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여성의 미취업탈출요인에 대한 연구: 성별비교를 중심으로

이용수 433

영문명
발행기관
한국여성정책연구원(구 한국여성개발원)
저자명
성효용 김민경
간행물 정보
『여성연구』통권 제65호, 117~148쪽, 전체 32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여성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03.11.01
무료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1997년 말 경제위기 이후 비정규직의 급격한 증가는 우리나라 노동시장의 변화를 보여주는 중요한 특징이다. 특히 여성의 경우 미취업자가 정규직뿐만 아니라 비정규직으로 취업할 확률은 남성에 비해 낮은 것으로 나타난다. 본 논문은 미취업상태로부터 탈출할 확률과 그 결정요인을 기간분석모형(duration analysis mode)을 이용하여 분석한다. 또한 이전 직장의 고용형태와 새로운 직장의 고용형태 사이에서 나타나는 상관관계를 분석한다. 분석에 이용된 자료는 한국노동연구원의 노동패널자료이다. 카플란 베이어 방법(Kaplan-Meier method)을 이용하여 여성의 미취업탈출 요인을 추정한 결과, 전체적으로 취업을 시도한 2개일 시점에서 취업할 가능성이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남성의 경우 여성에 비해 전 기간에 걸쳐 취업할 가능성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콕스 비례적 해자드 모형(Cox proportional hazard model)의 추정결과, 이전 직장에서 비정규직으로 고용되었던 여성의 재취업가능성이 높게 나타났다. 또한 남성의 경우 학력이 높을 수륵 취업가능성이 높지만, 여성의 경우는 일정한 관계를 보이지 않았으며, 가구주일수록, 미혼여성일수록 취업한 가능성이 높았다. 다출구 위험 모형(competing risks model)의 추정결과, 남성의 경우 학력이 높을수록 정규직으로 재취업할 가능성이 높고, 비정규직으로 재취업할 가능성은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 여성의 경우 학력이 높을수록 재취업가능성이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전 직장의 고용형태가 비정규직인 경우. 정규직으로 취업할 가능성은 낮은 반면, 비정규직으로 취업할 가능성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즉 경제위기 이후 노동시장에서 비정규직이 구조화되어 있다고 볼 수 있다.

영문 초록

This paper analyzes the determinants of the probability of leaving non-employment using Korean Labor and Income Panel Studies data. Observing the change of the probability of leaving with the Kaplan-Meier method, which uses period of non-employment, it explores the causes which affect leaving from non-employment with the Cox proportional hazard model. In case there are more than two processes of escape depending on whether re-employment is from regular or irregular work, it utilizes analyzed probabilities which affect re-employment with the competing risks model. Major finding are as follows : First, estimating the probability of leaving non-employment with the Kaplan-Meier method, the probability of employment is highest at the two month point. Second, with the Cox proportional hazard model, most variables including age, education, householder, marriage and ex-industry. occupation, are generally statistically significant. In particular, females who have been irregularly employed before bad a positive effect on re-employment. In the case of males, the householder and education variables have significant positive effects on the probability of employment. But females do not have any regular effect. Householders and unmarried females have a positive effect on re-employment. Third, estimating probability of leaving non-employment, with the competing risks model, reveals the more educated male bas the higher probability of re-employment in a regular occupation and lower probability of re-employment as irregular occupation. On the other hand, the more educated female has the lowe! probability of re-employment both regularly and irregularly. Also the unemployed person who had been irregularly employed has a lower probability of re-employment in a regular occupation, but higher probability of re-employment in an irregular occupation. That is to say, since the economic crisis, the irregular type at the labor market has been systematized.

목차

1. 서론
2. 선행연구고찰
3. 자료와 분석모형
4. 분석결과
5. 결론
참고문헌
<부표 1> 미취업기간 분석에 사용된 주요 변수설명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성효용,김민경. (2003).여성의 미취업탈출요인에 대한 연구: 성별비교를 중심으로. 여성연구, , 117-148

MLA

성효용,김민경. "여성의 미취업탈출요인에 대한 연구: 성별비교를 중심으로." 여성연구, .(2003): 117-148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