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여성, 노동자, 여성노동자: 여성주의 민족지의 젠더와 계급

이용수 893

영문명
발행기관
한국여성정책연구원(구 한국여성개발원)
저자명
채수홍
간행물 정보
『여성연구』통권 제65호, 83~116쪽, 전체 34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여성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03.11.01
무료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이 글은 인류학자들이 여성주의자(feminist)의 관점에서 여성 공장노동자에 관한 민족지를 쓰면서 계급과 젠더(gender)를 어떤 수준에서 다루고 이들의 관계를 어떻게 설정하고 있는지에 대해 비판적으로 고찰한다. 이를 통해 여성주의자의 민족지 쓰기가 여성노동자의 정치적 의식과 실천에 대해 제공할 수 있는 이론적인 통찰력과 의문점에 대해 살펴본다. 구체적으로, 이 글은 첫째, 여성노동자에 관해 기술한 많은 민족지가 안고 있는남성-편향적 시각에 대한 여성주의자들의 비판을 소개한다. 특히 여성노동자의 가족과 가구경제에 대한 연구와 신국제분업론에 영향을 받아 기술된 민족지에 대한비판을 소개한다. 둘째, 여성주의자들이 자신이 쓴 민족지 속에서 남성-편향적 시각을 어떻게 극복하려고 했는지 살펴본다. 특히 민족지 속에서 어떻게 젠더와 계급을 개념화하고 양자의 관계를 설정하고 있는지 살펴본다. 이를 위해 아시아 여성노동자의 정치적 의식과 실천을 다룬 모범적인 민족지 3편을 선별되었다. 아이와 응(A. Ong, 1987a)의 "저항의 정신과 자본주의 훈련," 찡?리(Lee, C. A, 1998)의"젠더와 남부 중국의 경제 기적," 김현미(Kim, H. M., 1995)의 "현대 한국의 노동,정치, 여성 주체"가 이 글에서 살퍼볼 민족지들이다. 마지막으로, 남성 인류학자의 입장에서 여성주의자가 쓴 여성노동자에 대한 민족지에서 발견할 수 있는 의문점을 논의한다. 무엇보다. 여성주의가 스스로 비판의 대상으로 삼고있는 마르크스주의의 문제점들을 답습하고 있는 것이 아닌가라 는 의문을 던져본다. 결정화된 자본주의 대신에 결정화된 가부장주의가, 결정화된 여성 대신 결정화된 남성이, 계급환원론 대신에 젠더환원론이, 경제결정론 대신에문화결정론이 자리 잡을 수 있다는 점을 지적한다. 이와 더불어, 마르크스주의가여성을 젠더나 의식과 관련하여 다루지 않고 같은 섬(sex)을 가진 집단으로 범주화해서 다루는 것과 유사하게 여성주의자들도 계급을 계급의식을 가진 주체로 보다는 범주로서 취급하는 경향이 있다는 점을 지적한다. 결론에서 이 글은 이런 문제를 극복하는 방법으로 (1) 정체성과 물질적 조건들사이의 관계, (2) 사람들의 물적 조건에 대한 반응을 형성하는데 문화, 담화, 섹슈얼리티, 감정 등의 역할, (3) 계급의식과 여타의 정체성과의 관계에 대한 연구를제안한다.

영문 초록

This article examines the relationship of gender and class as it is presented in the ethnographies that describe the life of the female factory workers in the Third World and are written by the feminist anthropologists. This article seeks to Dike lessons from the theoretical implications and insights of the feminist ethnographic works on the female factory workers' gender and class and simultaneously find out the problems in those works. In detail, I first introduce the criticisms that the feminist anthropologists raised on what they call as the male-biased ethnographies of the female workers' subjectivities. To outline the standpoints and theoretical aims of the feminist anthropologists that were revealed in the criticisms, two kinds of ethnography challenged by them are discussed in this article. Secondly, focusing on the issue of gender and class, I explore the ways that the feminist anthropologists themselves attempted to overcome the problems that they found in the non-feminist descriptions and analyses of the female factory workers. For the purpose, I mainly introduce and examine three ethnographies of the female factory workers that present exemplary analyses of female subjectivities. Those are Aihwa Ong's 'Spirit of resistance and capitalist disciple'(1987a), Ching Kwan Lee's 'Gender and the south china miracle'(1998), Kim Hyun Mee's 'Labor, politics and the women subject in contemporary korea'(1995). Thirdly, this article raises some questions of the problematic arguments and theoretical points on the relationship of gender and class that I find in the three ethnographies in specific and in the feminist works on the working class in general. I argue that feminist works on the female working class including those mentioned in this article tend to repeat, rather than overcome, the same problems of Marxism that they mostly challenge and criticize. For example, the feminist works tend to essentialize men instead of women who, many feminists criticize, are essentialized in most Marxist works. In a similar vein, Feminism/Marxism, patriarchy/capitalism, essentialized-men/essentialized-women, class-reductionism/ gender-reductionism, economic determinism/cultural determinism might unfortunately be regarded as the different sets derived from the same epistemology. In conclusion, as a way of dealing with the similar predicaments that both the feminist and the rnarxist studies on the working class are stuck in, I propose three subjects of study that we need to delve into more seriously to understand dialectic relationship of class and gender. Those are (1) the relations of material conditions and multiple identities, (2) the role of culture, discourse, sexuality, and feelings in formulating and reformulating people's response to the material condilia1s and (3) the relationship of class consciousness and identities.

목차

1. 들어가는 말
2. 여성주의자 인류학자의 남성-편향적 민족지에 대한 비판
3. 여성주의자의 여성노동자에 관한 민족지에 나타난 젠더와 계급
4. 결론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채수홍. (2003).여성, 노동자, 여성노동자: 여성주의 민족지의 젠더와 계급. 여성연구, , 83-116

MLA

채수홍. "여성, 노동자, 여성노동자: 여성주의 민족지의 젠더와 계급." 여성연구, .(2003): 83-116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