 선험적으로 부과한다는 점에서 북한교육은 성별에 따른 차별의 또 다른 연장선상에 위치한다.

영문 초록

This paper is to analyze gender equality represented by official education object of North Korea, then to discuss how women of North Korea accept it. For this study, we interviewed 23 North Korea women that have lived in South Korea since 1995. The results show that the women education of North Korea was constituted by the male-oriented social structure and consciousness. The major findings were discussed in three parts. First, even though gender segregation didn't appear during the compulsory education period, the equality of education opportunity was not realized completely in the higher education and the social education stages. The higher education opportunity was divided partially by class, gender and region. Therefore, women who lived in rural and were a low social class had a difficulty in entering the university. Also, most of the women were hard to take the social education because of the male-oriented curriculum and time table. Second, gender stereotyped metaphor appeared in the curriculum, the textbook and the school activity. The official knowledge and the teachers strongly encouraged women to be the traditional female that devoted herself for her son and husband as well as the aggressive socialist fighter. Student activity was divided by sex too. For example, boy students acted in the important position in school life, on the other side, girl students did the subsidiary position. Third, we don't definitely state that the social labor participation of women results in gender equality as North Korea education asserts. Even if women got the same education process and college diploma as men did, their ability was underestimated by the patriarchy and the contradictory femininity. So they were hard to get the upper and important social position. Namely, this sex roles division manifested in women education of North Korea affected strongly women's social position and role. The interesting point in this study is that this gender stereotyped ideology appeared as a deep care for women in the North Korea education. However, it is another gender discrimination to impose the gender stereotyped social role and consciousness to women irrespective of their will. So we need to inquire into the gender equality of North Korea education not only in the quantitative aspects but also in the qualitative aspects.

목차

1. 연구의 목적
2. 연구방법
2. 교육기회의 평등
3. 교육과정에서의 사회화 방식
4. 교육결과의 평등
5. 논의 및 결론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안재희,민무숙. (2003).탈북여성을 통해 본 북한 여성의 교육경험 분석. 여성연구, , 211-244

MLA

안재희,민무숙. "탈북여성을 통해 본 북한 여성의 교육경험 분석." 여성연구, .(2003): 211-244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